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문학 기출 학습의 방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802669
** 감상 전 좋아요와 팔로우는 다음 칼럼을 쓰는데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본체만채입니다. 오늘 쓸 이야기는 문학 기출 분석 방향에 대한 저의 생각입니다. 사실 문학을 어떤 관점으로 학습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은 사람마다, 또는 강사마다 다를 수 있는데, 이건 저의 생각이니 마음에 안 드시면 본인 갈 길 가셔도 될 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문학 학습 가이드 '개론편'에서도 말씀드렸는데, 문학이라는 학문은 기본적으로 주관적이고,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시, 같은 소설을 보고도 완전히 상충되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죠.
그렇기에 평가원은 문학 문제를 낼 때, 시험의 객관성, 그리고 공정성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해석할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안합니다. 그게 바로 '보기', 그리고 각각의 '선지'가 되는거고요. 그저 지문만 봤을 때, 본인이 느끼지 못하거나 찾기 힘든 해석이라도, '보기'에서 그런 방향의 해석을 가리킨다면 그에 맞게 해석하고, 정답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판단의 기준은, '본인의 생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 해석은 어떤 방면에서 살펴봤을 땐 분명 옳을 수 있지만, 문학이라는 시험에서는 '룰'이 달라요. 우리는 지문을 읽고 느낀 점을 고르는 것이 아닌, 보기에서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가 '개연성 있는 정답'을 고르기만 하면 될 뿐입니다. 지난 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선지에서 애매한 표현이 있을 때, 그 말의 반의어를 넣어보았을 때 그 문장이 성립한다고 말하기 애매하다면, 그 선지는 논리적으로 100% 틀렸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거기서부터는, '개연성 있는' 해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확실히' 틀린 것을 찾아내면 되는거에요.
평가원의 문학 문제들의 대부분에는, 마법과 같은 단어들이 있어요. 바로 "가장"이란 단어죠. 이 "가장"이라는 단어 때문에, 우리는 선지의 완벽하고 논리적인 정/오를 판단할 것을 요구받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옳은, 또는 상대적으로 옳지 않은 정답을 '확실하게' 찾을 수 있다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기출에서 평가원은 이 "가장"이라는 말의 선을 지켜왔고요. 사설이 아닌 오로지 평가원으로 문학 선지 분석 학습을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기출 학습을 할 때, "이게 답인 것이 확실한 것은 알겠는데, 저 선지도 이렇게 보면 충분히 맞다고 볼 수 있는게 아닐까요?"라는 태도는 분명히 한 번쯤은 고민해볼만한 태도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그런 '가능성'들까지 원천봉쇄하며 논리적인 정오판정을 내릴 수는 없어요. 완벽하게 모든 것을 이분법적으로 납득하고 넘어가긴 어렵다는 것이죠. 이 게임은 독서와는 다르거든요. 그저 '왜' 가장 확실한 선지를 확실하게 볼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그렇다면 기출분석을 하는 우리의 태도는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기본적인 태도는, 한 선생님의 말을 빌려 "지문은 간결하게, 보기와 선지는 끈적하게" 보는 태도를 장착하는 것입니다. 지문에서 모든 것을 끌어내려고 하지 마세요. 지문에서는 장르의 가장 본질적인, 정서/태도, 또는 인물/갈등/배경만을 드라이하게 볼 수 있을 정도의 독해만 연습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건, '보기'를 바탕으로 지문의 내용을 연결짓고, 선지의 정오를 판단하되 애매한 경우 어떤 선지를 어떤 근거로 가장 '확실한', 또는 가장 '개연성 있는' 선지로 볼 지에 대한 "Line"을 만들어가시는 것입니다. 평가원 기출문제에 있는 [개연성은 있지만, 다른 '확실한' 선지에 밀려 정답이 되지 못한 선지]나, [개연성이 확실히 있다고 말하긴 애매하지만 다른 '확실히 틀린' 선지에 밀려 정답이 된 선지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왜 그렇게 판단되었어야만 했는지 고민하며 어떤 것을 '가장' 적절하거나, 적절하지 않다고 고를지, 그 선을 만들어가시는 겁니다.
독서 기출 학습법을 주로 올리는 저에게 최근 부쩍 문학 기출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묻는 분들이 많아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군대안가고 싶다 2
아아..
-
이번년도 초에 쌤한테서 받았는데 정석민 쌤 커리 타서 풀 국어 n제가 없기도 하고...
-
그래도 잘만 돌아감
-
키작고귀엽고하얗고슬랜더인 사람이랑 연애하고 싶다
-
남은기간 ㅇㅈ 5
앞이 안보인다...여전히...
-
오르비가고엿나 2
다 뉴비들밖에없능데
-
국힘 대선후보 : 김부선 공동 선대위원장 : 김건희/정유라 수석대변인 : 이재명...
-
간택받고싶다 0
-
진짜 ㅇㅈ마렵네 3
진짜 ㅇㅈ마렵네
-
물생 기출문제집+수특 풀어도 안늦을까요?? 방학때부터 개념강의 완강했고 완자랑 기출픽 끝내놓은 상태
-
??? 이거 진짜에요? 17
첨 들어보는데.
-
안해주는게 아니라 못해주는거임 나도 몰라서... 물론 아는건 다해줌
-
“두 근을” ㅋㅋㅋㅋㅋ
-
개헌하는거말고는 불가능하잖아 탄핵당하면 가능한건가
-
낼 공강이니 달려야지 으흐흐흐ㅐ
-
윤석열 국힘한테 손절당하서 무소속으로 출마하고 윤석열에 질린 김건희가 이혼 선언...
-
힘들았다
-
좋은데 쓸거임(상금으로 사용 예정)
-
그래야 잠도자고 공부도하고 놀기도할텐데
-
닉언 2
초콜릿 상자
-
아 추워 4
내일은 진짜 푹 쉬어야 되겠다 이번주는 많이 힘들긴 했지만 그래도 뿌뜻했다
-
오르비언들 앞으로 닉언이라고 하면 닉언 닉언하는거임
-
생일인데 메인 한번만요 20
친구 없어서 여기서라도 축하받고 싶어요
-
ㅇㅇ
-
Dj158, 국어꾼, 심찬우와 함께 오르비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있는 포카칩&난만한
-
닉언기준이머지 4
글은 안되고 댓은 되는건가요? 구분 귀찮아서 댓에서도 풀네임 안부르긴하는데
-
영어 공부 3
영어 단어장으로 따로 단어 외우지 말고 문제 풀면서 모르는 단어들 싹 정리하는거...
-
짝눈도 해주네
-
[입결 + 사회적 위상 + 어른세대/수험생 인식 + 아웃풋 다 종합] 서울대 (학부...
-
8일차 인증 5
7일차는 썼는데 까먹음 1주일 채웠다ㅋㅋㅋㅋ
-
의대 떡밥 돌때마다 쏟아지는 글들이 더...
-
두서없이 써보는 커뮤 친목 잡담 등등 관련 제 생각 14
나도 꼬였을때는 오르비 친목이니 여왕벌이니 연애니 옯만추니 뭐니 메타 돌아갈때마다...
-
뭐가더 어려움? 0
네
-
아그냥씨발뛰어내릴까
-
삼수생 말고.. 남들은 수능이 인생에 큰 관문이다 어쩐다 하는데 관문을 3년...
-
닉언 너무 많네 그런 것 같네요 이번엔 다른 때랑 다르게 깊이 반성하는 것 같아...
-
강X 2-8 6
72분..100 공통 36분인데 미적 도형은 항상 오래걸림 그냥 수학만 할래…
-
생각해보니 의대 약대 수의대는 꽤 있는데 치대 한의대는 본 적이..
-
옯스타 관련 썰 6
모 오르비언 옯스타 팔로우 하려다 본계로 팔로우 한 건에 대하여.. 심지어 받아줌...
-
이딴 멍청한 머리로 이 성적까지 끌어올린게 대단해 난 뭘 해도 될 놈임ㅇㅇ
-
1. Dj158을 다시 오르비로 복귀시킴 2. 포카칩과 난만한 불러들이기 3....
-
생윤vs한지 0
24수능때 생윤2맞은 후로 다 까먹어서 노베라고봐도 무방한데 수능때 뭐 선택하는게...
-
내용이 그렇게 어렵지도않은데 너무 자세히라고해야하나.. 이해못할까봐 어떻게든...
-
씨발
-
정말재 미있어 요 .
-
해도되나요 2등급턱걸이입니다..,,
-
재종 자습 시간 1
원래 하루에 평균 4시간(3.5~5시간)밖에 없는게 정상인가요?ㅠ 선택형 수업인데...
-
내신대비로 물리랑 생명과학 마더텅풀려는데 한번에 쭉풀어야하나요? 아니면 홀수번...
-
난 닉언 안함 6
클린유저인 듯
선 좋아요 후 감상
선좋후감
이 분을 보니 유아독존님 행보를 이어가시는듯 얼마없는 귀한 칼럼러이심
극찬이십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짧지만 있어야 하는 말이 전부 있는... 격공합니디ㅏ
왕 피램 문학으로 공뷰즁인데 피램 책에 나와있는 것처럼 똑같이 말씀하셔서 놀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