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1등급가자 [407107] · MS 2018 · 쪽지

2015-10-15 14:11:23
조회수 471

포만한 예평 지1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53517

13번에 ㄷ  지금까지   엘니뇨시기에 동태평양 수온올라가니깐 수온약층발달하고  혼합층 약화되고 반대로 라니냐시기에는 동태평양 수온낮아지니깐 혼합층발달하고 수온약층 약해지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오개념인가요 갑자기헷갈리네요  용승이 일어나면 왜 수온약층이 발달하는지도모르겠고  수온약층이발달할조건과, 혼합층발달할조건  엘니뇨시기/라니냐시기 동태평양/ 서태평양  각각 발달하는것과 약해지는것 명확하고 깔끔하게 정리좀부탁드려요 ㅠ ㅠ 너무헷갈리네요 

 

그리고 17번 ㄱㄴㄷ 세개다 해설좀부탁드려요 딴건다됬는데 17번은 명확히못풀겠네요  옳게푼지도모르겠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6:02 · MS 2015

    엘리뇨시 동태평양은 무역풍의 약화로 서쪽애 몰려있는 따듯한 물이 동쪽으로 많이 퍼집니다 따라서 동태평양 수온이 증가하며 심해층과 혼합층의 온도차가 커져서 오히려 수온약층은 발달하겠네요
    그리고 혼합층의 발달수준은 바람의 세기로 판단하시는겁니다.
    즉 엘리뇨시기에는 바람이 약해져서 혼합층의 두께가 줄었다고 판단가능합니다

    추가로 수온이 올라가면 주변지역의 온도가 증가하며 동태평양같은경우는 저기압발달로 홍수의 위험성 증가가 되겠네요?

    즉 혼합층:바람의 세기
    수온약층:표층수온과 심해층수온의 온도차로 결정
    심해층:연중 유사


    근데 이런거 물어보는 문제 잘 못봄,,,

    추가로 용승이 일어나면 수온약층이 발달한다...는 제가 모르는 얘기라 ㅈㅅ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6:16 · MS 2015

    17번 해석(저도 일개 수험생이라 틀릴수도있어요 정확한건 RIGEL님께~~)


    사실 이문제는 정남이 아니라 남동쪽을 본게 맞는듯ㅎㅎ

    일단 추분날 북위 30도입니다 그리고 남쪽하늘입니다
    그리고 달의 모양이 상현달입니다 그것도 정확히 똑바로 서있는 상현달입니다 이것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저 달이 있는곳이 정 남쪽이라는 것입니다 그럼 오늘은 추분날이니 달의 적경은 18시겠네요? (평면도만 그리시면 쉽게 파악가능)
    그리고 행성 X는 동쪽하늘에 있습니다 행성의 적경은 따라서 약 22? 23시? 정도 되겠네요(역시 평면도로 파악가능)

    그리고 지금은 초저녁입니다 (달의 모양으로 판단가능)
    그말은 내행성은 초저녁시간에 동쪽하늘에서 볼수없으니 행성 X는 외행성이겠네요
    더군다나 행성 X는 황도상이니 ㅎㅎ

    (참고로 제가쓰는 방법인데 이거 외우시면 편합니다 저서상, 새동하 (모르시겠다면 답글 ㄱㄱ))

    그리고 아까 판단하신 행성의 적경 22~23시 이말은 곧 행성의 적위가 "-"라는것을 의미하죠?
    따라서 남중고도 공식에 대입시 남중고도는 60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4번이겠네요ㅎㅎ

  • 수리1등급가자 · 407107 · 15/10/15 17:27 · MS 2018

    감사합니다 대충이해됬네요 ㅋㅋ 저서상 새동하가뭔가요 저녁 서쪽하늘 새벽 동쪽하늘 이건가 저서하 새동하 아닌가요 ?ㅋㅋ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8:22 · MS 2015

    ㅎㅎ 예를들어 금성이나 수성 그리고 달처럼 황도근처에 있는 천체들은

    저서상(저녁 서쪽하늘 상현의 모습)
    새동하(새벽 동쪽하늘 하현의 모습)이 성립합니다

    외우면 정말 도움되요ㅎㅎ



    그럼 오늘도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