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풀어 쓴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529363
들어가기에 앞서
가급적 이전에 쓴 칼럼부터 읽고 오시기 바랍니다.
쉽게 풀어 쓴 ‘위헌법률심판’:
https://orbi.kr/00067427631/%EC%89%BD%EA%B2%8C%20%ED%92%80%EC%96%B4%20%EC%93%B4%20%E2%80%98%EC%9C%84%ED%97%8C%EB%B2%95%EB%A5%A0%EC%8B%AC%ED%8C%90%E2%80%99
쉽게 풀어 쓴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https://orbi.kr/00067504699/%EC%89%BD%EA%B2%8C%20%ED%92%80%EC%96%B4%20%EC%93%B4%20%E2%80%98%EA%B6%8C%EB%A6%AC%EA%B5%AC%EC%A0%9C%ED%98%95%20%ED%97%8C%EB%B2%95%EC%86%8C%EC%9B%90%E2%80%99
==============================================
[복습]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은 이전 내용이 상당히 중요하기때문에
짧게 복습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위헌법률심판’은 말 그대로 법률의 위헌성을
헌법재판소가 심사하는 헌법재판이라고 했습니다.
다만 위헌법률심판의 경우
개인은 청구할 수 없으며 오직 “법원”만이 “제청”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만약 개인이 위헌법률심판을 청구하고 싶다면
법원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할 것을 “신청”해야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은
1. 기본권 주체의 기본권 침해
2. 법원의 재판을 제외한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3. 보충성 원칙
크게 이 세 가지 요건을 만족하였을 때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을 유효하게 청구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을 다 이해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
당신은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80%를 이해하셨습니다.
-----------------------------------------------------------------------------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헌법재판소법 제68조(청구 사유) ② 제41조제1항에 따른 법률의 위헌 여부 심판의 제청신청이 기각된 때에는 그 신청을 한 당사자는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당사자는 당해 사건의 소송절차에서 동일한 사유를 이유로 다시 위헌 여부 심판의 제청을 신청할 수 없다.
-----------------------------------------------------------------------------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이해를 위해 쓰던 사례 또 쓰겠습니다.
헌법에는 ‘모든 국민은 평등하다.’라고 되어 있는데
국회에서 ‘흑인이 버스를 타면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라는 흑인처벌법이 통과되었다.
이 사실을 알지 못한 흑인 갑은 버스를 탔다가 기소되어 재판을 받고 있다.
이 경우 갑은 “법원이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할 것”을 “신청”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법원이 갑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이 말이 안된다.
즉, 법원이 흑인처벌법을 합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법원은 갑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을 “기각”할 것입니다.
갑은 법원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에 대해 “항고”하려고 할 겁니다.
(항고: 1심 법원의 “판결”에 불복해서 2심 법원으로 가는 것을 “항소”라고 한다면, 1심 법원이 내린 “결정”에 대해 불복하여 2심 법원에서 이에 대해 다투는 것을 “항고”라고 한다고 일단은 알아 두기.)
그러나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4항에 의해
법원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에 관한 결정에 대해서는 ‘항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갑은 위헌법률심판을 통해 흑인처벌법의 위헌을 받아낼 수 없습니다.
그럼 갑은 흑인처벌법의 위헌에 대해서 다툴 수 없나요?
당연히 다툴 수 있습니다.
‘헌법소원’을 통해서 입니다.
-----------------------------------------------------------------------------
[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인가?]
위에 나온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은
당연히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그대로 복붙한겁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법 어디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이란 말이 써져 있죠?
도대체 어디에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이란 말이 써져 있죠?
위헌심사형, 권리구제형은 편의상 구분하여 쓸 뿐이지
결국 둘 다 “헌법소원”입니다.
그렇기에 청구권자는 갑(=기본권 주체)이고 청구 요건도 비슷합니다.
그러므로
1. 기본권 주체의 기본권 침해
2. 법원의 재판을 제외한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3. 보충성 원칙 만족
세 가지 요건을 만족하면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돌아가면
1. 갑의 기본권에 대한 침해가 있었습니다.
2. 법률이라는 공권력의 행사가 있었습니다.
3. 더 이상 해당 법률의 위헌성에 대해 다툴 수 있는 절차가 남아있지 않기에 보충성도 만족합니다.
그러므로 갑은 법률(=공권력 행사)의 위헌성에 대해 헌법재판소에서 다툴 수 있게 됩니다.
-----------------------------------------------------------------------------
[그렇다면 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인가?]
갑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이든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청구’든
결국 갑이 원하는 것은 “흑인처벌법에 대한 위헌결정”입니다.
모양은 위헌법률심판에서 헌법소원으로 바뀌었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도
위헌법률심판처럼 ‘재판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쉽게 풀어 쓴 위헌법률심판’의 세 번째 문단 [1] 참조)
다만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은
‘위헌법률심판’과 달리 ‘재판이 정지되진 않습니다’.
(‘쉽게 풀어 쓴 위헌법률심판’의 1-3 제청의 효력 참조)
어찌보면 당연한 게 애초에 누가 봐도 위헌인 법률이면
굳이 법원이 갑의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기각하기는커녕
법원이 직권으로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했을 겁니다.
그렇기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서 위헌이 나올 확률은 낮습니다.
따라서 ‘위헌법률심판’처럼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재판을 진행합니다.
(참고: 1988.09.01.~2024.01.31.까지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총 10,123건 중 위헌 결정은 총 416회 대략 4.1%정도. 반면 위헌법률심판은 총 1,116 건 중 위헌 결정은 총 460회 대략 41.2%로 위헌법률심판이 위헌이 나올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다. {출처: 헌법재판소 사건 통계 중 누계표, https://www.ccourt.go.kr/site/kor/stats/selectEventGeneralStats.do})
예시로 돌아와서
갑이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을 청구하더라도
갑의 형사재판은 그대로 진행됩니다.
다만, 이후에 헌법재판소에서 흑인처벌법이 위헌 결정이 난다면
갑을 처벌한 흑인처벌법의 효력이 소급하여 사라지므로
흑인처벌법은 있던 적 없는 법률이 됩니다.
이 경우 억울하게 처벌받은 갑은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을 것입니다.
또한 갑이 억울하게 ‘구금’되었던 만큼
‘형사보상청구권’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위헌법률심판과 마찬가지로
법률(=공권력의 행사)의 위헌 결정을 요구하는 헌법재판이므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과 달리
‘공권력의 불행사’를 이유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을 청구할 순 없을 것입니다.
-----------------------------------------------------------------------------
[정리]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요건을 간추려 정리하면
1. 법률(=공권력의 행사)로 인한 기본권 주체의 기본권 침해
2.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 또는 각하(=보충성 원칙 만족)
3. 재판 전제성 만족
알아두면 유용한 참고 사항
1. ‘권리구제형’과 달리 ‘공권력의 불행사’는 청구 대상이 될 수 없다.
2.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은 재판이 정지되지 않는다.
3. 만약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서 위헌 결정이 난 경우
‘재심’과 ‘형사보상청구권’을 이용할 수 있다.
당연히 이 세 가지가 만족되어야 하며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는다면 각하될 것입니다.
-----------------------------------------------------------------------------
이 정도 내용을 이해한다면
정치와 법 수준의 헌법재판 내용은 얼추 해결되었을 겁니다.
제 목표는 어디까지나 정법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기에
수능특강을 적극 참고해서 내용에 살을 붙여나가기 바랍니다.
정법 선택자 언제나 화이팅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가있죠 ㄹㅇ 지금부터 기출인가 자퇴생이라 내신공부는 아니긴한데 그래도 문제많은책...
-
난 왜 4시간 반이나 잤는데 하루종일 처 졸릴까
-
수능에 도움되나요? 문제 결이 많이 다른 거 같은데 그래도 마더텅에 잇는 문제들 푸는 게 좋나요
-
투명투명열매 2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브크 완강한지는 좀 지났고 현재 스키마n제 하고있는데 이론서 회독이 부족해서 그런가...
-
치환해도 개형판단하는데 무리없는거 같은데 안됨? 운 좋게 인수분해가 돼서 저런...
-
90퍼가 외국인인듯
-
분명 풀려야하는데 안 댐 보다보니 더하기 잘못햇음 너무 화나서 오늘 공부 다햇음
-
확통 공부 0
확통하시는 분들 공통이랑 비교했을때 확통은 다 맞추는데 얼마나 공부해야 하나요?
-
객관식은 계속 다 맞거나 몰라서 하나 틀리는데 서술형에서 계속 시간이 한 15분...
-
더럽게안외워지네 ㅆ
-
이차가식기전에 0
이차식
-
아 집가고싶다 0
ㅠㅠ
-
ㄴ 3
ㅗ
-
지금 당장 접속!!
-
조기퇴소시켜줘 5
군대싫어요
-
확통 질문 0
요즘 나오는 문제중에 곱셈정리로 풀어야 유리한 문제 많이 나오나요? 평소에 경우의...
-
고평 ㅋㅋ
-
슬프다 너무 ㅜ
-
ㅈㄴ쉬워보이는데 5분컷 내주고옴 ㅋ
-
모르겟다..
-
강의 브크만 들어도 됨? 스키마랑 리트 300제 인강 안듣고 그냥 독학하면서 체화...
-
뭔가 존나 머리아프고 복잡하군아..
-
날씨가좋군 4
또 보드타러가야겟지?
-
히히헤
-
무조건 대칭 구조만 존재한다고 생각했던 학생들 꽤 있는듯 애초에 저 두가지 케이스만...
-
시발점 미적 0
스텝2 다 풀어야하나요... 거의 다 모르겠고 다 틀리는데ㅠㅠ
-
한경중 전부 돌파 ㄱㄴ하나? 미96까지 백분위 100주는 시험에서 적백가정 고의나 울의도?
-
포옹하기 7
으흐흐
-
이제남은건 중간고사2 +프로젝트 +텝스준비 모두죽이고싶군
-
영어는 일단 무슨 짓을해도 3~4등급은 나오니까 걍 시험만 치고 수학 2컷에 사문 2컷 맞으명 될듯
-
요즘 느끼는게 0
인생 사는거 너무 힘든거인듯.. 가뭄에 단비같이 좋을때도 있는데 시발 난...
-
전담
-
누가 그냥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해줬으면.. 나는 시발 기욤기욤 왕자님인데 왜 내가...
-
대학 다닐땐 ㄱㅊ더니
-
고2때 수시 버리고 정시만 파신분들 후기 부탁드립니다ㅠㅠ 3
아직 중간고라 덜끝났긴한데 오늘 수학쳤는데 수학 진짜 2월부터 거의 매일 계속 수1...
-
이거 아는 사람 반도 안되지 않을까 오르비언들은 당연히 거의 다 알겠고 주변...
-
기출수준도 못풀겠는데..
-
안녕하세요! 저희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에서 [치의학 비판적 사고...
-
뭐 이딴게 다 있지? 싶은 문제가 너무 많은데 이거라도 안하면 수능대비가 안되는...
-
6모보면 1등급 뜰까요?
-
문학교양이 심하게 없는데 나중에 대학 가면 무식하다는 말 들을까 2
소설 아무리 읽어도 너무 재미없음, 관심도 안 생기고(내 기준) 비문학 책(철학...
-
삶이 힘들다.. 맨날 일찍자고 늦게 일어나는데..
-
딱대
-
ㄷ에 b는 완두, 생산자인데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한다는게 참이라고 나와있어요....
-
멘탈 관리 6
시험 못봤을 때 멘탈관리 어떻게 하나요?
-
반수생이라 시간이 별로없는데 지금 하고 있는 피램 생각의 발단 끝내면 바로 마닳들어가도 되나여
-
절대 금지 4
야당이라는 영화 친구랑 보지마세요.. 그 씬이 나올때 굉장히…. 부끄러웠답니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