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134863
안녕하세요 오르비에서 수능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윤응식T입니다.
오늘 말씀드릴 두 가지 내용은 본격적인 공부 시작에 분명 도움이 될 이야기니 꼭 읽어보세요!!
아무래도 제가 사범대 소속이다보니 교육에 대한 수업(교직)을 꼭 들어야 하는데...
마지막 학기에 배운 내용이 너무 좋은 내용이라 교수님께 인용한다고 허락도 받았어요ㅎㅎ
(교수님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2024 수능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수능 국어 공부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주제로
12월 31일에 무료특강을 진행하니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추후 제 강의를 듣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분명 도움이 될 것이고, 전 도움을 드리고 싶은 욕심이 있으니...
신청 링크는 글 말미에 넣어두겠습니다!
#1. 지식착각 주의하기
간단하게 여러분에게 묻겠습니다.
두 그룹 A와 B는 변기 수조의 작동 원리(구성, 물의 배출과 유입 등)에 대해서 학습합니다.
과연 둘 중 누구의 학습이 더 성공적일까요?
A : 언어적인 설명으로 작성된 책을 보고 학습합니다.
B : 언어적인 설명으로 작성된 책과 시각적 표상인 동영상을 이용하여 학습합니다.
B그룹은 A그룹보다 학습에서 흥미를 더 가지고, '내가 이 내용을 잘 이해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나친 자신감은 내가 어느 정도 학습 성취를 이루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이것을 '지식착각'이라고 해봅시다.
지식착각 : 내가 이 내용을 다 이해하였으며, 알게 되었다고 착각하는 것!
실제로 관련 연구에서
A그룹이 B그룹보다 시험을 통해 평가했을 때 더 우수한 성취를 보인다고 합니다.
이 예시는 우리가 활용하는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언어적인 설명'과 ''시각적 표상'을 동시에 활용하는 분산처리(이중부호화)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혼자서 공부하는 상황'과 '인강 등을 활용하여 공부하는 상황'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B그룹, 즉, 영상 매체(인강 등)를 이용한 학습은 좋지 않을 걸까요?
절대 아닙니다.
효율적인 학습과 기억의 장기보존에 오히려 큰 도움이 됩니다.
단, 지식 착각에 주의하셔야 된다는 말씀을 드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일부 학자들은
분산처리를 활용하는 것보다 학습 단계에서 지루함을 주는 것이 성공적인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고 합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조차도 수험생 시절 많은 인강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항상 인강을 들은 이후에 강사의 언어가 아닌 나의 언어로 바꾸어서 공부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수능 국어에서도 특정 강사가 설명해주는 내용을 듣고, 그 강사의 태도를 복습하는 것에서 나아가
'내가 과연 이걸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는 것이 나한테 더 맞을까?'
'서로 다른 이 두 지문 혹은 문제가 어떤 관련이 있을까?'
등 많은 질문을 던지며 공부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대학에서도 이러한 태도를 유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꽤 우수한 성적을 만들었던 것 같아요.
여러분이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하는 데에 앞서 이 내용을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누군가의 강의, 누군가의 설명은 절대로 듣는 우리의 것이 아닙니다. 그 사람의 것입니다.
우리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학습을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됩니다.
제가 항상 수업 때 하는 말이 있죠?
'이렇게 분석하고, 이렇게 읽고, 문제를 푸는 모든 것은 내꺼다.
보고 이해했다고 해서 너꺼가 된 게 아니다.
이 흐름 그대로 스스로 새로운 지문에 적용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2. 메타인지란 무엇인가?
위의 맥락에서 메타인지에 대한 설명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도 메타인지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몰랐는데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배웠습니다.
메타인지란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한 자각과 통제', 쉽게 이야기하면 '인지에 대한 인지'라고 합니다.
내가 하고 있는 인지작용을 다시 인지하는 것이지요.
개인적으로 메타인지는 끊임없이 점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내가 이것을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인지?' '내가 이것을 시험장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인지?'
수험생의 시점이라면 이런 생각도 하셔야겠지요.
요즘은 워낙 많은 공부법과 관련 방송들이 많아지고 있어서 학습과 관련된 시행착오가 줄고 있긴 하지만...
또 이게 나 자신의 일이 되었을 때는 당연히 시행착오가 있기 마련이거든요.
그러니 1월 공부부터 내가 하고 있는 학습 그 자체에 대한 학습을 꾸준히 하기 바라겠습니다.
크게 세 가지를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메타인지의 기능이기도 한 '계획', '점검', '조절'입니다.
계획 :
학습을 어떻게 더 잘 할 수 있을지? 어떤 환경에서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계획을 스스로 세워야 합니다.
=> 플래너를 작성하는 행동이 있겠지요.
점검 :
나의 이해가 정확한 것인지를 학습 내용적으로 점검하셔야 합니다.
=> 강의에 들은 내용을 내가 적용하고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점검하는 것이 해당하겠지요.
나아가 나의 학습과 인지 과정에 대한 점검도 놓쳐서는 안 됩니다.
=> '나의 계획이 성공적이었는지, 학습 방법은 괜찮았는지 등등'
조절 :
사전의 경험을 통해 더 잘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개인의 인지를 조절해야 합니다.
본인만의 방법을 찾아야 된다는 뜻이지요.
사람마다 이 방법에서 큰 차이가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이러합니다.
저는 '무조건 씁니다.' 그리고 '설명합니다.' 이 두 과정을 빼놓고 학습해 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쓰지 못하는 것은 시험장에서 이용할 수 없다는 생각이 강해서 항상 쓰면서 공부하는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수능 국어를 예시로 들자면, 어렸을 때는 문단 정리를 했고, 고등학교 이후에는 지문 전체를 정리하려고 했고,
나아가서 문제와 지문의 연결지점까지 쓰면서 공부했었습니다.
관련 내용을 스스로 설명하기도 했고, 주위 친구들에게 설명을 하기도 했지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지금도... 제 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들이 제가 한 방법 그대로 따라오게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여튼! 이 세 가지 과정을 여러분들 학습에 꼭! 이용하시면 좋겠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겁니다ㅎㅎㅎ
학습과 관련해서 정답은 없습니다.
제 주위만 보아도 인강을 아예 안 듣고도 우수한 성적을 받은 친구도 있고,
눈으로만 공부하는 데도 우수한 성적을 받은 친구도 있습니다.
(수능은 또 심리적인 요인 등이 있으니... 더 정답이 없지요...ㅠㅜㅠ)
그러니..
'메타인지', 꼭 스스로에 대한 점검을 반복하는 수험생활이 되길 바랍니다!
그리고!
'지식착각'에 주의하며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12월 31일 오전 10시부터 무료 특강을 진행합니다!
2024 수능 국어를 통해 앞으로의 수능 국어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제시합니다.
저만큼 수험생의 시각과 강사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일반화하여 제시하는 사람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ㅎ
(이건 살짝 과장..)
무료 특강 때 뵈면 좋겠습니다!!
(1) 12월 31일에 무료 특강을 진행합니다.
오전 10시~12시 30분까지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구글폼 설명을 참고해주시고,
대면/비대면 모두 가능하니 신청하고 강의 들으러 오시면 됩니다!!
지난 추석 특강에서 500명 가량 신청했었는데...
학생들이 이게 왜 무료냐... 공부 방향이 잘 잡힌 것 같다... 등 호평이 있었으니 시간이 되시면 꼭 오셔요!!
(신청링크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CV8ZPRUjvHrQT6enz_Kqj8Uqvet9wzWf6vYHTBklGk7b-Xg/viewform)
(2) 2025학년도 수능 국어 대비 개인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특강과 같은 날 오후에 진행합니다.
개인당 30분씩 강의실에서 대면으로 1:1 컨설팅을 해드리겠습니다.
짧은 시간이지만 학생 개인에게 맞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추후 제 강의를 듣지 않아도 좋으니 시간이 가능하신 분들 신청하시면 됩니다!
예약링크 내 설문을 자세히 작성할수록 유의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노쇼는 안 됩니다ㅜㅠ 흑흑
(예약링크 : https://whattime.co.kr/eungsigy/koreaconsulting)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헤 1
흐ㅔ
-
생명2만 생명1안해도 생명2할수있고 나머지 물리2 화학2 지구2는 물리1 화학1...
-
진짠가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뭐라고 해야 할까요 소규모 단톡방임
-
문득 궁금한게 6
투데이 위에 작은 숫자는 뭐임뇨?
-
ㅇㅇ 5
ㅇㅇ
-
2028 개정 공통수학 공부 관련 투표 부탁드립니다. 0
저는 작년에 확통 92점을 받아 이번에 삼반수를 생각중이며 현재 수학 학원에서...
-
오늘의 첫식사 6
존맛탱
-
으어
-
성대 자과계 전공진입으로 갈 수 있는 학과 종류 뭐있나요 1
수학 화학 물리 생명 이 네개 과밖에 없나요
-
사탐런 질문 1
지구가 백분위 6모 96 9모 91 수능 96인데 반수할 때 계속 들고 가는 게...
-
새터 특징 7
1. 남여인원 같은데 남자는 원룸 여자는 투룸 크기차 ㅈㄴ큼 2. 이불, 베개 다...
-
ㅅㅂㅋㅋㅋㅋㅋ..... 1년동안 뭐쓰시나 너무 궁금했는데 실례같아서 미루고미루다가...
-
2학기 휴학하고 반수했는데 3떨이라 추가모집까지 지원해볼까 싶은데 가능한가요??...
-
지구 첨인데, 2026 입문 특강 한다음 MAGIC 개념완성 하면됨??,
-
가차숍은 붐비고, 학원은 텅 빈다…'썰물의 시대' 접어든 한국[불황의 시그널5] 0
[커버스토리 : 불황의 시그널5] “썰물이 오면 누가 수영복을 입지 않았는지 알 수...
-
눈물으 ㅣ 1~4 번 풀이
-
죽을까 이 정도면 ㄹㅇ 하늘이 나 죽으라고 억까하는 것 같은데
-
학원 면접보고왔다 23
시급2에 주4시간근무.. 저녁타임이라 휴게시간도 1시간줌... 열시묘히 모아서 일본 갈거라네요...
-
영어 모고 1개 벅벅 단어 180개 자이 수1 100문제
-
학생증 어디가 제일 예쁘냐?? 나는 중앙대
-
확 마 아오 그냥
-
전적대 왔다 2
자퇴 완
-
순서대로 한국사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탐구2 제2외국어 어디를 갈 수 있을것 같나요
-
현역 때 수능 말아 먹고 재수 때 공대 합격했지만 의대에 미련이 남아 삼수했고...
-
글쓰기에서 임시저장된글 누르면 한 13~14개정도만 나오고 나머진 스크롤 내려도...
-
점수 혹은 내신 몇인지랑, 몇차추합때 붙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메모장하고 펜 꼭 챙겨가야겠다
-
서울대학교 정외 지균 / 인문 지균 / 아동가족 / 자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 /...
-
V플랫이랑 아크로 스캔 말고 다른거 있음?
-
기회 없이 걍 탈락 끝인거예요? 대구 사는데 어떡하지
-
홍대에 살아야지 그냥
-
생1생2 하니까 국수영탐탐이 아니라 국수영생물학전공으로 수능준비하는느낌.. 5
하루에 3시간씩 생명공부만 하니까 적성에 맞아서 그런지 참 재밌네요 근데 생2...
-
2405 경제 도전 12
1컷 41 예상점수 맞출시 천덕
-
“선물 전해줘” SNS 연인 믿고 출국…마약운반책 됐다 0
연애 감정을 악용해 돈을 뜯어내거나 특정 행동을 강요하는 ‘로맨스 스캠’ 등의...
-
왤케 하기 싫지 50점 받을수 있는데도 하기가 싫음
-
빈칸 순삽 21번등 킬러중에 3개까지만 틀려야함..
-
배아파 6
배가 아픈데 내장이 아니라 뱃가죽이 아픈 느낌.. 잘 때 뭐 이상한 거에 찔렸나..??
-
수학 >>>>>>>>>>>>>> 국어 >> 사문 >>>>>>> 영어 지구는...
-
만들어주세요 스샷 찍음
-
올수정도 리스닝까진 다 맞아야지 예상범위내로 나오지
-
뭐라도 잘하는게 있으면 좋겠는데 그런게 아예 없으니 걍 인생 망한 느낌임
-
님들도ㄱㄱ
-
이런것도있었네,,, 노베들이 공부어캐하는지 모를때 보는거임??
-
그냥 투로 드가자
-
최소 4000원 아낀듯 행-복
-
드릴을 무표정으로 슥슥 풀어넘기는 모습을 보니 여붕이랑 함께 적분해서 적분상수 낳고싶구나
-
1컷 받는 난이도 생각해보면 과탐 > 국어 >= 영어 > 수학 >> 사탐 인것같음...
-
홈페이지는 다들 2025 에서 멈춰있네요.
2024년 화이팅입니다☺️
고고!!!
개인컨설팅 신청하고싶었는데 지방이라 아쉽네용 ㅜㅜ
쪽지로 물어봐주셔도 됩니다!! 친절하게 답변드릴게요!!
특강은 보셨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