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이구너 [581052] · MS 2015 · 쪽지

2015-10-24 23:56:45
조회수 1,076

사회문화 질문좀 받아주세여ㅛ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92261

1.비공식조직은 개인적이라는 말이 무슨말이에요??

2.비공식조직은 1+2차적 관계 혼재이고 공식조직은 1차적관계가 아니라 2차적 관계가 주로 있지 않나요? 인강에서 1차적 관계가 주라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여

3.관료제는 분업으로 각자 위치에서 전문화 돼있고 탈관료제는 각자 지식의 전문가라는데.. 그러면 '과업의 전문화' 라는 선지는 어떤 데에 해당돼는지?!!?

4. 모든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은 공식조직에 해당하나요? 말이 넘 헷갈..ㅋㅎㅋㅎ

5. 새학ㄱ기 돼면 반 지정받잖아요 고등학교 학급은 개인 의지로 선택해서 결합된 게 아니고 강제니까.........음 설마 공동사회인가요???

6. 그 9평에서 연극동아리에서 햄릿 연극 주인공된거 --->성취지위 (x)
였느넫
박봄쌤은 이유가 '지위는 사회에서 해당되는 말인데 연극은 사호 ㅣ전체가 아니라서 지위라고 할수 없다' 고 하셨고
다른 분은 '지위가 아니라 주인공은 역할이라서????????(무슨말이지????2g???????easy?)'라는데 뭐가 맞나요.. 대혼란이 찾아옴ㅠㅜㅠ

7. 내집단은 소속감소속여부 무조건 둘다 o 외집단은 둘다 x 라는데 맞나요..그리고
소속 여부로도 세분화 돼서 나뉘려면 소속집단 준거집단을 공부해야하는데
소속집단은 소속ㅇ 소속여부ㅇ 이거고 준거집단은 소속x 소속여부o 이거인가염?

읽어주샤서 감사합ㄴㅣ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Freedom Dive · 565398 · 15/10/25 00:35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유니넷 · 560652 · 15/10/25 00:35 · MS 2019

    1. 공식조직 내부에서 개인적으로 친목다지는 동호회 같은거니까 개인적이라고 보는거 아닐까요?

    2. 2차로 알고 있고..

    3. 관료제

    4. 가족, 또래집단도 있으므로 x

    5. 부족해서 잘모르겠네요..공동사회면 선택의지x, 귀속 같은 개념으로 보던데 그렇게 보이진 않고 고등학교면 의무교육도 아니까 이익인가? 싶어요

    6. 나는 연극부원이고 연극부원이 맡은 역할이 주인공이다. 로 알고있어요

    7. 준거집단은 자기가 소속하고 싶어하면 되는거로 배웠어요. 소속하고 싶고 소속하고 싶으면 소속집단과 준거집단의 일치로

  • 초이구너 · 581052 · 15/10/25 22:21 · MS 2015

    헐 3번이랑6번 답이엇갈리네요.....좀더 알아봐야겠음....다들 감사해여!!!!!!!!!수느ㅇ대박!!

  • 유니넷 · 560652 · 15/10/25 22:37 · MS 2019

    6번은 최진기t가 단원명 자체가 지위와 역할이고 당연히 역할이라고 하시던데 한번 들어보세요

    3번은 관료제가 맞을거에요
    각자 맡은 일만 하다보니 그 부분에 있어서 전문적이게 되는거죠

  • 초이구너 · 581052 · 15/10/25 22:21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