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2759
1. 불교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행위는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x
여기서 '조건'이라는게 뭘 의미하는건지?
2. 불교에 따르면 만물과 온전히 하나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바라밀을 닦아야 한다-x
'만물과 온전히 하나가 됨'은 도가에서만 쓰는 말이 맞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시립대 지망하는 수험생들이나 신입생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1. 조건이란 인연생기설에서 '연'을 의미하는데 원인(인)과 조건(연)이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땡
2. 네. 물아일체니까 땡 하시면 됩니다
근데 2번은 약간 애매하지 않나요?
불교에서도 자연이랑 하나가 되는,,음 어쩄든 애매한건 정답으로 안나오겠죠!
사실 인연설하고 자타불이 섞으면 모든것은 연결되어있으므로 모든것과 하나다 라고 엮을수있을거같아요 애매해요ㅎ
글구 인연생기설은 원인과 결과 아니에요??
무슨말이에요?
원인과 조건이라고 말하셨는데 원인과 결과 아니에요??
연기설은 모든것은 원인하고 조건으로 이루어져있다.의 의미인데요
방금 인터넷 찾아보니깐 둘다 되는거 같던데요??
두개다 나와있어요
2. 절대 아닙니다. 유불도 모두 유기체적 세계관입니다. 맥락을 봐야 하는데 만물과 하나가 됨은 무조건 도가 이런 식으로 단정 지으면 안돼요.
도가 : 천지와 나는 병존하고, 만물과 나는 하나가 된다
불교 : 천지와 나는 같은 근원을 가지고 있고, 만물과 나는 일체가 된다.
구분 못합니다. 공통점이에요. 2번 선지가 틀린 이유는 도교라서가 아니라 바라밀을 닦는 이유가 만물과 하나가 되기 위함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1. 이 선지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조건이 무엇이냐가 아니라 불교 사상이 어떠한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결정론'이 아니라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