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수학적 대상들 (ft. 프리드버그 선형대수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231862
1. 다항식의 나눗셈 정리 (division algorithm for polynomials)
자연수 n과 음이 아닌 정수 m이 있다.
n차 다항식 f(x)와 m차 다항식 g(x)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다항식 q(x)와 r(x)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때 r(x)의 차수는 m보다 작다.
--> 이것을 통해 수학(상) (22개정부터는 공통수학1) 에서 다루는
다항식의 나눗셈 결과가 유일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능까지 도달했다가 고1 과외를 위해 복습해보신 분들은
한 번쯤 '이 결과가 유일한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지 않으셨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는 그랬습니다.
2. 다항식의 인수분해의 유일성
차수가 자연수인 임의의 다항식 f(x)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상수 c, 서로 다른 유일한
기약(irreducible, 차수가 자연수이고 어떤 체의 원소를 계수로 가지며,
자연수 차수를 가지는 다항식의 곱으로 표현되지 않는 성질) 모닉(monic,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다항식. 일차식) 다항식
, 유일한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이것을 통해 마찬가지로 다항식을 인수분해한 결과가
유일함을 확인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3. 복소수에 관한 이야기
- 복소평면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직교좌표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축으로 구성된다. x축 자리에 실수축, y축 자리에 허수축이 위치하곤 한다.
따라서 어떤 복소수의 실수부, 허수부는 각각 복소평면에 대응되는 벡터의
종점의 x좌표, y좌표가 된다.
- 복소수는 복소평면의 벡터로 생각할 수 있다.
- 복소수의 덧셈은 벡터의 덧셈에 대응한다.
- 복소수의 곱셈 결과에 해당하는 벡터는 각 벡터(복소수)가
실수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모두 더한 크기의 각을 지닌다.
- 이외에 아래의 식을 확인하라!
이때 e^(i@)는 복소평면에서 크기가 1이고
실수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인 벡터이다.
즉, 단위벡터이다.
따라서 모든 복소수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 고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밖의 내용이 조금 섞여있지만
이를 이해함으로써 복소수에 대한 보다 넓은 시야를 갖출 수 있습니다.
4. 대수학의 기본 정리
먼저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는 다음과 같다.
FTC1:
FTC2:
비슷한 이름인 대수학의 기본 정리(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는
다음과 같다.
복소수체 C에 대한 벡터공간 P의 다항식
--> 이를 통해 복소수 범위에서 모든 다항식은
식의 값이 0이 되도록 하는 독립변수값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실수 범위에서 이야기를 이어가기에
차수가 홀수인 다항식은 사잇값 정리(the intermediate value theorem)를 통해
근의 존재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에서 그치지만,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확인함으로써 복소수 차원에서 다항식은
항상 해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겠습니다.
5. 체, 벡터공간, 다항식에 대하여
먼저 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벡터공간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에 따른 다항식의 정의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를 통해 수학(상)에서 다항식을 공부할 때
다항식의 무엇이냐라는 정의에 대한 질문에 보다
체계적으로 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전에 위키백과에서 확인한 바로는
f(x)=0의 경우 차수를 정의하지 않거나 -무한대로 정의한다고
확인했던 기억이 있는데 프리드버그 선형대수학 교재에서는
-1차로 정의하고 있네요!
p.s.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A를 설명하기 위해 B가 필요한데
B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A가 필요한 그러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물론 배움이 부족하여 그렇게
느끼는 것일테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수학적 대상이라는 표현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수학적 대상이라는 것도 인간이 언어를 발명하고
수학과 대상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정의한 후에
비로소 의미를 지니게 된 표현이겠지만...
인간은 내가 직접 감각하는 것들 외에는
어떠한 개념의 유래, 발생 과정 등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할 때가 있지 않습니까?
어느 정도는 이해하지 못했다는 느낌을 안고 넘어가는 것도
학습을 이어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녁에도 이러고 있으려나 흠
-
진짜 그정도인가….?
-
과4=사1 10
가4=나1 수시정시 농어촌 노력재능 의대한의대 여대티오 인현강차별 또 뭐 있지
-
변표이슈는어떻게됬엇
-
영어도 순서배열 삽입 1번 정답뜨면 극악으로 내려갈듯 2
대부분 3-4번 찍거든 꼭 난이도 조절이 불수능이 아님 정답분포도만으로도 확 내려갈수도 있음
-
몇개 추가 완료
-
이거 계속 보임 방금도 봄
-
전통놀이 노잼
-
정답 낮은 문항 보면 1이 답인경우가 개마늠 특히 개념문제
-
안녕하셈뇨 9
갑자기 생각나서 오랜만에 들어와봤음뇨
-
수학 - 이미지 미친기분 수1수2확통 국어 - 나랏쌈말 보는 중 영어 - 이영수t...
-
그 시간에 그냥 본인 하고 있는 탐구 등급을 올려.. 쫄리면 튀는거지 본인 하고...
-
1만원 날린...
-
잠잠해졌다 0
-
ㄹㅇ..
-
그냥 공상하다가 딱 든 생각인데 막을 방법이 없을 것 같은데요ㄹㅇ 어디 떠들고 다니는거 아니면
-
한 과목씩 비교하면
-
또 뭔일임 0
왜 이딴걸로 싸우고있지 이해가 안가네 제 점메추나 해주세요 이게 더 건강한 고민임
-
카톡 선물 쓰고 싶은데 ㅅㅂ 이 동네에 매장이 없음 3
좆같은 촌동네 이제 열흘 남았는데 아 ㅈㄴ 귀찮네
-
사문은 ㅈㄴ 꿀임 16
다른 사탐과는 격이 다름
-
진짜임
-
아니 풀면서 뭔가 다른게 맞기보단 이상한 하나를 캐치는 하긴 했는데 뭔가...
-
본인 화2생2화1생1지1사문 수능공부 해봤는데 생2>화2>>생1>>지1...
-
사문 표본 관련 질문 12
시대인재 4월례고사 사문 등급컷임 동사,세사는 역덕들 땜에 1컷만 높게 형성 된 것...
-
의대버리고 설경 goat.
-
5모 생명 2
여러분 혹시 5모 생명이 그렇게 쉬웠나요? 난 좀 빡빡했는데 왜 다 해강에서는...
-
퀄모, 서바 말고 뭐 있나요?
-
아니 3
ㅋㅋ
-
차피 1년반 지나면 다 통사,통과,확통으로 시험치잖아
-
그냥 작수 물리 올해는 사문하는 사람의 솔직한 후기라고 생각해주십쇼 작수 물1 48...
-
물화<<망한지 오래 생<<<빠르게 침몰중 지<< 작수 꼬라지보면 올해 ㅈㄴ 두려움...
-
음음
-
신성규쌤 고트네 6
유튜브 5모 풀이 보는데 감탄함요 ㄷㄷ
-
왤케 풀발하고 달려들지
-
너와 찍은 사진 한 장에도 난 세상을 가졌어
-
나 아직까지도 2개 다 사탐했으면 하는 후회하고있어
-
ㅈㄴ 일찐상임 하...
-
메디컬 목표 아니면 사탐으로 돌리셈 특히 국수 안된 인간들
-
[단독] “키움 김혜성아, 느그 아부지 돈 갚으라 전해라” 고척돔 김선생 또 벌금형 [세상&] 4
LA다저스 김혜성 아버지에 1억원 채권 명예훼손 혐의…2019년에 벌금 100만원...
-
수업듣고 복영도 다시들으심? 다시들어서 리마인드되는거말고는 없는거같은데 수럽이 어렵긴해서 고민임
-
작수 물리 48 지구 35 사문은 6모전이라 응시한 시대 월례고사로 대체함 둘다...
-
질문을 하면 많은 사람을 긁을수도 있을거 같다 어떻게 하지
-
입시 고수분들 최대랑 최소 알려주세요 국 수 영 생윤 사문 백분위 96 84 1 94 96
-
ㅇㄷㄴㅂㅌ
-
너네 미적 선택해라 우리 공정한 수능을 쳐야지 확통 사탐은 너무 날먹이잖아 미적...
-
부산대는 언급안함.. 슬픔..
-
쌍지합시다 9
국수 범부를 문디컬로 보내준 레전드 꿀 과목
고딩때 벡터 배울 때 벡터의 연산을 합이랑 스칼라곱을 배우는데
이걸 일반화시켜서 합이랑 스칼라곱이 잘 작동하는 공간의 원소를 벡터
내적도 뒤에 보면 똑같이 일반화함
n-tuple에 대해 같은 순서에 해당하는 원소끼리 곱하여 모두 더한다 <-- n차원 벡터공간에서의 내적의 정의
field를 선대에서도 언급하고 가나요? 선대본지 오래돼서 가물가물
강의는 아직 들어보지 못해 잘 모르겠습니다, 본문에 활용한 교재의 경우 첫 단원에서 벡터 공간을 정의할 때 체를 언급하고 맨 뒷 부분 부록에 소개해두었더라고요!
잘 기억은 안나는데 프리드버그가 확실히 수학과에서 쓰기 좋다던데 세밀하네요... 선대군엔 있었던거같기도? 없었던거같기도. 제가 배울때 썼던 strang에는 없었던거같음.
먼 나라 이웃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