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문학 기출 학습의 방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802669
** 감상 전 좋아요와 팔로우는 다음 칼럼을 쓰는데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본체만채입니다. 오늘 쓸 이야기는 문학 기출 분석 방향에 대한 저의 생각입니다. 사실 문학을 어떤 관점으로 학습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은 사람마다, 또는 강사마다 다를 수 있는데, 이건 저의 생각이니 마음에 안 드시면 본인 갈 길 가셔도 될 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문학 학습 가이드 '개론편'에서도 말씀드렸는데, 문학이라는 학문은 기본적으로 주관적이고,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시, 같은 소설을 보고도 완전히 상충되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죠.
그렇기에 평가원은 문학 문제를 낼 때, 시험의 객관성, 그리고 공정성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해석할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안합니다. 그게 바로 '보기', 그리고 각각의 '선지'가 되는거고요. 그저 지문만 봤을 때, 본인이 느끼지 못하거나 찾기 힘든 해석이라도, '보기'에서 그런 방향의 해석을 가리킨다면 그에 맞게 해석하고, 정답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판단의 기준은, '본인의 생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 해석은 어떤 방면에서 살펴봤을 땐 분명 옳을 수 있지만, 문학이라는 시험에서는 '룰'이 달라요. 우리는 지문을 읽고 느낀 점을 고르는 것이 아닌, 보기에서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가 '개연성 있는 정답'을 고르기만 하면 될 뿐입니다. 지난 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선지에서 애매한 표현이 있을 때, 그 말의 반의어를 넣어보았을 때 그 문장이 성립한다고 말하기 애매하다면, 그 선지는 논리적으로 100% 틀렸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거기서부터는, '개연성 있는' 해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확실히' 틀린 것을 찾아내면 되는거에요.
평가원의 문학 문제들의 대부분에는, 마법과 같은 단어들이 있어요. 바로 "가장"이란 단어죠. 이 "가장"이라는 단어 때문에, 우리는 선지의 완벽하고 논리적인 정/오를 판단할 것을 요구받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옳은, 또는 상대적으로 옳지 않은 정답을 '확실하게' 찾을 수 있다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기출에서 평가원은 이 "가장"이라는 말의 선을 지켜왔고요. 사설이 아닌 오로지 평가원으로 문학 선지 분석 학습을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기출 학습을 할 때, "이게 답인 것이 확실한 것은 알겠는데, 저 선지도 이렇게 보면 충분히 맞다고 볼 수 있는게 아닐까요?"라는 태도는 분명히 한 번쯤은 고민해볼만한 태도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그런 '가능성'들까지 원천봉쇄하며 논리적인 정오판정을 내릴 수는 없어요. 완벽하게 모든 것을 이분법적으로 납득하고 넘어가긴 어렵다는 것이죠. 이 게임은 독서와는 다르거든요. 그저 '왜' 가장 확실한 선지를 확실하게 볼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그렇다면 기출분석을 하는 우리의 태도는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기본적인 태도는, 한 선생님의 말을 빌려 "지문은 간결하게, 보기와 선지는 끈적하게" 보는 태도를 장착하는 것입니다. 지문에서 모든 것을 끌어내려고 하지 마세요. 지문에서는 장르의 가장 본질적인, 정서/태도, 또는 인물/갈등/배경만을 드라이하게 볼 수 있을 정도의 독해만 연습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건, '보기'를 바탕으로 지문의 내용을 연결짓고, 선지의 정오를 판단하되 애매한 경우 어떤 선지를 어떤 근거로 가장 '확실한', 또는 가장 '개연성 있는' 선지로 볼 지에 대한 "Line"을 만들어가시는 것입니다. 평가원 기출문제에 있는 [개연성은 있지만, 다른 '확실한' 선지에 밀려 정답이 되지 못한 선지]나, [개연성이 확실히 있다고 말하긴 애매하지만 다른 '확실히 틀린' 선지에 밀려 정답이 된 선지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왜 그렇게 판단되었어야만 했는지 고민하며 어떤 것을 '가장' 적절하거나, 적절하지 않다고 고를지, 그 선을 만들어가시는 겁니다.
독서 기출 학습법을 주로 올리는 저에게 최근 부쩍 문학 기출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묻는 분들이 많아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요새 물가 0
진짜 비싸네 병원 가고 밥 몇 번 사먹고 노래방 몇 번 가니까 돈이 금방 줄어듦
-
모집인원 17명에 3차까지 예비 12번인데 가능성있을까요?? 다군은 전화추합 많이...
-
심심하너
-
4차 예비 190번댄데 힘들겠죠…하 진학사5칸이었는데
-
신나서 염1병싸다가 집으로 달려와서 유산소 ㅇ못함 아
-
추합 0
인천대 공대 예비 기다리고 있는데 4차에서 1명도 안 빠졌어요… 이렇게 1명도 안...
-
진로 취업 회사생활 학교생활등 다 괜찮습니당
-
이러면어캄 시바르
-
이화여대 합격 ㅇㅈ 34
17살에 자퇴하고 재수학원 처음 갔을 때 아예 노베이스라 국어 6등급, 수학 8등급...
-
현재 예비 32번인데 될 수 있을까요.. 현재까지 19명 돌았다는데 붙은 대학 새터...
-
대충 봤는데 킬러로 나온다면 지1이킬러잏듯
-
오티 가서 인스타 맞팔한다고 폰 돌리다가 위험한 누님들 ㅈㄴ뜰거 같은데 어캄;;
-
오르비 늘리기 2
.
-
이거 이중등록입니까?
-
어디가 유망한가요?
-
ㅈㄱㄴ 고대 인공지능은 최초합받았고 제주약대는 현재 예비 70위 만약 제주대 붙으면...
-
상지b 빵이네 1
971까지 무난하게 뚫리겠네요 ㄷㄷ a형보다 점수컷 더 낮겠어요
-
유독 훌리들이 많은거 같네 ㅋㅋㅋㅋㅋㅋ ㅋ ㅋ ㅋㅋ ㅋ ㅋㅋ ㅋㅋㅋ ㅋㅋㅋㅋ 딱...
-
744는 합격 가능성 낮은 점수인가요??
-
“수학의 정석“ 걍 앞으로 과외할때 정석+쎈으로 개념입문 시켜야겠음
-
26뉴런 강의 나와있는건 다 들었고 지금 수분감 적분 파트 빼고 다 풀었습니다....
-
오랜만에 수학 하려니까 힘드네요 개념서로 마플교과서가 있는데, 마플교과서에서 안나올...
-
네
-
나 1
손떨려
-
입학시 자퇴 0
군수해서 이번에 고대 추합을 했는데 지금 일본이라 당장 자퇴를 못하는 상황입니다....
-
중대경영 6
1000번안팎으로 돌거 같은데
-
현역수능 21111 평백 97.x 4칸 합격 제가 생각하기에 제가 갈 수 있는...
-
19명 뽑던 학과에서 적게 돌면 3n에서 5n까지 돌던 과인데 올해 자전 이슈로...
-
전화추합시즌끝나면와야겠다난원래속이좁은사람임
-
지듣노 0
-
대출해준다는 명함에 적혀있는 번호로 전화해서 빌릴때 그냥 바로 빌릴수 있음요? 딱히 뭐 없이??
-
추합 질문 2
추합 마지막날 등록포기한 사람이 있으면 바로 전화추합에 반영되나요??
-
외대 자전 2
외대 자전 몇점까지 빠졌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
전 프사를 맞춰볼게요 57
이건 ㄹㅇ 어려울 듯
-
제가 딱 예상한 언저리에서 끊길듯 전 55등 97.33으로 말씀드렸는데 이것보단...
-
971도 붙는건가
-
안녕하세요 4
처음글쓰네요 뉴비 덕코먹기라고 합니다.
-
중앙대 추합 2
오늘은 끝난건가요? 그리고 중경영 합격등수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ㅜ
-
내이미지 맞춰봄 4
맞췃음
-
ㅈㄱㄴ 기본정석같은건가
-
둘다 붙으면 어디가시나요?
-
답답할 땐 최초합부터 지금까지 예비 1인 저를 생각합시다
-
전 닉을 맞춰볼게요 42
잘 못 맞출 거 같긴함
-
2026 뉴런 권당 5천원은 좋긴 한데 뭐지
-
다른거하다가 못받을까봐 너무 걱정되네요
-
.
-
친구가 애인이랑 헤어지고 나서 커플링 걍 가지라고 애들한테 주길래 오 ㅋㅋㅋㅋ...
-
성균관대 질문 12
소프트웨어학과 어떤가요? 학과 홈페이지에 취업통계같은것도 안나오는데 지금 성대 예비...
선 좋아요 후 감상
선좋후감
이 분을 보니 유아독존님 행보를 이어가시는듯 얼마없는 귀한 칼럼러이심
극찬이십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짧지만 있어야 하는 말이 전부 있는... 격공합니디ㅏ
왕 피램 문학으로 공뷰즁인데 피램 책에 나와있는 것처럼 똑같이 말씀하셔서 놀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