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수능 물리1 4페이지 분석서 + 현장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007921
안녕하세요 이번에 24수능 물1에 응시해서 50점을 받은 허수입니다.
밤에 할 짓이 없어서 분석 및 풀이를 공유하니 아이디어랑 많은 것을 가져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그저 풀이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닌 그 정형화된 풀이가 어떻게 해서 잡혔는지
이 부분에 대해 고민하시고 반드시 제시한 풀이 방법이 아니더라도
여러분의 풀이법을 다양화하고 정형화시켜 수능장에서도 반사적으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열심히 연구하시기 바랍니다.
* 본인은 시대인재 현정훈 커리 수강생입니다. 따라서 현정훈T에게 어느 정도 세뇌가 되었습니다.
* 악필주의
17번
전자기 유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나만의 규칙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 유도기전력 V= - N [ { B * dS } + { S + dB} ] 로 정형화합니다.
문제에선 자기장이 변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제일 위에 표시처럼 간단하게 표시되는 거죠.
그럼 부호는 어떡하나요? 라고 했을 때 유도된 자기장의 방향이 나올 때가 + 이기 때문에
무난하게 저 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자기장이 나오는 방향을 +로 잡아주기 때문에 이렇게 정형화해도 상관은 없으나 만약에 대비해 들어가는 방향이 +라면 전체 공식에 -를 붙여준다.
이렇게 아예 공식을 통째로 정형화하면 전자기유도에서 실수 할 일은 절대 없을 것입니다.
넓이는 d인 정사각형이 1로 정의하고 영역 3의 자기장을 x라고 했을 때 이렇게 대입만 하면 깔끔하게 쓸 수 있습니다.
-d, 3d도 이를 이용해 간단히 구해주면 마무리됩니다.
18번
사실 p와 q에 대한 변화량으로 푸는 것이 자기장의 스킬 중에 하나인데
전 안보이더라구요.
그래서 무난하게 경우 나눠서 썼습니다.
실제로 이 문제 유형은 ebs, 교육청 모고에 나왔고
평가원 모의고사에 경우를 나누게 끔 푸는 기출이 있었으므로
무서워보이는 단순 노가다 문제입니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항상 내가 기준으로 잡는 I/d 값을 써놓고 갑시다.
19번
여러분들 대다수가 기피하는 그래프 풀이입니다.
사실 전 현장에서 20번에서 계산을 말리는 바람에 시간이 부족해서 그냥 대충 써놓고 숫자를 넣었지만...
그러면 풀이를 쓰는 이유가 없으니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B에 대해 구간 QR, RS를 잡았을 때 각각 이동거리는 L로 같고, 걸린 시간은 T, 2T이므로 가속도의 방향은 왼쪽입니다.
그리고 이를 평균속도로 표현하면 T/2 에서 속도 2v, 2T에서 v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3a= 2v/3T로 표현할 수 있는거죠. 이러면 B의 초기, 나중속도를 정확히 7v/3, v/3으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 후 A, B에 대해 변위의 변화량 = 평균속도 * 걸린 시간 , A의 가속도 2a의 값을 염두해
시간은 통제변인으로 날려버리면 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저는 풀이를 쓰려고 문자를 좀 썼는데 혼자 풀 땐 v 전부 갖다버리고 숫자로만 뜁니다.
식도 안쓰고 그냥 숫자 깔짝깔짝 해당 위치에 속도만 적어놓고 풀어버립니다.
근데 실수를 많이 하시는 분은 이렇게 정형화된 식을 적어놓고 밑에 적어보세요. 실수가 많이 줄어듭니다.
그래프를 왜 쓰느냐에 대해 말이 많은데 실수를 하기 쉬운 현장의 특성상 문제 상황을 정확히 한 눈에 보이게 해주는
그래프의 장점은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를 사용해서 푸는 기출이 정확히 있습니다. 비행기 날아다니는 문제, 빗면에서 내려가는 125/4 뭐시기 뭐시기....
풀이에 우열을 가리지 마세요. 모든 정형화된 스킬은 당신의 수험장에서 확실한 50점과 실수 없는 깔끔한 풀이를 보여줄 것입니다.
20번
탄성 충돌을 모른다는 가정 하에 풀겠습니다.
저는 실제로 공부를 안했거든요 껄껄
시작은 충돌 상황부터 분석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저걸 고려 안하면 문자가 너무 많아지거든요.
충돌 시 운동량의 변화량은 일정하고 A, B의 질량비가 1:2 이므로
충돌 후 속도를 v-2v', v'으로 잡은 것 입니다.
에너지 보존 법칙 쓰면 깔끔하게 A, B의 충돌 후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다음부터가 고민인데
보통 에너지 보존 문제에서 변수단순화를 쓸 때 반사적으로 위치에너지를 숫자로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때에 따라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전 실제로 시험장에서 처음에 위치에너지를 숫자로 잡고 계산에서 말렸고
다시 돌아와서는 운동E를 숫자로 잡는게 훨씬 편한 것을 깨달았거든요.
A의 초기 위치에너지 9x, 충돌 전 A의 운동에너지를 9로 잡으면
우측 풀이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올해 수능 물리1 4페이지 풀이 및 분석서를 마치겠습니다.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1. 여러분만의 체계적인 풀이법과 정리 방법이 존재해야합니다. 그래야 실수가 줄어들고 풀이의 일관성이 생겨서
시험장에서 흔들리지 않습니다. 저도 보시면 악필이라 풀 때 정리도 안되고 그랬는데 많이 연습해서 저정도라도 하고
있습니다.
2. 한 가지 풀이로 밀 생각은 버리세요. 풀이의 우열을 가리지 말고 전부 습득하셔야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3. 절대 겸손하세요. 시간 제한 없으면 다들 다 풉니다. 어떻게 쉬운 문제를 빠르게 풀지, 어려운 문제에서 어떤 단서를
찾아 더욱 풀이 과정을 줄일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하세요.
여러분의 2025학년도 수능 물리를 응원합니다.
* 오타, 의견, 질문 모두 환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 자녀이름을 하니로 할건데 한자를 모르겠어요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대학가면 여친 생긴다 했으니까..
-
네 저는 나약한 것입니다 고2때 모고는 다 백분위 98정도에 이번 3모 좀 많이...
-
벚꽃이쁘다 7
-
차라리 N제 1권이라도 더 볼까요 어삼쉬사 난이도 많이 풀고싶은데 강사들 입문 N제를 풀까
-
딸 이름 정함 4
으흐흐
-
4번 연속 다른 감기
-
저는 0
다시 자유의 몸이 되었어요 (헤어졋다는뜻) 축하해주세요
-
2기가 넷플 독점이었는데 1기3기가 내려가면서 2기까지 삭제 된거구나.... 2기...
-
재종 안다니는 물리2 준비하시는분들 지금 어떻게 공부하고 계신가요??? 0
뭐공부하고 계신가요???
-
당시 21번,30번 문제들도 존나 풀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확통5~6등급이...
-
지인선N제 5
학교에서 홍보하는중입니다 고민하는애들한테 추천해줘요 깔게없어서
-
나만 어려움...? 작년엔 술술 푼 기억이 나는데 지금 수1 1강 풀었는데 앞에도...
-
오른쪽이
-
시즌3는 존나어려운데 시즌4는 할만한거같음 전반적으로 드릴3가 드릴4보다...
-
높은 확률로 저보다 수학 잘하십니다. 적정시간은 50~70분입니다. 애초에 선택이...
-
OVS의 약자는 Over victory ebs 즉 승리를 뛰어넘는 ebs로...
-
김과외에 후기 6명 받고 수수료도 꼬박꼬박 내서 4레벨인데… 여전히 과외는 발품...
-
식물샵 가는중 4
룰루
-
[동양철학] 지각에 대한 김창협의 주장(p.25) : 22-7, 19-6 격물치지에...
-
다음화 내용이 줄거리가..... 1기로 끝나는 내용인가
-
이제 진짜 잔다 1
ㅂㅂ
-
띰 6듣는 허수인데 기출 같이 병행중이거든요 근데 원래 같으면 못푸는 문제...
-
얼버기 3
-
진짜 발상 하나는 최고들이네 ㅋㅋㅋ
-
예를들어 미적풀때 기하 시험지에 있는 여백을 연습장처럼 사용해도 될까요?
-
강의량이 진짜 엄청많네..
-
극우 지지층서 ‘윤 어게인’ 급속 확산…국힘 ‘역학구도’ 영향 촉각 1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극우 지지층...
-
대통령 무한루프 2
일각에서 현직 변호사들이 법리적으로 윤석열 후보자 등록가능하고 대선 출마 가능하다고...
-
와따 잘생겼노
-
1컷에서 안정1 0
만드려면 뭘 해야할까요… 그냥 문제 벅벅하라는 강기원쌤 말 듣기?
-
핫도그 4500원 도랐노 2500원이면 적당하구만
-
이감 2회 1
93점이네 흐무
-
6모랑 투표랑 겹치면 오전 6시 반에 투표하고 러셀갈거임 6
안겹치면 좋겠다
-
1번 너무 튀나 근데 좁 튀고 싶은 마음이 있어
-
일단 난 30대 통역사 틀딱임 며칠전에 출장 차 베트남을 다녀왔는데 거기는...
-
공통반과 정규반은 6모 이후부터 합쳐지는 건가요? 만약 합쳐지면 두 반 모두 똑같이...
-
질렷다 1
ㅋㅋ
-
나도 한번 날아보자
-
끝나고 바로 원솔멀텍 박치기해야지
-
작년보다 메디컬이랑 상위 대학 입시는 더 어려워진거 맞죠?
-
사탐일 때 설문과 연공 성적대 대충 비슷할 것 같은데 어디가려나
-
3모 65점… 2
이 정도 수준이면 공통 시발점 워크북, 쎈 b는 풀고 가야하나요? 지금 기출 쉬운...
-
높구나... 13
-
날씨 머임!!! 0
방금 일어나서 담배피러나왔는데 날씨 미쳣다
-
하나는 사회적 가치에 밀려 개인적 의미를 잃지 말 것 다른 하나는 어울려 주는...
-
ㅇㅁ 없음
-
수학 ebs연계 0
뉴분감하느라 수특 풀 여유가 없는데 연계 많이 되나요…..
물리가 고인 이유 : 풀이법이 다 정해져있어서
웬만한 건 다 고여서 정해져 있는 느낌이긴 합니다... ㅋㅋㅋ
심지어 일반물리학 내용까지 끌고와서 질량 알면 속도도 바로 나오는식으로도 가르치더라구요 20번 탄성충돌과 같이 특수한상황에서
탄성충돌 시 상대속도 동일 ㄷㄷ
아니 이럴거면 물1 물2 통합하고 걍 2015 교육과정마냥 냈으면 좋겠네요.
예전에는 탄성충돌도 다 가르쳤으니...
처음 V 0 나중 V1 V2
m1 m2 m1 m2
탄성충돌일때
V1= m1-m2
———— X V
m1+m2
완전비탄성충돌일때
V1= m1
———— X V 에너지도 동일
m1+m2
차라리 저렇게 못풀게 문제를 내야지 이렇게 대놓고 수능에 나올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ㅋㅋㅋㅋ
그러게요 당황쓰
어케 이 시험지가 컷이 47인지 모르겠음
물2랑 표본차이가 아예없는느낌.. 전 공대3학년인데도 물1을 제일못본게 참 ㅋㅋ
고여버린모오씁....
아마 6,9모가 너무 쉬웠어서 더 역체감 되는 것도 있는거 같아요
8년만에 공부하셨다고 하셨는데 공부 시작할때 물리 베이스가 있는 상태였나요? 50점 대단하시네요...

예전에 고등학교 올라가기전에 물리1 좀 했었습니다근데 당연히 다 까먹었기에 거의 노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0점은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1년만에 노베에서 50... 그저... 대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