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b 문학이 불안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48084
모의고사 치면 0~2개 안으로 틀리는데요..(실수ㅠ!!!도실력이죠 핳)
가끔씩 문학 해석이 제대로 안 돼서 고민입니다. 뭔가 감상능력이 떨어진 것 같은데, 예를 들면
외적준거로 감상하기 문제를 종종 틀려요.(현대시가 제일 해석안됩니다ㅠ) 정답률 보면 8~90%..
지금은 매일 국어 꾸준히 기출1회분씩 풀고, 모르고 밀렸던 ebs인수 문학 문제 풀고 작품 정리하는 식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따로 극복할 방법 있는지요??ㅠ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보정 21211 0
보정만 믿으련다 보정업! 보정업!
-
시험공부하기싫다 0
ㅠㅠㅠ
-
랑데뷰☆수학 모의고사 평가원 싱크로율 99%모의고사 나왔습니다. 2026 수능...
-
핸드폰이 없으니까 오르비 인스타 유튜브 넷플 이런거 못봐서 쉬는시간에 정신...
-
이신혁 2026 0
듣고 계신분들중에 작년에도 들은분 있나요.. 있다면 25랑 26 문제가 많이...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보정1컷 딱 걸쳐서 버리기도 애매하다노..
-
전 지금까지 끈 밀어올리기의 상황 = 거시건전성정책(완충자본제도)의 도입이 필요한...
-
심심하네
-
근데 이 물보정 좋아해도 되는건가..
-
생2 1컷 50 ㄷ
-
저난이도에 1컷이랑 만표가 저정도? 차라리 그냥 화1 stay 한다
-
반드시야
-
글씨도 제대로 안써지네…알러지땜에 눈도 가려워서 미칠거같음 열도 나고
-
한의원 살면서 거의 안가봤고 한의학좀 안믿는데 한의대 가도됨? 2
아파도 병원을가지 한의원은 거의 안감 그래도 한의사가 되도 문제가 없을까?
-
님덜 0
현역 한달에 이십마넌짜리 독서실 뽕 봅을수잇겟죠 야자 맘에 안 들어서 그냥 독서실...
-
무보 2등급이네..
-
샌각보다 오래걸리네…2시간 동안 17페이지 풀고 아직도 다 못 끝남…한참 남았다 꽤...
-
아니 심지어 일반도 아니고 손가락용이네 감사합니다
-
4덮 사문 등급컷 생각보다 낮네 + 경제는 이럴거면 안내는게ㅋㅋ 0
경제는 저러면 실모의 가치가..ㅋㅋ
-
뭘 빠는 고등학교에요 대체 ㅠ
-
-자발적[?] 지방발령 신청하려고 인사부에 문의한게 금세 소문이 터져서 오늘...
-
??
-
제목 그대로 국어 어떻게 함? ㅋㅋ..
-
원형도선 자기장 방향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명확한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이 문제...
-
더프 등급컷나옴 1
-
작년에도 상상 화작 n제 풀었는데 어렵다는 느낌은 안 들었는데 이번 2026n제는...
-
흠 2
더프 보정 21211 엄ㅋㅋ 화1 컷 생각보다 높다
-
인간 자체가 저질이다 인간 자체가 저열해
-
강사 바꿔서 커리 타다가 독서는 혼자 독학해보는게 나을 것 같아서 잠시 멈췄거든요...
-
작수 4등급인데 4등급 밑으로는 기초부터 다 해야한다해서 파운데이션 듣고있는데 동경...
-
사쿠란보 끝 술 취하면 부름
-
다음 달부터 퇴근하고 수영한다 흐흐 수경사야지
-
수학공부할때 나한테 어려운거, 못하는거만 ㅈㄴ하는거 어케생각함뇨? 0
작년엔 나한테 쉬운거, 이미 했던거도 다 했는데 수학공부시간이 제법 많았는데도...
-
기하 개어렵네 0
이거 풀다 살짝 벽 느낌..
-
옛날엔 고딩때라 잘 와닿지 않았는데 지금 다시들으니 가사고 목소리고 걍 처절하네
-
점메추 해주세요 0
뭐먹지
-
아님 추가로 더해야됨??? 고전시는 첨보는거나오면 맞출자신없는데,,,
-
씹덕노래 투척 3
-
전에 안낸다 들었던거 같은데
-
라멘 먹고싶은데 0
죄다 11시에 여네..
-
역사시간이 재밌을텐데
-
오눌 답지 보면서 공부해야하는데... 오늘부터 야자 때 전자기기 사용 금지 당해서...
-
이해원보다 쉽나
-
부경고사우루스 1
국산 공룡 ㄷㄷㄷㄷㄷ ㄹㅇ 부경대 가 보면 있음
-
어떻게 사건이 사실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와 서술자가 직접 개입하여 생각을 드러내고...
-
뻘글) 오소리 6
-
새상품 쪽지 ㄱㄱ
-
현역국어공부시간 0
하루에 3-4시간정도 국어한다면 3시간쭉보다 아침1시간 저녁2시간 이렇게하는개 낫나요?
보통 문학 풀때 문제 순서 어떻게 가져가시나염
아..! 지문에서 진하게 표시된 부분 나오면 바로 선지 가서 풀어봅니다ㅠㅠ
본문에서 시가 해석이 잘 안되신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그럴때는 보기나 선지를 먼저 참고하고 그걸 바탕으로 시를 해석하면 조금 실마리가 얻어지더라구요 :3
시 한 번 읽고 푸세요. 아니면 아예 윗 분 말대로 <보기> 주어져 있으면 그거 '참고'만 해서 방향성만 잡고..
항상 시 먼저 읽으면서 이 시의 시적 상황을 잡아줘야 합니다.
평가원이 출제하는 시들은 어차피 99% 시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서..
김남조 - 겨울바다 읽기 (참고)
겨울 바다, 어떤 느낌이 들까요? 겨울에 가는 바다는 정말 차갑고 추워요
모래사장의 모래들은 까끌거리고 모래를 씻어내려고 바다로 가면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로 춥습니다
그런데도 하여튼 화자는 겨울바다로 갔더랩니다.
그런데 보고 싶었던 새들, 즉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보고싶었던 것들이 보이지 않더랍니다.
다 죽고 없어졌다네요. 즉 여기서 새는
화자가 보기를 원했던 것, 즉 추구했던 그 무언가겠죠?
그런데 없어졌데요 그것도 죽어서 없어졌다고
하니 이때 화자의 감정은 아마 좌절감이나 비애겠죠?
'그대 생각'을 했지만 그 마저도 추운 해풍에 그대를 향한
화자의 생각이, 그 진실이 얼어버렸어요. 쉽게 생각해보면,
이때 '그대'는 아마 화자의 연인, 조금 넓고 포괄적으로 생각하면
'이상' 정도가 되겠지요? 아마 전자이든 후자이든 그가 생각하기에
겨울바다에 가면, 무언가가(새)가 있을 것이고 그것이 그에게
해답을 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않고.
그래서 에라 모르겠다. '그대 생각'을 했는데
그마저도 추위에 잊혀져버렸어요. 어떤 느낌일까요?
겨울바다에 기껏 추위를 견뎌가며 도착했는데
찾고자 했던 것도 없고, 나름 내게는 중요했을
'그대 생각'을 해보았는데도 한낱 추위따위에
잊혀져 버리고. 좌절감이 대단하겠죠?
그 다음 행에 바로 등장하는 구절이
'허무의 불' 입니다. 제가 말씀드렸죠 다른 답변들에도
시어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고,
화자의 좌절감이 극에 달한 상황에 허무의 불이
등장했습니다. 허무의 불은 물 이랑위에 불붙어있습니다.
모순적인 표현이죠? 일단은 이미지 그 자체를 받아들여보세요.
불이 물위에 붙여져 있다. 자연물 그 자체의 모습일리는 없겠죠?
그렇다면 아마, 무언가에 비유를 한 것일 거에요.
일반적으로 시어 '불'이 무엇에 비유될지 이미지를 생각해보세요.
태양, 단풍 등등등.. 그 중에 '노을'도 있지요?
게다가 '허무의 ~' 라는 수식어와도 정말 잘 어울립니다.
노을은 아름답지만 해가 지고 있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겠죠?
다시 읽어보면, 화자는 노을이 진 겨울바다를 바라보고 있었어요.
자 근데, 여기서 그냥 넘어가면 안 되죠? 바로 그 전 행에서
화자는 극도의 좌절감에 빠져 있었어요! 그리고 바로 그 다음 행에
'허무의' 가 들어있어요. 이런건 당연히 연결해서 생각해줘야죠.
즉 허무의 불, 즉 노을은 화자의 내면의 좌절감, 아픔과 동일시 되는 시어가 되는겁니다!
자 그리고 이제 그 다음 연을 봅시다. 화자가 갑자기 무언가를 알겠다는듯
고개를 끄덕거립니다. 무슨 깨달음을 얻은 걸까요??
여기서 생각을 해봐야겠죠? 저 노을을 보면서 무언가를 깨달았겠구나
무언가를 배웠구나! 라는 생각을 해봐야겠죠?
생각을 해봅시다 생각을 어... 으 그러니까 나를 가르치는 건 언제나 시간
그렇구나 시간이 가르쳤구나! 노을을 바라보다가 시간 덕에 무언가를 알게 되었다?
노을을 보고 있었는데 시간... 시간은 흐르겠죠?
노을은 시간이 지나면? 지게 됩니다! 노을은 지게되어있어요! 그것도 짧은 시간에!
그것을 보고 화자는 무엇을 배웠을까요?
아 그렇구나! '허무의 불'(노을)은 금방 지는구나!
일시적인 거구나! 그렇다면 나의 내면의 아픔 또한 일시적인 것이겠구나!
이런 깨달음을 통해, 다음 연에서 앞으로의 새로운 삶의 자세를 깨달게 된 것이겠죠.
그런 자신의 다짐을 기도의 형식으로 제시한거 겠네요?
왠지 그렇다면 '그대 생각'은 그녀이기 보다는 '이상향' '절대적 존재'가 될 듯 하지만
이런 세부적인 조건은 문제에서 정해주는 방향대로 풀어야겠죠?
이제 마지막 연입니다.
인고의 물이 수심속에 기둥을 이루고 있었네.
이제 허무라는 이미지는 사라지고 인고의 이미지의 물을 말하고 있어요.
그리고 '기둥'이라는 단단하고 굳건한 이미지로 물을 꾸며주면서
영속성, 영원성의 느낌을 주고 있죠?
결국 내면의 아픔은 일시적이고 금방 사라지지만
저 물은 영원하고 따라서 내면의 아픔은 잊어버리고 인고의 자세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되겠네요.
재작년에 쓴 칼럼입니다.
물론 현장에서는 절대 이렇게 이 속도로 못 읽어요. 하지만 평소에 이렇게 읽는 연습을 해야
현장에서 유기적인 해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