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모양산호무지하게 [1247938]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12-01 19:37:58
조회수 1,710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01950

원래 다른 의료 기술에 관한 글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요 근래에 갑자기 뉴스에 많이 나와서 오해할 수 있는 부분 위주로 서술하고자 합니다.


- 마이코플라즈마, 세균과 바이러스 사이이다?

어느 뉴스 기사에서 이런 표현을 쓰던데요, 세균이라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다만 마이코플라즈마는 일반적인 세균과 구조가 조금 다릅니다. 세포벽이 없거든요.


세포벽이 없다는 점은 중요한 임상적인 의의가 있습니다. 많은 항생제가 세균 세포벽의 합성을 저해하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인데,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없으니 이런 항생제로 대항할 수 없을 것입니다.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약이 없는가?

그렇다고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에 약이 없는가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다른 기전의 항생제를 사용하면 되는데요. 세균의 리보솜에 작용해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마크롤라이드(macrolide)나 DNA topoisomerase에 작용하는 퀴놀론(quinolone)계 항생제를 쓸 수 있으며, 전자의 예는 azithromycin 등, 후자의 예는 levofloxacin, moxifloxacin 등이 있습니다.

이는 교과서적인 이야기이고, 우리나라에서는 macrolide에 대한 내성이 높게 보고되고 있어 다른 약제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새로운 폐렴이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대단히 새로운 것인 양 그리는 기사에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이코플라즈마, 정확히는 Mycoplasma pneumoniae는 지역사회 획득 (비정형)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인 역학 요인을 몇 가지 언급해 보자면, 비말 감염이 가능해 집단생활을 하는 곳(유치원, 학교, 군대)에서 몇 년 주기로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로 젊은 연령에서 호발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