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런15학번이될게요 [457698] · MS 2013 · 쪽지

2015-11-10 21:49:42
조회수 514

생윤 고수분들 ㅠㅠㅠㅠ ..질문이요 .... (여러개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9801

(1)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을 그 자체의 목적을 지닌 것으로 간주하면서도 인간의 목적 실현을 위한 도구로 여김.

---> 여기서 자연을 그 자체의 목적을 지닌 것으로 여긴다는 것이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을 위한 목적을 지님. 이렇게 이해하는것아닌가요?

각자의 목적이 있지만 (테일러의 주장과 동일하게)

이 목적이 인간을 위해서 쓰인다는 것인가요?



(2) 싱어는 레건과 달리 동물이 '도덕적 권리'까지는 지닌다고 주장하지 않잖아요

도덕적 지위는 싱어가 주장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러면 싱어는 동물이 '내재적 가치'를 지닌것으로 여기나요?


(3) 도가는 자연이 인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하잖아요

그러면 도가가 자연을 인간과 무관한/ 별개의 실체 라고 본 것은 맞는말인가요?

유기체적 자연관이기도 하면서 무관하다는 것인가요..?


(4) 사형제 찬반 논쟁에서요,

살인자의 생명도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베카리아.칸트.루소.벤담 모두인가요?

칸트,베카리아는 확실한데 루소랑 벤담이 헷갈립니다.. 특히 루소..

루소는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그 사회의 법칙을 어겼기 때문에

더 이상 그 사회의 구성원이 아니라고 하는데. 그러면

이거는 살인자의 생명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나요??


(5) 칸트는 사형을 살인자를 인격적 존재로 존중한 것과 같다고 하잖아요,

그러면 이거는 루소는 어떻게 생각하는건가요?ㅜㅜ


(6) 칸트는 '동물이 인간과 동등한 도덕적 배려를 받아야 한다'라는 말에 반대한다고 되어있는데,

그러면 칸트는 동물을 인간처럼 대우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보는건가요?

간접적 의무라는 말이.. 정확히 어떤말인지 구체적으로 잘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파괴no!/피해를 주지말아라' or '적극적으로 보호해야한다'

칸트는 어느쪽 입장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될거야! · 571943 · 15/11/10 21:59 · MS 2015

    1. 네 인간의 목적을 위한거죠
    2.내재적 가치라는 건.. 도덕적으로 고려할 가치가 있다는 말로 싱어,레건 둘 다에게 해당되구요. 도덕적 권리는 레건만 얘기해요 ㅎ
    3.무관하다고 말하는건 도가에서..하늘 아닌가요?
    4.네 루소는 존중할 가치가 없다고 말합니다.
    5.루소는 그 사람이 계약을 어긴거라, 사형으로 처벌하는겁니다. 그 조차도 동의했다는거죠.
    6.칸트는 동물을 학대하지마라.니 인성에 안좋으니까..정도로 이해하시면 될듯!

  • 꼭끼오 · 491370 · 15/11/10 22:08 · MS 2014

    1.아리에게 각 생명들은 삶의 목적을 가지고 인간중심주의로 인간은 그런생명을 이용할수있다.

    2.이지영t가 평가원에 나오면 인정안한다고하는게맞다는걸로.. 싱어가 살아있는대 물어봣더나 자기는 인정한대요 ..ㅡㅡ안나올듯

    3.자연은 상호적으로 모두 연관되잇다는게 유불도인데 무관한건 어닌거같아요

    4,5칸트:살인자 ㄱㅅㄲ 똑같이 걍 사형 이게 널 인격적으로 존중하는유일한 수단이야
    루소:살인자 넌 우리사회에서 살인했으므로 걍 ㅆㄹㄱ 사형당해야되 이건 널 존중하는것도 아니고걍 사회에서 추방해야할ㅆㄹㄱ
    베카리아:사형은 ㄴㄴ 범죄저질러도 개개인의 생명권이 훠얼씬중요 그니까 지속성잇는 종신형ㅊㅊ

    6:동물은 간접적으로만 그니까 인간과 똑같이 대우해서 가치를인정하는건아닌데 '인간을위해선' 좀 배려해주자

  • 세이콘사냥꾼 · 591686 · 15/11/10 22:17 · MS 2019

    음... 오늘 올라온 xx의 돌 칼럼에서는 싱어도 동물의 도덕적 지위,권리 인정한다고 하더군요(저서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