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물리학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335349
4.x/4.3
자대 대학원 실험랩 진학 예정
물리학과 커리큘럼, 진학해도 되는지, 생활
아니면 그래서 양자역학이 뭐냐! 뭐가 젤 어렵냐!
아무거나 질문 ㄱ
원서시즌동안 계속 틈틈이 질문 받을 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 모든 과정에 대한 앎 (2) 시작과 끝, 전제와 결론에 한한 앎 (3)...
-
내신문젠데
-
과민성대장증후군같은데 지사제 뭐가 좋은지 모르겠음 예상질문: 자힐하면 안됨? 답변: 무면허임
-
기출스럽고 평가원틱한 입문N제 ㅊㅊ좀
-
제가 직장 다니면서 수능 준비 중인데 계약 문제 때문에 올해 수능은 못보고 내년...
-
사문 19강× 18강 절반
-
미뤄뒀던 애니메이트를
-
올해 드디어 가나형 인문,철학,예술 아니고 딴거에서 나오나?
-
내가 구조독해에 대해서 잘 몰라서 하는 말인데 그냥 수학 유형 분류하듯 나올 만한...
-
https://naver.me/GV2aa8N8 아 근데 27년은 모르긴해 ㅋㅋ
-
고려대학교 수학과 (당해 가형 100점, 수리논술 최초합) 고려대, 서강대 등...
-
14-17 정보보안 지문 25leet 트랜잭션 출제진이 낸 것으로 의심됨
-
작수같이 쉽게나오면 모르겠는데 평상시에 30분은 넘는듯함
-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일상에서 한번쯤 겪는 통증 ㄷㄷ 남자라면 무조건 공감하는...
-
김치 먹고 싶은데 묵은지돼지고기찌개, 묵은지김치찜, 묵은지곱도리탕 이런 건 안 땡김...
-
초딩때부터 매년 영어 교과서마다 Earth Hour 있어서 해야지만 하고 계속...
-
지엽적인 사실일치 이런 것보다는 구절들 정확히 읽었는지 문제로 확인하는 방향으로...
-
수학 끌올 0
수학 감 어떻게 빨리 끌어 올릴 수 있을까요 미련하게 공부 좀 놨더니 수학 잘...
-
이거 참고에 있는 공식 고1 공통 교육과정에 나오는 내용인가요?
-
국어 수학에 이어서 영어도 재미로 만들어봤습니당 모의고사 기능도 추가해봤어요!...
-
(x=실패)->(x=성공을 낳음) 대우명제 (x=성공을 안낳음)->(x=성공) 즉,...
-
와 6모 망했네 0
6모 학교에서 보려고 연락했는데 며칠뒤에 다시 연락준다고 해서 기다렸는데 마감일까지...
-
이감 질문 1
이감 페키지 다 사야하나여? 어디서 구매하나요? 이감하기전에 기출을 끝내는 게 먼저죠?
-
꼬츠 1
-
과년도 지인선 0
올해 지인선 다 풀었는데 맛있어서 작년 지인선 풀려고 하는데 ㄱㅊ나요? 아니면...
-
불수능일수록 이해 없는 얄팍한 구조독해는 씨알도 안먹힘
-
오르비언들의 눈은 소중하니까
-
나 호1감고닉인가
-
요즘 문창과 갈 까 진지하게 고민중임 재능 없는거 같으면 빨리 마음접게 독설 ㄱㄱ
-
캔버스 끝내고 프로모터 하고 있는데 왜 어렵지..
-
슬슬 서로의 단점이 보이는거같기도 하고
-
멸망하면 멸망하는대로 살지뭐
-
이제 어디가지 20
서울에서 가볼만한데 추천좀
-
나도 유명해지고싶어
-
잠깐만 5
왜 콜라에서 한약맛이 나지?
-
난 붙는점수임 뭐지..반영비때문인가
-
속보)도착했다함 0
집 뛰어가여지
-
다시는 날 의심하지 마라
-
대학 서열표를 보고 점수따라 대학에 지원하는 수험생이 대부분인데, 그런 한국...
-
그냥 일주일이 ㅈㄴ 빨리 지나감…
-
국수 공부시간비율 비슷할때도 있음......... 자살마렵다 진짜 이 나이먹고 둘...
-
공짜로 현질했다 ㅋㅋ 11
3개월할부하면 공짜지
-
그냥 공짜아니냐
-
이해하면 문제풀이 시발점 다 보이지만 못하면 손도 못대게 막아놓음
-
N수생은 당연한 원인이고, 진짜 궁금한건 공부 잘하고 모고 잘보는 전교권 애들도...
-
몇캔 8
하이네켄~
-
와일드 스트로베리 샀는데 디씨에서 피색깔이래여
-
등급컷은 화 확 영 세지 한지 32211이고 백분위는 87 91 2 97 96임
-
혹시 그 빤스 어디 브랜드이심?
양자역학 이해하셨나여
대학원 전공필수로 열린 양자역학 수업을 듣고 나서 이해 성공
물리학과 공대에 비해 학사취업 별 손해 없나요?
동기들 보면 취업 하는 애들이 거의 없지만 딱히 손해를 보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더 분명히 말하자면 과에 의한 손해보다 능력에 의한 손해가 지배적인 요소일 듯?
근데 취준이 안 되는 친구는 못 보긴 했어요. 전과나 복전이 신청만 하면 된다는 특수성이 있어서 그런가
많이 공부하면 물리나요?
진로 관련해서 쪽지로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부담스러우시면 댓글로 질문 드리겠습니다!
댓글을 선호하긴 하는데 이유는 많은 사람들에게 내용을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문과에서 물리학과로 전과하려고 하는데 추후 대학원 진학에 마이너스가 될 것 같아서요..(교차지원으로 대학 레벨 높이려 한 게 안 좋게 보일 것 같아요) 학점 등 다른 요소가 어느 정도로 받쳐줘야 극복이 가능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교차지원으로 높이려 했고~' 이런건 교수님들이 신경 아예 안 쓸 확률이 99.9%입니다. 교수님들은 그런 사소한 것에 관심이 없어요. 제 생각에 그건 극복해야할 요소가 아니에요. 그냥 물리학만 잘 하면 됩니다.
오히려 제 뇌 속 시뮬레이션에선 그냥 교수님들이 되게 신기하게 볼 것 같은데요? 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반수 망하고 너무 속상했는데 답변 덕분에 조금 마음이 놓이네요.. 감사합니다!!
4점대 ㄷㄷㄷㄷㄷㄷ
전과자 보시나요
아니여
1. 학부 열역학/통계물리학, 양자역학을 들으려고 할 때 수학적, 물리적 베이스가 어느 정도 있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저희 과 공학수학에서 PDE, 복소해석, 푸리에 등을 다루지 않기도 하고 이 과목들과 변분법, 텐서 등을 배우고자 수리물리를 듣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수학적 베이스는 푸리에변환, 미분, 적분, 미방에 조합론 좀 알면 괜찮고
물리적 베이스는 뭐라 말하기 좀 어려운게.. 그냥 물리학적 사고에 익숙해져 있다면 딱히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베이스가 많을수록 행간에서 더 많은 내용을 읽어낼 수 있고 연습문제를 편하게 풀 수 있는 정도?
두번째 질문은 저희 학교 수리물리 과목이 텐서만 한 학기 죽도록 배우는 조금 특이한 과정이라 SK 친구들 말을 빌려서 이야기하자면
조금 시간낭비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리물리가 저학년 과목으로 개설되는데 로드가 상당한 편입니다
그리고 님에게 필요없는 적분, 복소적분 등에 시간을 상당히 많이 할애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유튭 보면서 독학을 하는걸 추천드림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