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될게뭐있어? [568798] · MS 2015 · 쪽지

2015-09-22 20:14:07
조회수 526

리액턴스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7940

유도리액턴스는 저항적 요소이지 저항 자체는 아니라서 교류에서의 코일은 발열을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같이 물1하는 친구가 유도리액턴스는 저항이 맞고 유도기전력으로 인해 흐름을 방해받으면서 열이 생기지 않냐고 하더군요.

처음엔 뭔 말도안되는 소리지 하다가 생각해보니까 교류회로에서의 전류가 유도기전력에 의해 흐름을 방해받으면서 사라진 전력은 어디로 가는건지 저도 헷갈리기 시작하네요 ㅠ 과정이 어떠하건 코일이 달려있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은 약해지는게 맞지 않나요? 

분명히 유도리액턴스는 허수 성분이라서 발열을 하지 않는다고 배웠는데... 그러면 상쇄된 전력은 어디로 사라지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q8ODhEn9dc7ImM · 597913 · 15/09/22 20:19 · MS 2015

    발열을 하지 않는다= 소비전력이 0이다
    애초에 코일에서는 소비전력 생각하는게 아닙니돵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25 · MS 2015

    제가 교류회로에 코일(+코일에 전압계를 걸어두고), 저항, 전류계를 설치하고 전류를 흘려보내면 코일에 걸린 전압계의 눈금은 상승하고 저항에 걸린 전압과 전류계의 눈금은 감소한다라고 알고 있는데 이건 맞나요?

    만약 이게 맞다면 코일에 걸어둔 전압계는 상승하고 회로에 설치된 저항에 걸린 전압과 전류계는 감소하는 이유가 뭔가요?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29 · MS 2015

    코일에 걸어둔 전압계는 유도기전력 때문에 상승하겠고 회로에 설치된 저항에 걸린 전압과 전류계는 감소하는 이유는 흐름을 방해받아서일텐데

    그러면 소비전력을 생각할게 아니라 처음부터 10V를 흘려보내려고한다라고 가정하면 그 아랫수치로밖에 흐르지 않는다고 생각해야 되는건가요...?

  • nitrocide · 546129 · 15/09/22 20:29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q8ODhEn9dc7ImM · 597913 · 15/09/22 20:29 · MS 2015

    이건 위 내용이랑 다른거 같은데여?
    코일 저항이 커진다 > 전체 전류량이 낮아진다 > 저항에 걸린 전압이 낮아진다 > 전체 전압은 일정하므로 코일 전압은 상승한다. 이거 말하는건가여?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33 · MS 2015

    어? 네! 그거 말하는거 맞아요. 그런데 저항에 걸린 전압이 낮아진다 > 전체 전압은 일정하므로 코일 전압은 상승한다.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네요 ㅠㅠ

  • q8ODhEn9dc7ImM · 597913 · 15/09/22 20:37 · MS 2015

    일단 전체 전압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교류전지가 그냥 그대로니까,,
    너무 당연한거고
    직렬 회로에서는 V=V1+V2로 표현되는데
    코일 저항이 증가해서 전체 저항이 증가해서 전류가 낮아지면
    저항에서의 저항?은 일정하니까 저항에서의 전압은 낮아지죠?
    그럼 V2가 낮아진다고 생각하면 V1이 커져야겟죠 V가 일정하니까.

  • q8ODhEn9dc7ImM · 597913 · 15/09/22 20:34 · MS 2015

    근데 코일에 소비전력이 왜없는가를 따지는 문제라면 물2에서도 확연하게 설명하기가 애매해요
    저항과 리액턴스는 아예 다른 개념이라
    RLC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90이기 때문이다 라고 물2에서 설명하기는 하는데 저도 실력이 부족해서 깔끔하게 설명을 해줄수가없네요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37 · MS 2015

    아니에요 소비전력이 왜없는가를 따지다니 제가 어찌 감히 그런 의구심을;;;; 주어진 개념만이라도 어떻게든 믿고 이해해야죠 ㅠ

    전체 전압은 일정하므로 코일 전압이 상승한다는 부분이 유도기전력이 흐르기 때문이라서가 맞나요?

  • q8ODhEn9dc7ImM · 597913 · 15/09/22 20:40 · MS 2015

    네 맞아요.

  • nitrocide · 546129 · 15/09/22 20:32 · MS 2014

    아나 잘못봐서 직류로 적음 ㅋㅋ 전기는 전압을 걸고 그 전위로 전류가 생긴다는 관점으로 보셔야 됩니다. 근데 교류에 걸었다하시면 위상이 어케 되는지 알려주셔야합니다

  • nitrocide · 546129 · 15/09/22 20:24 · MS 2014

    물을 뿜는 고무관을 살짝 꺾어도 물의 양은 여전합니다.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31 · MS 2015

    그러면 교류회로에 코일만 있다고 가정할경우 10V를 흘려보내면 10V의 전류는 어떻게 흐르게 되나요?

  • nitrocide · 546129 · 15/09/22 20:36 · MS 2014

    V(t)=10sin(ωt)라 하시면 전류는 I(t)=Isin(ωt-π/2)라 표현합니다. 유도리액턴스때문에 전류보다 전압이 먼저 생겨서 위상이 π/2빠르죠

  • nitrocide · 546129 · 15/09/22 20:42 · MS 2014

    아아 전력소비가 없는거는 다른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아서 그런겁니다. 전류를 방해해도 퍼텐셜에너지형태로 저장하기에 다시 전류로 바꾸고 그래요. 저항처럼 열이나 빛에너지 형태로 변환되면 전력을 소비하죠. 굳이 따진다면 교류에서 코일이 전자기파를 만드는데 이런건 전력소모가 됩니다.

  • 안될게뭐있어? · 568798 · 15/09/22 20:32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09/22 21:15 · MS 2012

    전력 쪽이 이해가 안 가시는 것 같은데, 코일은 전기 에너지를 자기장의 형태로 저장했다가 방출합니다. 마찬가지로 축전기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장의 형태로 저장했다가 다시 방출하고요.

  • 강한상호작용 · 550579 · 15/09/22 22:12 · MS 2014

    ㅇㄱㄹㅇ 교과서에나오지않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