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황들 질문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067990
국민소득 증가- 화폐수요 증가-이자율 크게 상승
통화량증가-이자율 하락
이렇게 된다는데, 국민소득 증가랑 통화량 증가랑 뭐가 다른건가요? 둘다 사람들한테 돈이 많아지는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오르비에 공부법이나 질문댓글은 달아본적있어도 글쓰는건 처음이네요.12월...

통화 많이하면 돈 많이들잖아요어디에 있는 내용이엥ㅅ?
총정리과제 6주차 day3에있는 케인스주의, 통화주의에 나온 내용이요.
저는 그냥 화생러라 이거 읽을 때 그런가보구나 하고 읽음.. 이해안됨.
Team hwasaeng fighting!

가보자고!이자율은 현금을 빌리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현금의 가치 변동에 따라서 값이 달라집니다. 국민소득이 증가한다는 것은 사람들한테 주어지는 소득이 많아진다는 뜻이죠. 소득이 많아지면 화폐의 수요가 증가하니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이자율이 올라가요. 통화량이 많아진다는 것은 경제시장에 풀리는 돈이 많아진다는 것, 즉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니 이자율은 낮아지죠.
화폐의 가치는 이자율과 항상 비례관계인가요?
네. 이자는 화폐를 빌리는 대가로 지불하는 돈인데, 화폐의 가치가 올라가면 빌리는 대가를 더 많이 줘야죠.
소득이 많아지면 직관적으로는 사람들이 돈이 많아져서 이미 충분한 돈이 있기 때문에 화폐수요가 줄어들것 같은데.. 이렇게 이해하면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