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람 [573665] · MS 2015 · 쪽지

2015-09-17 22:04:42
조회수 913

10시 하루 7선지로 보는 한국사 OX퀴즈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39007

그제 7선지(1)해설입니다!

1. 한군현(낙랑군,대방군)은 고구려에 의해 3세기 되서야 축출되었다.

답 X
고대삼국의 발전
미천왕(300~331) : 한 군현(낙랑, 대방군) 축출

추가) 왕위의 부자상속
: 고구려- 고국천왕(179-197)
백제 - 근초고왕(346-375)
신라 - 눌지마립간(417-458)


2.신석기 시대에 이른민무늬, 돌괭이, 돌삽, 밀개를 처음 사용하였다.

답X
선사문화
신석기 시대는 이른 민무늬 토기, 돌보습, 돌괭이, 돌삽, 돌낫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석기 시대에 자르개, 찌르개, 긁개, 밀개!, 슴베찌르개를 사용하였습니다.


3.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한 정부간 이루어진 최초의 공식 합의서이다.

답O 노태우 정부
추가)
남북고위급회담시작(90)
남북 유엔 동시가입(91)
남북기본합의서 채택(91.12)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92)

4. 부여는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가 존재하였다.

답 X 고대삼국의 발전
고구려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가 존재하였다.
각각의 대가는 사자, 조의 선인등의 관리를 거느렸다.
부여는 왕 아래 마가,우가,저가,구가가 존재하였다.


5. 일제에 의해 경찰권과 사법권이 1909년에 강탈당했다

답 X 개항이후 일본과의 조약
기유각서(09) 사법권 박탈, 감옥업무 이관
경찰권 위임 각서(10) 경찰권 박탈


6. 고국천왕은 진대법을 실시하고 부자상속제를 확립하였다.

답O 고대삼국의 발전
고국천왕
-부족적 성격의 5부를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왕위의 부자상속 확립
-진대법 시행( 을파소의 건의로 시행)

7.비유왕은 소지마립간과 혼인동맹을 체결하였다.

답X 고대삼국의 발전
비유왕은 눌지마립간과 나.제동맹 체결하였고
동성왕은 소지마립간과 나.제동맹을 강화하였다(혼인동맹)

추가) 백제의 5세기
비개문동! 열번외치기 ㅎㅎㅎ
비유왕 나제동맹
개로왕 한성이 함락되고 전사
문주왕 한성에서 웅진(공주)로 천도
동성왕 신라와 결혼 동맹을 맺습니다.

고구려 장수왕(413-491)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5세기 왕
을 관련시켜 이해하면 편하겠지요..!


오늘의 7선지(2)

1. 관복제를 실시한 왕은 백제 고이왕, 신라 법흥왕, 고려 광종이 있다.

2. 고려시기 거란의 1차 침입이 시작된 때의 왕은 경주를 동경으로 설치하였다.

3. 향, 부곡의 특수구역은 고려 때 처음 지정하였다.

4. 적고적의 난, 원종 애노의 난, 김사미효심의 난은 신라 하대에 발생했다.

5. 최우 정권은 몽골의 침략으로 강화 천도를 단행하고 서방을 설치했다.

6. 개경환도는 무신정변이 발생하고 100년 후에 이뤄졌다.

7. 이승만은 1951.7월에 반공포로 석방을 단행하였다.

오늘은 좀 쉬운 선지로 구성해 봤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