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풰디엠 [363939] · MS 2017 · 쪽지

2015-11-04 12:23:41
조회수 364

생윤러님들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6394

재화의 분배는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맡겨야 한다
저는 이게 막스는 공산주의자니까 국가가 없어진 상태니까 개인의 선택에 맡길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스도국가가결정한다고 최진기쌤이 그러시는데 제 머리속에 어떤 개념오류가 있는걸까요? 도와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rayer16 · 586140 · 15/11/04 12:25 · MS 2015

    사회주의의 단계에서 프롤레타리아가 점령한 국가에의한 재분배가 아닐까요?

  • 카르풰디엠 · 363939 · 15/11/04 12:29 · MS 2017

    음 그렇게 받아들여야겠네요 근데 왜 제머릿속엔 필요에따른분배가 막스가 추구한 공산주의사회에서 개인이 필요할때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다 이렇게들어있는걸까요ㅠㅠ

  • S_TED · 573493 · 15/11/04 14:43 · MS 2015

    필요할 때 자유롭게 선택이아니라 살면서 필요한만큼만 갖는거아닐까요?
    북한은 사회주의와 거리가있지만 예로 들면 식량배급 같은게 되겠죠?

  • sehuna12 · 583216 · 15/11/04 12:28 · MS 2017

    사회주의랑 공산주의랑 달라요 민주주의가 공산주의로 이행하는 과도기인 사회주의 체제는 국가나 계급이 소멸되지 않은 상태로 국가의 계획 경제체제에 의해 분배가 이루어지는 반면 공산주의 체제는 완전한 이상사회로 국가나 계급이 완전히 소멸돼요

  • 카르풰디엠 · 363939 · 15/11/04 12:31 · MS 2017

    그럼 공산주의 체제에서는 맞는말 아닌가요?이해못해서죄송합니다ㅜ

  • sehuna12 · 583216 · 15/11/04 12:35 · MS 2017

    국가의 소멸=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은 비약이 아닐까요?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 재화가 분배된다치면 자기가 필요한 것 이상을 자유롭게 가져갈 수 있다는 말도 되니까요

  • 카르풰디엠 · 363939 · 15/11/04 12:38 · MS 2017

    아맞네요 감사합니다ㅎㅎ

  • 삼반수생! · 403028 · 15/11/04 12:36

    공산주의사회에서는 국가가 없어요

  • 사철복전 · 605068 · 15/11/04 12:58 · MS 2019

    과도기인 사회주의단계에서는 국가가 재분배를ㅎ하구요
    이상사회인 공산주의단계에서는 국가는 소멸합니다. 그리고 이땐 개인의 자유에 의해 분배가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른 분배이지요. 필요에 따른 분배는 자율성보단 형평성을 강조한 1/n분배방식입니다. "아니 필요에 따른 분배면 개인마다 필요가 다를텐데 개인에 따른 분배가 왜안되나요?"라고할텐데 맑스는 궁극적으로 공산사회에서 개인의 필요는 모두 동일하다고 보았기때문입니다. 그래서 형평성을 지나치게 강조하구요. 그래서 맑스주의를 이상주의라고는 하지만 현실성이 매우떨어진다 비판받습니다.

  • heresy · 579646 · 15/11/04 13:14 · MS 2015

    맑스는 국가소멸=개인자유선택 아니라
    공동체분배를 한다고하더군요
    예를들어 한 학급에 피자 몇판을 주면 알아서 자기들끼리 잘 나눠먹듯이 말이에요~

  • 끃ㅎㅎㅎㅎㅎ · 590725 · 15/11/04 15:06 · MS 2015

    이게맞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