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제한효소 풀이 가이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700556
생명과학2_제한효소.pdf
** 감상 전, 좋아요와 팔로우는 다음 칼럼을 쓰는데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본체만채입니다. 처음으로 써보는 생2 킬러 유형별 분석 칼럼입니다. 첫 번째 유형은 제한효소로 시작하겠습니다. 그나마 가장 재밌(?)게 시작해볼 수 있는 주제이고, 기출문제의 양이 많지 않아 이 주제를 첫 번째로 뽑게 되었습니다.
제한효소 문제는 21학년도 수능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22학년도 수능부터는 위의 사진과 같이 비어있는 염기를 모두 채우는 형식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23, 24 수능에 모두 출제되었던 유형이니, 아마 앞으로도 수능에선 제한효소 문제가 나올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오늘 제가 집중해볼 문항은, 22수능에 처음 등장했던 염기를 채우는 형식의 제한효소 문항입니다. 가볍게 실전개념/표기 방법을 정리하고, 저와 함께 기출문제들을 살펴봅시다.
[1] 표기법
제한효소는 위의 사진과 같이, 일자의 형태로 잘리는 경우가 있고, 사선의 형태로 잘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선의 형태로 잘리는 경우를 ‘점착성 말단’, 일자의 형태로 잘리는 경우를 ‘평활성 말단’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보시면 알겠지만, 360도 거꾸로 뒤집어도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점대칭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회문 구조’라고 부릅니다.
제한효소의 ‘점대칭’이라는 특성 때문에, 우리는 문제를 풀 때는 두 서열 중 한 쪽만 관찰해도 괜찮습니다. 반대쪽의 상황은 어차피 점대칭으로 똑같기 때문이죠. 또, 점착성 말단이냐, 비점착성 말단이냐와 상관없이 잘리는 부분을 표현할 때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가운데 (세 번째와 네 번째 사이)에 가볍게 잘리는 표시를 할 것입니다.
[2] Setting
저는 제한효소 문제들을 풀기 전에, 필요한 조건들을 정리하여 세팅하고 출발합니다. 먼저, 귀찮더라도 염기 서열을 5개의 단위로 잘라주세요. 조각의 개수를 세야 하기 때문에 염기서열을 따라가야 하는데, 매번 세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입니다. 염기서열은 아래의 두 그림처럼 그냥 문제 위에 표기하셔도 되고, 아니면 세로 염기 틀을 다 만들어주셔도 괜찮습니다.
(그냥 문제 위에 표시하는 경우)
(따로 새로 그리는 경우)
그리고 표에 정리되어 있는 조각의 수를 2로 나누어 밑에 다시 적어주세요. 2로 나누는 이유는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우리는 염기쌍 전체가 아닌, 한쪽의 염기만 관찰해주면 되기 때문이죠. 최종적으로 우리는 이 조각들의 순서를 맞춰야 하는데, 우리는 아래의 그림처럼, 이 순서를 표의 위에 붉은색으로 작성할 것입니다.
[3] 첫 단추
제한효소 문제는 첫 단추를 잘 꿰면, 그 뒤에는 모순을 따지며 조각들을 그저 채워주시면 됩니다. 이 첫 단추로 사용되는 조건에는 지금까지 평가원 및 교육청에 출제된 문제들 기준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었고, 모든 문제가 이 조건들로 시작했습니다.
(1) 하나의 제한효소로 잘랐을 때, 크기가 6보다 작은 조각
하나의 제한효소로 잘랐을 때 크기가 6보다 작은 조각은, 반드시 염기서열의 왼쪽 끝, 또는 오른쪽 끝에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가운데에 올 수 없기 때문이죠. 같은 제한효소 인식부위가 연속으로 두 개 놓여있다 하더라도 만들어질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조각은 6입니다. 다만 다른 제한효소로 잘랐을 때 크기가 6보다 작은 조각은 충분히 가운데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2) 부분과 전체를 통한 관계의 파악
위 사진처럼, 하나의 제한효소가 사용된 시험관과, 같은 종류의 제한효소를 다른 제한효소와 섞어서 사용한 시험관의 조각 조건을 함께 제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조건들을 엮어, 조각들이 어떤 순서로 배치되었는지 순서를 잡아볼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의 경우에는 2번 시험관, 4번 시험관의 P와 X에 대해 각각 나타나있는 조건을 5번 시험관에서 P와 X를 함께 나타낸 자료와 연관지어 해석해주셔야 합니다.
2번 시험관은 7, 13, 20의 세 조각으로 쪼개지고, 4번 시험관은 18, 22의 두 조각으로 쪼개지며 5번 시험관은 7, 9, 11, 13의 네 조각으로 쪼개집니다. 5번 시험관의 9와 11을 합쳐 20을 만들 수 있고, 18의 조각은 7과 11, 22의 조각은 9와 13을 합쳐 만들어집니다. 이 조건들을 조합하면, 5번 시험관의 네 조각이 7/11/9/13, 또는 이를 뒤집어 13/9/11/7의 순으로 배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죠. 이렇게 부분-전체의 관계를 통해 파악한 정보가 첫 단추가 되는 조건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첫 단추를 잘 꿰고 나면, 이후에는 표에 있는 정보들을 사용하며 조각들을 채워주시면 됩니다. 첫 단추를 어떻게 꿰며 시작하는지, 저와 함께 기출문제들을 풀어보며 살펴봅시다. 기출문제의 문제지는 첨부된 pdf 파일에 있습니다. 필요하시다면 출력하여 풀어보시길 권합니다. 난이도 순서대로 배치하였으니, 순서대로 풀어보시고 함께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문제에 표시한 내용의 색깔이 다른 것은, 각각의 Step별로 알아낼 수 있는 조건을 다른 색깔로 나타낸 것입니다. 문제 풀기 전 세팅 단계는 검은색, 첫 단계는 붉은색, 두 번째 단계는 푸른색, 이후의 단계는 보라색과 녹색으로 표시했습니다. 각 Step에서 어떤 조건이 결정되는지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31018의 시작조건은 6보다 작은, 2번 시험관과 3번 시험관의 두 조각이였습니다. 여기서 출발하여 나머지 조건들을 활용해 풀어주시면 정답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211020의 시작조건 역시나 6보다 작은, (가) 제한효소와 (다) 제한효소에 대한 조건이였고요. 이 조건을 헤쳐나간 후에 모순을 찾기 위해 케이스 분류를 해줬어야 했고, 이 과정만 잘 넘으면 정답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번 수능의 16번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경우에는 1번, 2번, 4번 시험관의 정보를 엮어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봐주시는게 시작조건이였습니다. 케이스가 두 가지가 나오는데, 이 두 가지 케이스를 끌고가다 보면 Step 2에서 후자의 케이스가 소거됩니다.
230918입니다. 이 문제는 앞의 문제에 비해 비어있는 염기의 수가 훨씬 작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건이 많기에, 시간은 어느정도 사용했어야 했구요. 시작조건은 2, 3, 5번째 시험관 조건을 엮어서 두 가지의 케이스를 나누셨어야 합니다. 위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이 두 케이스를 그대로 끌고가며 결정하다 보면 하나의 케이스가 소거됐구요.
231115입니다. 각각의 제한효소들도 제시하지 않아서, 결정해야 하는 조건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역시나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활용하며 시작하셨어야 했는데, 이 조건을 파악하고 나서도 따져보아야 할 것들이 굉장히 많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입니다.
221115입니다. 이 유형의 시작이기도 하구요. 2, 4, 5번 시험관을 엮으면 부분-전체의 관계에 의해 케이스가 하나로 결정됩니다. 이 부분만 잘 넘는다면 그렇게 어렵지 않게 케이스가 결정됩니다.
오늘 이렇게 함께 제한효소에 대한 실전개념, 그리고 주요 기출문항들을 함께 살펴봤습니다. 투과목의 수요는 많지 않겠지만, 원하는 사람이 0이 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서 도와드리겠습니다. 다음 주제로 보고싶으신 내용들을 댓글에 남겨주시면 또 이렇게 준비해서 오겠습니다!! :)
0 XDK (+1,000)
-
1,000
-
해설 봐도 비약 같고 억지로 느껴지는데 어떡하죠...
-
수능 끝나면 1
국토 대장정 갈 생각임.
-
양치기가답인가
-
배각의 공식 정도는 13
그냥 외우고 있는게 나을거 같쥬?
-
재종 담임쌤이 컨텐츠 없으니 과년도 컨 구해놨다고 놓고가셨는데 개념형 모고는 아닌데...
-
스킬 딸깍으로 안되는 문제도 많은데 ㅈㄴ푼다고 확실해지는거 같지도 않고... 문제...
-
맛점 1
ㅇㅇ
-
23 투과목 이상으로 탈주가 심한 상황에서 평년처럼 컷 잡아버리면 어이없는 점수로...
-
과탐이 재밌다 생명 지구를 좋아한다 생명이 좋다 지구도 좋다 나는 과탐을 좋아해서...
-
50받아도 손해큰가?
-
7덮 76점 찍음 하… 자살할게
-
기쁘구나…
-
붙기만하면 아무 상관없다는 것임..
-
서울대보다 연대가 가기 더 힘듦 1중~후 설합 연대광탈 ㅋㅋ 학종기준
-
연대 수학 4 2
가4나1논리 적용하면 저 성적은 가나형 문과기준 98 96 1 1 1 이라...
-
진짜 돌이킬 수 없아 ㅈ될 것 같다 당분간 4,5시간은 박아야겠다
-
학원 어디다니시나용 그나마 은평잇올 이투스가 통학하기 편해보이긴하는데
-
언매 나 70분컷 97인데 국어 1컷 93 예정인 듯 좀 더 어렵게지내주지;;
-
얘 진짜 1은 죽어도 안나오네 하루에 2시간은 해야하나
-
기출 다 풀었고 어삼쉬사 하고 있습니다 3모때부터 단 한번도 주관식을 맞혀본 적이...
-
omr/검토 안한거 기준 사실 쉬워서 이걸로 실력 측정하긴 좀 그런데 어제 더프풀고 이거푸니 편안
-
수학4등급이에여
-
4벗어나기 1
현역 고3 이고 높4에서 못벗어나고있습니다. 목표는 높3이고 화작은 다맞거나...
-
뭔가 독서가 말이 안되는거같은데 실력 탓이겠죠;;;
-
더프 수학난이도 3
미적기준 1컷 몇정도임?
-
수학황만 1
시발점 수1,수2,확통 시발점 워크북 수1,수2,확통 수분감 수1,수2,확통 뉴런...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언매 기하 영 한지 세지 93 97 2 99 99 이 점수로 어디 정도 되나요...
-
제발
-
https://orbi.kr/00073861497/경북대%20모바일%20계약학과 이...
-
빡셌던거 맞죠? 12번 언더에서 시간 ㅈㄴ써서 미적 4점 건드릴 시간이 없어서 하나맞음
-
진짜 말안더ㅣ긴한다
-
오늘 점심 4
만두
-
너무 아쉽다..
-
바람 개많이분다 0
우산 고장나서 못씀 ㅋㅋㅋㅋㅋㅋㅋ
-
되게 잘낸듯..
-
Fc 서울 Fc 바르셀로나 2등석 A 2연석 티켓 판매 0
정가 : 일괄 40만원 판매가 : 일괄 32만원
-
더프 생명 점수 3
42점이면 사탐런 해야함?
-
더프가 엔수생만 치니까 현역들 껴있을때 컷인건가용?
-
여태까지 서류안내도 되는 질병결석인줄앎. 월1회 정기휴가권이었구나. ㅋㅋㅋㅋ
-
이 대통령, ‘남성 차별’ 화두 먼저 꺼냈다…국무회의 기록 보니 [지금뉴스] 14
이재명 대통령이 20대 남성, 이른바 '이대남'들이 겪는 차별 문제를 연구해서...
-
비많이오내 8
폭우 맞아서 사오던 커피 양 많아짐뇨 ㄱㅇㄷ
-
최악의 이름이다 대체 왜?
-
이제부터라도 제대로살아볼게
-
속이안좋아 1
힝 힝
-
코유키의냐하하라즈베리샌드케이크랑 유우카의인수분해블루베리슈는 업나여
-
연대는 너무올라갓어 ㅜ
-
ㄴㅇㅅ ㅋㅋㅋ
-
정법 0
올해 사탐런해서 정법하는디 6월 7월 두달동안 개념 ebs 끝낸 후에 빨더텅으로...
-
11 12 13 14 15 뭔가 조금씩 다 안풀려서 다른문제 넘어갔다오니...
이거보고 얌전히 경제나 해야겠다
경..제??
갑자기 생1이 선녀같아요...

기다렸어요!!이게 제한효소지~
좋은 팁 감사합니당
감사합니다. 코돈추론도 기대되네요
생2러인데 너무 감사합니다!
내가 이걸 수능 전에 알았더라면
정성 무엇!!
혹시 코돈이나 복추도 가능하실까요 ㅜ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