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5136

이제시문보면 지역하고 학년에 편중되서 표본의 대표성을 상실했잖아요
그러니까 1번에 가설이 기각됬다 맞는 표현 아닌가요? 표본의대표성이 떨어져도 가설이 채택될수있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받고 있는 질문들 관련해서 공통적인 부분들 있으면 시간날때 글 올리고 있는...
-
진짜 열심히 사셨네용...
-
정혜련 수의사님 ㄹㅇ 존멋이심 외과하고 싶네염 ㅎㄷㄷ 전문가포스 오졌다
짤려서 다 안보여요
가설이 기각되냐 아니냐는 후속된 조사 결과와 관련이 있음. 전수조사를 하지 않는이상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건 불가능하다시피 해서 그걸 가지고 보통 가설을 기각시키진 않져.
답이 뭐져?
답은 4일듯.. 양적연구니까여 ㅇㅂㅇ
근데 밑에 분은 가설이 수용된다고.. 이거 언제 풀었던 기억은 나는데ㄷㄷ.. 뭐였지 헐
그니까 4겠져 가설은 수용돠니까
어진짜헷갈리네..
표본의 대표성 문제는 가설의 일반화시에 문제가 됩니다 자료수집결과 가설과 일치하므로 가설은 수용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