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학습법 [584465] · MS 2015 · 쪽지

2015-10-10 21:33:36
조회수 622

생활과 윤리 (생태윤리) 질문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29466

일단 제가 알고있는대로 적어보겠습니다.


1. 싱어

감정중심주의로 이익의 평등한 고려원칙을 들어 동물의 내재적 가치를 주장함.

'동물 해방론'에서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강조했으며 인간과 '일부' 동물은 동일한 쾌고감수능력을 지닌다고 봄.

쾌고감수능력이 없는 동물은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아님.

인간과 동물의 위계를 인정하지 않음.

공리주의 철학자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가정하의 동물 살육을 인정함.

채식주의자.

2. 레건

감정중심주의로 삶의 주체성을 가진 '몇몇 포유류' 의 내재적 가치를 주장함.

'동물 권리론'에서 동물의 '도덕적 권리'를 강조함.

의식, 지각, 기억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들어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강조함.


3. 테일러

레건과 마찬가지로 일부 동물은 삶의 주체성을 가지므로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봄.


뭔가가 계속 헷갈리는데 확실히 정리가 안되네요..

틀린부분이 있다면 고쳐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6연의류 · 564538 · 15/10/10 21:39 · MS 2015

    테일러는 일부동물아니고 슈바이처랑같은팀아니에요?.? 모든 생명은 다무슨목적을 가져서 내재적가치를 가진다뭐그런소리한거같은데.. 목적론적뭐라고 배운거같아요!

  • Lboy · 598968 · 15/10/10 21:44 · MS 2015

    그런데 이게 저번에 싱어 글 관련 올라왔을 때 생각한거지만, "동물의 내재적 가치" 를 옹호한다면 동물의 생명이 수단적으로 쓰여서는 안되는데, 싱어는 공리주의적 입장이기 때문에 부적절한 면이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동물"의 내재적 가치가 아니라, 쾌락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고 그 가치가 일부 동물에게도 적용된다고 보는듯. 그리고 테일러는 모든 생명, 모든 동식물이 중요하대요

  • 이안희자 · 526327 · 15/10/10 21:46 · MS 2014

    싱어의 경우 도덕적 관점에서 인간과 동물이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므로

    인간과 동물은 위계적 질서가 존재합니다.

    식물은 수단적가치를 지니므로 위계질서가 가장 낮고

    동물은 수단적가치와 동시에 일부 동물의 경우 내재적가치도 지니므므로 식물보다 위계질서가 높습니다.

    인간의 경우 동물보다 좀더 본질적인,내재적인가치를 지니므로 동물보다 위계질서가 높습니다.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삶의 목적적 존재로서의 삶의 주체라고 주장합니다.

    즉, 식물까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합니다.

  • 삼서생 · 556965 · 15/10/10 21:46 · MS 2015

    이익의 평등한 고려원칙을 들어 동물의 내재적 가치를 주장함.->이건 논란이 좀 잇을 수 잇을거 같아요. 내재적 가치라는 게 그 자체로 가치가 잇는 것인데 '이익의 평등한 고려원칙'이라는 다른 가치를 근거로 설명한다면 내재적 가치라고 말하기 힘들거 같아요.

    싱어 인간과 동물의 위계 인정합니다. 도덕적 권리의 차원에서요.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자기 보존과 행복을 위해 움직이는 목적론적 삶의 중심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일부 동물을 모든 생명체로 바꿔야 할 거 같아요

  • Lboy · 598968 · 15/10/10 21:48 · MS 2015

    혹시 싱어가 인간의 희생에 대해서는 내재적 가치 입장인지, 공리주의적 입장인지 알고 계시나요?

  • 삼서생 · 556965 · 15/10/10 21:51 · MS 2015

    그것에 대해 배운적은 없지만 싱어 자체가 공리주의적 입장이니 인간에 대해서도 공리주의적 입장을 취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Lboy · 598968 · 15/10/10 21:52 · MS 2015

    답변 감사합니다

  • 16연의류 · 564538 · 15/10/10 21:49 · MS 2015

    저 글쓴이는 아니지만 ... 그럼 싱어는 동물 인간 둘다 존중하는데 동물 인간 한명만 구하면 인간구하는 그런거에요?.?

  • 삼서생 · 556965 · 15/10/10 21:53 · MS 2015

    그 상황을 이익관심의 차원으로 볼 것이냐 도덕적 권리의 차원으로 볼 것이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겟죠. 그냥 인간과 동물의 동등한 도덕적 권리를 주장햇다(x)정도로 아시면 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