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5541
1.기능론에서 갈등이 불가피하나요? 아님 갈등론에서 그런가요?
2.갈등론에서 갈등은 정상적인 것인가요?
3.통제,비교 ,실험집단은 오직 실험법에서만 쓰이는 건가요?
4.표본의 대표성 확보는 오직 질문지법에서 쓰이나요?
5. 기능론에선 사회적 가치의 희소성 인정하나요?
6. 하위문화가 모이면 전체문화가 된다는 말은 틀린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1갈등론에서 갈등이 불가피
2갈등이 정상적이라는게 먼말인지?
3네
4아닐껄요
5네
6네 전체문화는 하위문화들의 교집합
2번은 기출에서 기능론,갈등론 같이나오는 문제에서 본 것 같아요.. 헷갈려서요
Xoo?oo
4번은 맞는것같긴한데 확신은 못하겠네요
4번은 양적연구일때 쓰여용
4번은 양적연구에서 다 쓰이는것아닌지..?
가설을 일반화하려면 표본의 대표성이 있어야하니..
2번 갈등정상적인거맞아요! 갈등이있어야사회를변화시킬수있으니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