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학습법 [584465] · MS 2015 · 쪽지

2015-10-11 22:15:16
조회수 1,963

생윤 질문- 공리주의와 전체주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37081

'공리주의는 사회 전체를 위해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침해해도 된다고 본다'-참


이유: 공리주의자들(대표자 벤담)은 자신이 사회적 약자가 될 리가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에 전체 이익을 위해서라면 약자를 희생 가능.

사회적 약자를 희생해서 최대 이익을 추구한다는 뜻인데 이는 전체주의의 견해와도 일부 비슷함.

결국 공리주의=전체주의 라는 뜻인데...

오늘도 혼란이 가중되는 생활과 윤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안희자 · 526327 · 15/10/11 22:31 · MS 2014

    ㅋ_ㅋ........

    공리주의자가 자신이 사회적 약자가 될 리가 없다는 생각때문에 사회 전체 이익을 고려한건 아니에요.

    공리주의의 등장 배경이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본주의가 발전해나가던 시기인데

    이 당시 자본가들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이기적으로 추구하고 노동을 착취하고 빈부격차가 심해지니

    공리주의자들이 공동체 와해에 대한 위기의식을 느낀거죠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 위해 등장한게 공리주의며

    개인의 희생은 의무가 아니라 어쩔수 없는 불가피성으로서 말한거에요.

    공리주의에서 전체주의를 추론하시다니... 당신의 추론능력에 무릎을 탁치고 갑니다.!

  • 즈베즈다 · 500232 · 15/10/11 23:13

    이지영 선생님 말씀에 따르면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이익의 조화를 추구한다. 고로 자신, 즉 개인의 이익의 희생을 필요하다고 보지 않는다,
    하지만 사회적 약자의 경우는 다르다. 왜냐하면 공리주의는 롤스의 '원초적 상황'의 합리적 이기주의자들과는 다르게 자신이 사회적 약자가 될 것이라는 가정을 하지않는다.
    고로, 사회적 약자를 희생시켜 개인(사회적 약자가 될 리 없는 자신)과 사회의 이익을 극대화 시킨다.

    전체주의의 경우는 국가,즉 전체를 위해 사회적 약자든 아니든 그냥 '개인'의 희생이 가능하다는것 아닌가요? 공리주의는 '사회적 약자'의 희생만 가능하다는것이고...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