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량을 늘린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709376
저번에 작성한 제가 푼 컨텐츠 글(https://orbi.kr/00065700015)에 어떻게 공부시간은 길지 않은데 어떻게 그렇게 많은 양을 풀었냐는 질문이 있어서 글로 써봅니다.
저는 개념을 어느 정도 습득했다는 가정 하엔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많은 양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부시간을 너무 오래 늘이면 휴식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이 떨어지고 번아웃도 오기 쉽습니다. 그랬기에 남들보다 적은 공부시간으로 훨씬 많은 양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으로 공부했습니다.
1. 양 중심으로 플래너 작성. 당연하지만 오늘 n시간 공부해야지! 라고 생각하면 공부시간 늘리는데 집중하게 되고, n페이지 공부해야지! 라고 생각하면 공부량을 늘리는데 집중하게 됩니다. 양 중심으로 계획을 짜되, 공부 몇 시간 했는지는 기록하세요. 또 실현가능한 정도의 양으로 세워야 하고, 설령 지키지 못했다고 해도 충분히 열심히 했다면 자괴감을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이 공부량이 실현가능한지 알려면 당연히 공부를 많이 해봐야 합니다. 아 이 정도 양을 하는데 이 정도 시간이면 되는구나! 라는 걸 알아야 실현가능할 정도의 양을 목표로 할 수 있는 거죠.
2. 딴짓 안하고 공부에만 집중하기. 그러나 사람이 현실적으로 계속 5시간씩 연속해서 공부할 수는 없어요. 중간중간 휴식을 취해 줘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공부 칼럼들에서 알 수 있듯 연속집중가능시간을 늘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제가 택한 방법은 짧게 치는 공부와, 길게 연속해서 하는 공부를 나누는 것입니다. 전자는 개념 기출 n제에 해당하고, 후자는 실모에 해당합니다. 전자를 공부할 때는 40분~1시간 단위로 공부하는 과목을 바꾸고, 바꿀 때는 화장실을 가는 식으로 했어요. 화장실을 가는 건 꼭 소변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짧게라도 걸으면서 리프레시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후자의 공부를 할 때는 절대로 스탑워치를 누르지 않고 쭉 이어서 공부했어요. 특히 탐구는 실모 2과목을 연속으로 풀었습니다.
3. 인강 배속 활용 및 아는 부분 스킵하기.
저는 인강 들을 때 1.6~2배속으로 들었습니다. 물론 제가 인지/습득속도가 좀 빨랐기에 가능한 것이므로, 만약 인지/습득속도가 좀 느리다고 생각하면 1.2~1.4배속 정도로만 들으세요.
그리고 개념강의는 전부 다 들었지만 기출을 포함한 문제풀이 강좌는 선별적으로 수강했습니다. 1분이라도 아끼려고 애를 썼어요.
그럼 어떤 문제를 수강했을까요? 당연히 틀린 문제는 수강했고, 맞았지만 오래 걸린 문제, 또는 내가 푼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 거 같은 문제, 좀 특이한 문제, 강사가 어떻게 풀었는지 궁금한 문제를 수강했어요. 이런 방법은 비단 시간을 줄이는데만 좋은 게 아니에요. 중요한 문제만 듣기 때문에 집중력이 높아지고, 무엇보다도 이 문제가 나에게 어떻게 느껴졌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더 기억에 잘 남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하반기에 n제를 풀 때는 푼 문제 중 강의를 확인하는 문제가 전체의 30% 이하였습니다. 다만 이건 강의의 성격, 과목, 본인의 실력에 따라 그 비율이 다를 수 있다는 건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그러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강의를 스킵하는 문제는 꼭 만드시는 걸 권장해요.
4. 오답은 짧게, 핵심을 파악해서. 일단 수학/탐구와 국어/영어는 오답한 방식이 달랐어요. 국영은 문제를 틀린 원인만 딱 이해하고 머릿속에 집어 넣었습니다. 수탐은 틀린 문제를 해설을 본 후 푼 흔적을 지우고 몇 주가 지난 후 다시 풀었어요. 그러나 또 풀어도 계속 틀리면 문제의 핵심을 저만의 노트에 적었습니다. 그 노트는 수능날 쉬는시간에 보기 위한 목표라 핵심만 짧게 적은 문장들로 구성했습니다.
5. 의례적으로 공부하지 않기. 사실 이게 핵심입니다. 단순히 형식적으로 공부하지 말고, 머리가 지끈지끈해지는 방향성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0 XDK (+1,000)
-
1,000
-
윗집 갑자기 기타치네 12
이런 새로운방식으로 층간소음을
-
아빠가 나한테 수능만 집중하고 자기가 논술 신청한다고 할때 내가 좀 더 지켜봤어야...
-
예비 고3이고 물지를 선택했습니다 물리는 절대 하면 안된다는분들이 많아 생명을...
-
뉴런보단 3
올드런이 더 좋을듯 ㅇㅇ
-
스탭2?
-
커뮤에서마저 도태당햇노
-
6살 이상의 기혼자와의 인연 뭐임 ㅋㅋㅋㅋㅋㅋ 구글에 AI 사주 검색해봄 ㅋㅋㅋㅋ
-
특히 실력정석 문제가 교육과정 바뀌어가면서 재미가 없어지니깐 연구할 맛이 그렇게 안...
-
08 특 1
08e쿠라니금카 헤딩개잘땀
-
그냥 너무 속상해죽겠다 풀 곳도 없네
-
기출, 워크북, 교사경, n제, 실모 전부 이빠이이빠이 풀어봐야지
-
어우 걍 다르네
-
느에 3
느에
-
ㅇ
-
국어 백분위 58->88로 올렸음 (수능) 물론...결과적으로 어쨋든...
-
전 오늘 다시깨달았네요
-
김기현 킥오프 4
세젤쉬로 수2 땠는데 파데 들어야되나요 아니면 바로 킥오프 들어도되나요
-
화2생1조합 8
어떻게 생각함?
-
겁나 지루하네
-
반장 학종 0
학종 노리고 있는 고3입니다. 반장 같은 거 하지 말고 성적이나 올릴까요?...
-
교수님께 납치당했는데 16
인턴하면서 나름 나한테 이 분야가 잘 맞는 거 같고 친절하게 대해주시고 학점도 잘...
-
일본여행 가서 편의점에서 둘만 집에가져갈거삿는데 5명이 엔빵하는게 맞아? 6
나 엔빵빌런인거야? 정상인거야? 왜 내가 가져가지도않는데 내는건가 해서
-
08대표오르비언맞제? 11
일쩜녕강해린공팔 08 대표 맞지? 히히
-
걍 n제부터 푸는게 나은건가…?
-
심찬우가 동안이네
-
내신으로 윤사를 쳐수 김종익t 윤사 강의 들을 예정이고, 마더텅&수특 문제집으로...
-
.
-
그냥 롤 랭크마냥 6 9 배치고사 치고 수능 쇼부봐서 대학보내면안대나
-
수업 자료의 수식 오타(오류ㅇㅇ)를 몰래 제보한다. 아무도 질문 안하는데 수업끝나고...
-
AA 받아도 못가서 상관없으면 개추
-
학고반수 실패해서 전적대 복귀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전적대 복귀하게되면...
-
나 요즘 오르비 줄였다 14
칭찬해줘 응응
-
하 작년에 언매는 좀 해둘걸 슬프다
-
걍 진짜 자살해야하나 흠냐
-
진짜모름 다니면서 정시파이터하면 되는거 아닌가
-
왜이럼 오르비 4
가끔 이거 뜨네요
-
국어 띠발 0
기출은 인강만 들어도 되나요? 그리고 인강풀커리 vs 기출독학으로 스스로...
-
검고생들은 애초에 뭐가 되었든간에 본인들 선택으로 고등학교 안다닌건 부정할 수가...
-
저녁ㅇㅈ 8
히히 배부르당
-
레함수도 있나요? 그럼 미함수도 있겠네 헉 ㅋㅋㅋㅋㅋ
-
여장 ㅇㅈ! 17
평가좀 ㅋㅋ
-
재수 시작 0
2025수능 43342 2026 건국대 가고 싶다
-
여긴 ㅇㄷ시티 0
운동시티
-
팩트는 한양대 문과랑 숫자가 비슷하다는 거임. ㅇㅇ 그리고 왜 자꾸 2020년대에...
-
27수능 2과목 3
현재 사탐런하고 국수에 시간 더 박는것처럼 서울대도 1과목하고 국수에 시간 더 박는 메타 나올듯요
-
13분 삭
-
본인은 23학번 강원대 자연대생으로 군대에서 수능을 준비하겠습니다. 목표대학은...
-
계속 안하고 미루다가 이번주 날잡고 하루 한권씩 해서 오늘 다 끝냄. 이제 주간지 해야지...
-
돈 걱정하지말고 수업들으라하시네 고3되니까 부모님께 감사하다는 생각이 좀 많이든다
저는 국어 영어는 매일 하는 게 중요하니까 두개는 시간배분 해놓고
수학 과탐은 X스퍼거 공부법으로....
퍼거 공부법이 뭔가요 ㅋㅋㅋ
저는 독재생이라 최대 14시간까지도 나오는데
국어2 영어2는 매일 하고
10시간을
1일차: 수학만
2일차: 물리만
3일차: 지구만
4일차: 수학만
이런식으로요
그건 좀 신박하네요 ㅋㅋ 하긴 수탐은 그런 식으로 해도 상관은 없을 거 같은데 전 감을 유지하기 위해 수학 탐1 탐2 모두 매일매일 하긴 했어요
근데 저도 독재생이었는데.. 아무리 해도 11시간은 못 넘기겠는데 대체 어떻게 하신거지
제가 수학(기하) 지리 물리 지구 쪽은 일주일 내내 해도 안질려가지고요. 학자성향이 강함.
사탐쪽은 국영처럼 매일이 맞는 거 같아요.
大 大 大
좋은글고마워요
후학을 위한 좋은 글 다시금 감사합니다.
좋은 질문 해주셔서 고마워요!
하 격세지감 느껴지는 갓해린..
수학 기출이랑 n제 공부할 때 10초씩 넘기는 기능 활용하면 좋아요. 아예 틀리면 쭉 보긴 했는데 그렇지 않은 문제는 이런 식으로 보면 어차피 중간중간에 들리는 설명과 판서보면 내 풀이가 괜찮은지 아닌지 바로 캐치할 수 있어서 모든 문제의 풀이를 빠른 시간안에 복기할수있음
40분~1시간 끊어 공부하실때 중간에 몇분정도 쉬셨나요?
5분 정도 쉬었어요. 그 시간동안 화장실 다녀오기, 다음 교재로 바꾸기, 플래너 작성하기 등을 했어요
글 잘 읽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팜해린님 글 잘 읽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머리가 지끈지끈하게 공부해라 이건 모든과목 해당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