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대학교수 연봉에 관한 글이 있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87106
아버지가 대학교수신데요.
연봉 8~9000쯤 되시는건 맞습니다.
근데 그정도 받을때까지 오래걸리죠.
학부4년+군대3년(아버지시절)+석박사 4~5년+연구원 최소2년~무기한+시간강사 무기한
정도 하면서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논문쓰고 해도 교수임용 될까말까합니다.
아니, 못되시는 분들이 훨씬 많죠.
저희 아버지 유학 동기 30여명 중 2명정도 정교수 되셨네요.
나머지분들은 기업 취직하시거나, 관리직으로 가신 분들도 있고
그냥 연구원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만큼 교수 되기가 힘듭니다.
그러니까 학생시절의 학비+연구원생활의 두려움,힘겨움
이런 것들을 감안한다면 8~9000받는것은 그리 큰게 아니죠.
또 8~9000이 꼬박꼬박 나오는 것이 아니라
교수 본인이 프로젝트를 따와서 성과를 내야 그만큼의 급여를 받습니다.
프로젝트 아무것도 안하시는 교수님들 저만큼 못버세요.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아버지께 자주 듣던 말입니다)
교수는 명예직이지, 돈보고 하는 직업은 절대 아닙니다.
진정 특정 학문에 뜻이 있어야 하고, 온갖 두려움과 괴로움을 견뎌낼 수 있을만큼
그 학문을 사랑해야 합니다.
(정리)
교수의 장점
1. 명예롭다
2. 사회적으로 존경받는다
3. 사회생활 스트레스가 적다 (상사관계 거의x)
4. 개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5. 업무시간이 타 직종에 비해 유동적이다(방학땐 몆주동안 쉬시기도 하고 나가시기도 함)
6. 업무에 대한 만족감이 크다(본인이 좋아하는 분야라서 스트레스가 덜함)
교수의 단점
1. 되기가 무척 힘들다
2. 될때까지 돈이 많이든다
3. 끊임없이 스스로 채찍질해야한다.
4. 연구+강의+기업 협업 모두 다 혼자서 담당해야 한다 (책임감이 막중하다)
5. 신경써야 할곳이 너무 많다
6. 출장이 잦다 (학회 등등)
아버지가 말씀하시는데 대학교수에 뜻을두고 있다면
물론 열심히 노력해야겠지만, 원한다고 다 되는것은 아니기에
어느정도 다른 길도 열어나야된다고 하시네요.
어쨌든 되기만 하면 정말 좋은 직업이긴 한 것 같습니다.
첫째인 제가 교수가 되길 바라셨는데.. 본인은 정작 뜻이 없는지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완에 들어있는 문제 몇번 정도인가요? 실모만 풀고 유기했다가 봤는데 마냥...
-
6모 2컷, 7모 1컷, 9모 80 지금 드릴 대가리 깨지먼서 듣는 중인데 킬러급은...
-
9평 수학 7
87인데 왜3임? 1, 22, 25, 30틀렸는데.. 이 점수 2아니에요?
-
현역이고, 미적입니다. 6모 2컷, 7모 1컷, 9모 80점 (3등급) N티켓 s1...
-
국어 3 미적 3, 영어 2, 지구 2, 생명 3 국어는 공부 해본적 없고,...
-
9모 44 오리온 vol.1 + vol.2 폴라리스 vol.1 + vol.2 수특,...
-
2025 이동훈 기출 https://atom.ac/books/11758/...
-
9모 미적 88 (14 22 30틀) 4규 s1 푸는 중이고, 다음주에 끝낼...
-
허수 n제 추천 0
뉴런 수1만 듣고 수2 미적은 안 들었는데 이번 9모때 88점 받았습니다. 뉴런 안...
-
14 22 30 틀렸습니다. 엔티켓 s1 s2까지 끝내고 4규 푸는 중입니다. 4규...
-
다 무난하네 ㅋㅋ 근데 진짜 시험지 공개 전까지 뭔가 오늘따라 적중 예감이 있었음...
-
국어 원점수 : 66(6모) -> 79(9모) 등급 : 4 -> 4 수학 원점수 :...
-
[2025학년도 9월 평가원] TEAM 수리남 상세해설 공유(공통, 미적분) 0
안녕하세요, 의대생 3인으로 구성된 수학 입시 전문 팀 TEAM 수리남 입니다....
-
국어 95 수학 100 영한 1 물2 47 화학 48 3
국어 1 가능? 그리고 대학라인 어디까지 가능?
-
6평보다 좀만 쉽게 내야지 > ㅈㄴ쉬움 9평보다 좀만 어렵게 내야지 > 불수능
-
1회 77 2회 80 3회 84 이정도 나오는데 환상하면 낮은 2등급 정도려나
-
연대식 내신 1.56입니다. 건축, 도시, 환경 시스템 제외한 공대 하나 상향...
-
"우리은하는 나선 은하에 속한다." 수완 실모 4회 19번 문제에 나온 선지인데,...
-
ㄷ 선지 판단 기준이 궁금합니다 해설지는 제트 방출 방향으로 판단했는데, (나)로...
-
생명 수완 실모 0
난이도 어느정도인가요? 1회 47, 2회 47, 3회 44 중간중간 이상한 문제가...
-
미적 안정 2등급 영어 안정 2등급 생1 2등급 지1 1컷 ~ 2등급 최저러는...
-
속도 빠르면 온도가 낮은 곳이고, 속도 느리면 온도 높은 곳이라는 것은...
-
A가 유라시아판, B가 필리핀판, C가 태평양판이라 나오는데 이거 그냥 암기해서...
-
현역 고3 수시 내신 1.55 고대식 1.48 고컴 학추 연전 학추 성솦 학추 교과...
-
지금 확통 5등급이고 (4점하나도 못품) 김기현 아이디어 다 듣고 수특풀건데 수특...
-
고생대 말에 B가 30°S에 있었고, 지금은 적도에 있다고 나오는데 고생대 말 기준...
-
9모 전에 풀어보려고 오늘 1회 풀었습니다. 6모 79점 받았는데, 오늘 찍맞 없이...
-
8덮 성적표 나오면 9모 가채점 결과와 함께 드려야겠다... 사설은 joat망했지만...
-
6모 화작 확통 한지 세지 45431인데 80일의 기적 가능?
-
다들 9모 대박 나려고 사설에서 미리 박은 거니 걱정 말고 푹 쉽시다 내일 오답...
-
6모 2등급, 7모 84점인 현역입니다. 9모 전까지 n티켓 s12 2회독 끝낼...
-
시대인재 9모 0
6모전날에 애들 일찍 하원하던데 이거 미리 조퇴신청하는건가요? 9모전날두 일찍 집가려나..
-
그냥 똑같네요 ㅋㅋ
-
알부케르크를 본 적이 없어서 제가 직접 만들었습니다 (사실 NS 모의고사 1회에...
-
3번 (오답률: 75%) 제후만 보고 봉건제로 착각하고 주나라를 찍기 좋은...
-
서바 응시할 때 수험번호에 학생 전화번호 기입하면 서바 결과가 학생한테 전송되나요?
-
평소에 이런 알고리즘 문제 만들고 싶었는데 막상 만들고 보니 딱히 선지로 넣을 게 없는 듯
-
세계사에서 A~E 국가가 어떻게든 나오긴 하네요 ㅋㅋ 출처: 23 수능 세계지리...
-
처음에 만들었던 동아시아사 중간고사 홍보하러 왔읍니다 0
https://forms.gle/ThhH2mVs6V9Xjf6EA 많이 풀어주세요...
-
https://orbi.kr/00064595459/%EC%84%B8%EA%B3%84%...
-
20번에 2번 선지가 수정되었습니다 ↓ 정답입력...
-
이 문제는 사실.. 이 문제를 패러디 한 문제입니다 정답은 아래에...
-
9모 대비 세계사에 이어 동아시아사 실모도 발표하겠습니다. 목차 1. 등급컷 2....
-
세계사는 이런 문제 나오면 땡큐일 것 같은데 (윤사 유형에서 따옴) 정답은 아래에...
-
요즘은 텍스트가 많아져서 이런 문제는 안나올듯 정답은...
-
선지만 바꾼거라 쉽게 느껴질 수도 있음 ㅇㅇ
-
만약 23 수능 13번과 24 9모 20번을 합친다면? 8
13번의 형식, 20번의 내용을 합쳤습니다
-
이번에 사탐 보면 80% 넘는 문제도 있던데 사실 오답률 기준으로 킬러를 가르는 게 아닌가?
-
저는 9모 현장에서 플 땐 진짜 체감 20분, 오늘 다시 풀어봤을 땐 16분...
-
정답은...
8, 9000도 세전이라는게 함정..
분명 멋진 직업임은 사실인 듯
교수는 확실히 명예직이죠.
의사보다 어려우면 어려웠지 쉽진 않을텐데
의사는 보다 안정적이기라도 하죠..
어느정도 한 만큼 제대로 보상이라도 받는 느낌이랄까
무슨 교수가 안정적이에요ㅋㅋㅋ돈없어서 연구소 죽아나고 지방대학 정리해대는데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2&oid=032&aid=0002629055
http://m.news.naver.com/read.nhn?oid=032&aid=0002629058&sid1=102&mode=LSD&fromRelation=1
창업할만한 전문직자격증도 아니라서 의사한테 쳐발리는거 수준이아니라 돈과 관련해서라면 비교도하면안되죠
의사가 안정적이라고 적은건데;;
의사는
(교수)보다
안정적
되게 부들부들 하시는데 다시읽고좀ㅎㅎ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버로우꿀잼ㅋㅋㅋㅋㅋ
와.. 저도 꿈이 교수인데..
할 수 있을까 싶네요 ㅜ
유학 하고도 하기 힘들지만
안하고는 더 힘듬
안식년도개꿀인데
요즘은 예전만도 못해요... 연구년으로 이름 바뀜. 이름부터 감오죠?
저의 아빠 교수신데ㅎㅎ 연구년 꿀맞던데요(아빠는 안식년이라고도 말하시던데)
저는 부모님이 둘 다 교수세요... 아버지가 올해 연구년이시구요.
강의가 없는건 분명 좋지만, 그렇다고해서 이름처럼 완전히 안식하라고 있는건 아닌듯해요. 다음 몇년간 연구할 주제 준비하고 강의하는 기간에 논문 많이 못쓴만큼 더 논문 주제나 기초 연구들 하고, 그래서 지금도 자주 학교가서 실험 진행하고 하시네요.
글 작성자분보다 더 페이가 센거로 아는데 (세후 1억정도는 넘으세요) 아마 좀 일을 더 많이 하시는 것 같아요. 아마 그래서 남들보단 더 일을 하는 것 같지만, 그냥 워낙 갈수록 실적이 강요되기 시작하니깐, 안식년에도 어쩔수 없이 일을 하는 상황이 나오는듯. 아 테뉴어 있으세요.
연구년 이름이 아직 완전히 정착된건 아니고 점점 들어오고 있는듯. 지금은 혼용단계정도.
아버님 전공이 뭐세요?
좋은 대학 교수가 더 나아염..
저희 아버지는 지방 사립대 공대 교수신데 토익 500못맞춰서 졸업못하는 4학년들이 휴학한다고 찾아와서 스트레스 엄청받으심ㅋㅋㅋ
근데 의대교수는 과장달고 학장달고 병원장까지 달면 세전 기본 2억임 근데 일반 공대같은 교수는 좀 1억 안되긴 하더라구여..의대교수도 정교수나 좀 많이버나
대학교수 학벌이 거의 스카이겠죠???
보통 스카이나 유학파들 많으시긴 하지만
비 스카이도 꽤 있습니다.
수도권 내로는 거의 다 서울대라고 하더라구요
저희 아버지도 교수신데 대학교수 제대로 하려면 진짜 힘듭니다..
나름 경남지방에선 해당분야쪽이지만 알아주시는 분들 있으시고
방송3사에서 1년에 합해서 많으면 3번정도 촬영 연락오지만 아직 정교수는 아니십니다..
어느정도 위치까지 갈동안 집에서 뒷받침이 안되면 경제적으로 많이힘든 직업입니다.
글쓴이 말처럼 유학한다고 다 되는것이 아닙니다.
자리도 나야하며 될 때 경쟁자들한테 밀리지 않아야하고 비슷하더라도 학연,혈연,지연에 밀리고 그렇습니다.
더구나 이번에 안되면 자리가 날 동안 몇년을 또 기다려야합니다.
다 힘들지만 특히 인문대쪽은 더 힘든 것 같습니다..
지방거점 국립공대 정교수신데 연봉은 9천정도신데 프로젝트로 매년 1억5천정도 추가로 버시네요. 잘나가시분은 2~3억 정도고.. 문제는 교수는 TO가 생겨야하니 운빨이 상당하죠.
한 나라의 지식인의 상징이죠..
우러러보게 만드는 학문적 깊이에
볼때마다 경의를 표하게 되네요.
분명 가볍게 설정할진로는 아니라고 봅니다
돈을 목적으로 설정할 진로는 더더욱 아니고요.
멋있어요
제 아버지는 인서울 대학교어문학과 교수신데 한달에 700~800정도 받으시는거같아요 제가 예전에 실수령액 우연히 아빠폰에서봐서요 거의 확실해요 나이는 50대중반이시고요. 대학에서 뮌지는 모르겠는데 과거에 따놓은 증명서?엿나 만 잘보관해두고 제때 보여주면되요 혹은 큰 비리만 없으면 아무 걱정없이 65세까지 일하시다 퇴직하십니다
40정도에 교수되셧고요
저희 이모 중 두 분이 교수신데 두 분 다 직업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서 별로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답변하셨답니다. 학교쪽인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설문자가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급여괜찮은 직장을 두고 왜 만족도가 높지않냐 반문했다고 하네요. 만족도는 개인차가 있나봐요. 아무래도 스트레스가 장난이아니시던데.. 매일 두통약 챙겨다니시고
집에 돈 있으면 본인 직업으로 가장 좋은 직업이 교수입니다 특히 국립대교수요
정교수되면 범법자가 되지 않는한 정년 보장됩니다
다만 소득이 좀 적죠
지난번 서울에 있는 국립대 교수들의 연봉이 실린 기사 봤는데 대충 일억은 넘던데요
저희아빠 상경계 교수셨다가 작년에 은퇴하셨는데 현역에 계실때 900-1000정도 받으셨고(학장도 하셨었음) 지금은연금 한달에 300에 명예교수까지 해서 200은 따로나와서 노후걱정 전혀 없어요 진짜 아부지 보고 교수가 공무원이 진짜 좋구나 느꼈어요ㅋㅋ은퇴했는데 수익이 계속 +심 그래서 그전까지 공무원 되게 따분한거같아서 무조건 싫었는데 공무원 진지하게 생각해봤어요ㅋㅋㅋ연금 나오는 직업이 진짜 좋다는걸 체감해서 그리고 교수면 정부일도 자문할수있고 해서 자부심도 있고 안정성도 있고 여러모로 좋은직업 같아요
돈은 교수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등기이사, 프로젝트, 컨설팅,특허, 저서 등으로 연봉이 수십억대인분도 있고 진짜 월급만 받는 분도 있죠. 그리고 돈 명성 이런거 떠나서 교수가 가장 좋은이유는 혼자 일하는 것이 많다는 겁니다. 세상엔 이상한 사람이 많아서 같이 일하는게 여간 힘든게 아닙니다. 혼자 주도적으로 일하는 것이 교수의 정말정말 너무 큰 장점입니다. 의사고 임원이고 고급공무원이고 뭐고 명문대 교수가 최고의 직장이라고 불리고 명예도 높은 이유입니다. 정말 나랑 안맞는 사람상대해야하는 것이 세상에서 제일 힘들고 고통이고 불행입니다. 행복하게 사실려면 주도적으로 일할수있는것을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