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랄 · 488086 · 15/10/24 20:25

    그리고 단한번도
    대화체 대화적구성 대화의 형식이 정답선지가 된적이 없습니다

  • 16연세대학교 · 486873 · 15/10/24 20:29 · MS 2014

    오 감사합니다 헷갈리면 이제 제껴야징

  • 서울에서빛나리 · 508882 · 15/10/24 20:27 · MS 2014

    키랄님 관련없는질문이지만

    김상훈?선생님인가 그 대성 국어쌤
    문학개념어 진짜좋나요???
    권규호티쳐인강이랑 고민되네요..

  • 키랄 · 488086 · 15/10/24 20:28

    이게 문학개념어입니다

  • kimhollaboy · 527715 · 15/10/24 20:29 · MS 2014

    마닳이 맞는거야 이게 맞는거야 어렵네요 ㅠㅠ

  • 키랄 · 488086 · 15/10/24 20:32

    아니 전혀 고민하실 필요가 없는게
    제가 하고싶은말은 no one knows입니다
    역대 평가원기출중에 선례가있으면 그게 근거가 되겠죠
    그런데 역대평가원기출중 대화체,대화적 구성,대화의 형식은 단 한번도 정답처리가 된적이 없습니다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은 부분이고요
    단지 알아야할사항은 말은 건네는 방식이고 이는 정답으로 많이 언급된사항입니다

  • 삼서생 · 556965 · 15/10/24 20:31 · MS 2015

    청자가 실제로는 없으니 분명 대화는 아니고 독백으로 볼 수 잇겟지만, 그렇다고 대화의 형식이 아니라고 볼 수도 없을거 같네요.대화와 대화체가 분명 다르니 구분하고 잇을테고요.

  • 키랄 · 488086 · 15/10/24 20:33

    언어적정의로는 서로 주고받아야하나..
    아직 기출에 정답처리가 된적이없어 그 누구도 확신하기는 애매한상태입니다

  • 삼서생 · 556965 · 15/10/24 20:35 · MS 2015

    평가원이 알아서 잘 내주겟죠 ㅋㅋ

  • 키랄 · 488086 · 15/10/24 20:38

    그리고 정답처리되기 굉장히 애매합니다.
    이 책에 평가원 전개년에 대화에 관련된 모든 기출을 풀어봐도 절대 애매하게 안줍니다. 내면 아마 오답시비가 엄청나게 걸릴겁니다.
    선생님도 그렇게 설명하시고요

    즉 결론은 말하는 화자는 있으나 청자가 없을떄
    이를 대화체,대화의 형식으로 볼것이냐??

    No one knows 입니다.
    몰라요 정확히

  • 키랄 · 488086 · 15/10/24 20:36

    그리고 대화의 정의 자체가 서로 말을 주고 밭는 상태입니다.
    역대 평가원 기출에서 정답처리가 된 사항은 말을 건네는 방식인데
    이거는 그 의미가 정확하게 그냥 말을 건네기만 해도 맞는 선지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를 않습니다.
    대화가 서로 주고받는 상태를 의미하고
    대화하는 체 를 뜯하므로 대화의 전제를 깔고있으므로 주고받는다라고 보는게 더 합리적으로 생각합니다만

  • 문느님 · 521483 · 15/10/24 20:32 · MS 2014

    대화체 안에 말을 건네는 어투와 대화형식이 속하는데.
    실제로 대화가 안 이루어지면 대화형식이 아닌거죠?

  • 키랄 · 488086 · 15/10/24 20:43

    원래 그렇게 보는게 타당합니다만.. 평가원에서는 아직 한번도 정답이 된적이 없어 애매한 측면이 있습니다.

  • 時節因緣 · 351396 · 15/10/24 20:34 · MS 2010

    우와 저 책 머에요?? 되게 좋아보이네요ㅠㅠ

  • 키랄 · 488086 · 15/10/24 20:42

    김상훈 문학개념어입니다.

  • 립학하라우동무 · 603508 · 15/10/24 20:39 · MS 2015

    대화의 형식이라면 고전시가에서 자주 나올텐대... 정철 속미인곡이나 시집살이 노래는 대화의 형식을 전체적으로 띄고 있고 누항사도 부분적으로 대화문이 묘사됩니다. 아마 현대시에서는 잘 안쓰이는 형식이라 현대시는 좀 제껴도 될만한 선지지만 고전시가에서는 막 제끼면 안될듯...

  • 키랄 · 488086 · 15/10/24 20:42

    정철의 속미인곡과 김영랑의 독을 차고는 실제로 서로 대화를 주고받고있으므로 이때에는 대화체,대화의 형식이라고 해도 무조건 맞는 선지이죠
    아무도 반박 못합니다 이거는
    단지 서로 주고받지 않을떄 문제가 되는것이지요

  • 립학하라우동무 · 603508 · 15/10/24 20:46 · MS 2015

    문제가 된 매화사 같은 경우에는 개인적으로 선지가 깔끔하지 못했다는 느낌입니다. 키랄님 말씀처럼 그 자체가 오해의 소지가 있을 법한...
    사실 그 선지는 "대상에게 말을 건네는 투로"라고 했으면 깔끔하지만 난이도가 약간 낮아졌겠지요.
    난이도 조절 때문에 조금 꼬다 보니 애매한 부분이 생긴것 같네요. 교수님들만 그 애매한 차이를 꿰뚫고 계셨던듯...

  • 키랄 · 488086 · 15/10/24 20:50

    그렇죠
    일단 오류시비가 걸렸을때 평가원에게 들고갈 수 있는 자료가 교과서,표준국어대사전,기출문제 인데
    교과서에서는 속미인곡같은것만 소개를 하고 있어서 다른것은 모르고 표준국어대사전 정의로서는 주고받아야만 하고
    기출문제로는 아직 정답처리가 된 적이 없기떄문에 아무도 모르죠
    그리고 이거 궃이 명확하게 안해도 될텐데 ㅠㅠ 교수님들도 아마 아실겁니다 내면 오답시비 걸릴거라는거

  • 삼반수생! · 403028 · 15/10/24 20:46

    김수현 쌤이 옳은 선지로는 나온적없다고 하셨으니까 걱정안하셔도될듯..?

  • 키랄 · 488086 · 15/10/24 20:51

    이거 김수현쌤 문학개념어 교재에요 ㅋㅋ
    김상훈 선생님 소견은 일단 정의대로만 하면 서로 주고받야아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만약에 정 판단해야만 한다면 주고받는지 여부만 판단하고 어지간해서는 재끼래요 ㅋㅋ
    갓상훈쌤..

  • 삼반수생! · 403028 · 15/10/24 20:56

    저도그렇게들었어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