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도와주세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5972

저런문제는 2차종사자 비율이라는게..
전국대비 그지역의 2차종사자비율인가요
아니면 그 지역인구대비 2차종사자비율인가요...
저런거볼때 어떤기준으로봐야하죠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5972
저런문제는 2차종사자 비율이라는게..
전국대비 그지역의 2차종사자비율인가요
아니면 그 지역인구대비 2차종사자비율인가요...
저런거볼때 어떤기준으로봐야하죠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 지역 산업 종사자 분들 중에 2차 산업 종사자 비율이 전국 16개 시도 2차 종사자 비율을 줄 세우면 순위가 몇 위겠냐는 거죠ㅋㅋㅋㅋㅋ
D 지역 보시면 2차 산업 종사자 비율 가장 높다는 걸로 아 공업!!!!!! 자동차도 만들고 배도 만들고 울산~ 이겠네요 그 지역 대부분의 분들이 2차 산업에 종사하시니까 전국 16개 시도 중에 2차 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은 거겠죠? 그 뜻이에요
그리고 B 지역은 3차 산업 종사자 비율 가장 높다 그러니까 오 사람 많이 살아서 그만큼 서비스업 종사자 많은 서울~~ 이렇게 A나 C도 알아 나간다는 거?ㅋㅋㅋㅋ 우리 한지러들 힘내 보아요 아자
질문과는 별개로 일단 수능 스타일이 너무나 진부한 개념 하나에
완전 참신한 내용이 나오는데 (예컨대 작년 농업 부가가치 있었죠)
수능에서는 무조건 상대적으로 가셔야됩니다
이것이 아니라서 저것이다라는 식의 사고로 말이죠
위 문제도 2014년 수능이었는데 서울은 너무나 자명했고
제주와 전남을 비교하는 것이었는데
전남이 공업이 어느 정도 발달했고 제주가 공업시설이 미비 하고 서비스업이 발달했다라는 식의 사고
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해 충청권 지역끼리 비교한 문제도 있는데
당시에 어느 문제에서도 보지 못했던 내용이었는데
절대적인 개념으로 상대성을 따지면서 답을 도출하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한지라는 것이 사실 느낌으로 이것이다라는 부분은 다른 사탐에 비해 덜하지만
수능은 변별요소를 분명 갖춰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을 함정에 빠뜨릴 만한 선지가 반드시 존재하고
존재해왔습니다 명심하세요 항상 유연하게 사고하세요 (다만 철저한 주관배제 객관적 사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