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os [478820] · MS 2013 · 쪽지

2015-10-28 20:27:46
조회수 1,834

비들과 데이텀이 1유전자 1효소설을 증명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7247


백호t 파이널교재에 있는내용인데



왜 증명한건지 잘 모르겠어요..



가설을 주장한것 아닌가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키랄 · 488086 · 15/10/28 20:29

    실험해서 증명했죠
    오르니틴 시트를린 아르지닌

  • asos · 478820 · 15/10/28 20:52 · MS 2013

    그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1유전자 1효소설이라는 가설을 제시한게 아닌가요? 아니면 가설을 먼저 세우고 실험결과를 통해 가설의 정당성을 입증했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해 증명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요? 증명이라는것은 보편적인 진리에 대해 사용하는 단어라 생각했는데, 제가 생각하기에 1유전다 1효소설이 보편적인 진리는 아닌 것 같아서요. (1유전자 1폴리펩타이드설로 발전했다고하죠.. 보통) 제가 증명의 의미를 너무 협소하게 생각한 것인가요?

  • 키랄 · 488086 · 15/10/28 20:54

    그 당시에 시대적으로보면 1유전자 1효소설은 굉장히 획기적으로 바라본 관점이엇고 그당시는 실험으로서 증명했죠
    단지 지금 시점에서 폴리펩타이드로서 관찰이 된다는것이 관측이되서 확장이된 관점이지요 가설세우고 증명한거 자체는 맞습니다

  • 키랄 · 488086 · 15/10/28 20:59

    그리고 잘못알고 계시는거 같은데 비들과 테이텀은 가설을 세우고 실험으로 입증시킨것입니다

  • asos · 478820 · 15/10/28 21:24 · MS 2013

    에이버리의 실험으로 유전자가 DNA에 존재함을 '증명'했다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윧전자가 DNA에 존재하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니까요. 그런데 비들과 데이텀의 실험으로 1유전자 1효소설을 '증명'했다고 할 수 있는건진 모르겠어요. 유전자 1개로 1개의 효소가 발현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은 아니잖아요? 저는 이런 관점에서 이것을 증명했다고 할 수 있는지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증명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본적이 없으니..

  • 키랄 · 488086 · 15/10/28 21:32

    1유전자 1효소설을 증명한게 논지잖아요
    그런데 그 실험자체로 1유전자가 1효소를 만듬을 증명할수있으니까 성립하는거로 보시는게 편하실거같습니다
    1유전자1효소설을 가설이었고 일단 증명자체는 성립하였으니까요
    1유전자1효소설이 완전 틀린것은 아닙니다 일부 유전자가 폴리펩타이드에 관여하는것이 있다는게 추가적으로 발견되었을뿐 저 명제 자체가 틀린게 아니잖아요

  • asos · 478820 · 15/10/28 22:07 · MS 2013

    답변 자세하게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생2 파다보니 단어선택에 노이로제가 오는 것 같네요 ㅜ

  • SNU 컴공16 · 384093 · 15/10/28 21:05 · MS 2011

    증명까지함

  • asos · 478820 · 15/10/28 21:13 · MS 2013

    과학적의미로서 증명이 어디까지 의미하는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요즘에 칸트님을 너무 영접해서 그런가

  • 키랄 · 488086 · 15/10/28 21:21

    과학적탐구과정에서의 과정은 가설을 수립하고 증명해가는 과정이니 그 과정으로 보시면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