• 연세냥 · 1227628 · 24/04/08 20:15 · MS 2023

    정수와 정수 사이에 있는 수많은 수들을 정리 하는 겁니다

  • 인하컴공가자 · 1222357 · 24/04/08 20:16 · MS 2023

    ?

  • bluesy · 1309775 · 24/04/08 20:16 · MS 2024

    "함수가 연속일 때, 함숫값이 어떤 값을 가지려면 그 사이의 값들을 모두 가져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떤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있을 때,
    f(a) = A, f(b) = B 라고 하면,
    A와 B 사이의 임의의 값 C에 대해 반드시 a < x < b인 x가 존재하여 f(x) = C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구간에서 함수의 값이 2에서 5사이의 값을 가진다면, 그 구간에서는 반드시 2와 5 사이의 모든 값(2.5, 3, 4.7 등)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함수가 연속이기 때문에 가능한 성질로, 연속함수는 구멍이 없이 매끄러운 그래프를 갖기 때문입니다. 함수가 불연속이라면 사잇값 정리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 까오니 · 1076495 · 24/04/08 20:21 · MS 2021

    감사합니다! 교점 성립조건 ㄱ,런것도 있나요? Y값이 역전되면 교점을 가진다 ㅣ런것도 설명하시더라고요

  • bluesy · 1309775 · 24/04/08 20:26 · MS 2024

    예를 들어서 f(0)=1, f(1)=0인데 g(0) = -2, g(1) = 5 인 그런 상황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는 f(x) - g(x)를 정의하면 f(0)-g(0) = 3, f(1)-g(1) = -5라서 0과 1 사이에 f(c)-g(c) = 0인 c가 존재하게 되고, f(c) = g(c)라는 것은 c에서 교점을 가진다는 거겠죠? :)

  • 까오니 · 1076495 · 24/04/08 20:31 · MS 2021

    감사합니다 ㅠ 이해 됐어요 좋ㅇ, 밤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