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카관고신 [1244786] · MS 2023 · 쪽지

2023-11-02 23:54:37
조회수 656

솔레노이드 관련 영상(이과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972215

https://youtube.com/shorts/eZcK-aXStbQ?si=ix5u9BguOuCXl8lo


요약: 고등교과과정(이상적 솔레노이드)에선 N 즉 감은 수에만 비례함

단, 실제 실험에선 촘촘히 감으면 증가함.


오르비, 윤통시에서 촘촘이 더 정확하다는 헛소리를 한 것을 보아 수능 범위가 드럽게 작고 물리 안하는 사람이 더 많은건 큰 단점이구나 생각했음


본인은 고교과정에 없는거 썼다고 깎으면 안된다는 입장이긴 함 허나 이건 대학에서 배우는 거라기보단 이상적이지 않은 실제 상황 고려한 답이라 애매함. 수능이었어도 굳이 오류는 인정할라나 

예시들면 그거같음 딱. 평가원이 가계도 문제를 교차 돌연변이 고려 안함 <<요놈 빼먹고 문제냈다가 문제틀렸는데 엉? Crossover해서 어찌어찌 하면 ㄱ발현 가능한데? 이거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건양카관고신 · 1244786 · 23/11/02 23:57 · MS 2023

    이과형 피셜: 평가 기준은 교육 과정의 맥락 속에서 결정되야함. 상위 과정 또는 새로운 이론으로 결정되면 안됨. 평가는 배운 것을 확인하고 피드백하기 위함임.
    이걸 인정안해준다고 창의력 존중 안한다 뭐 실제랑 다른거 가르친다 그러는데
    애초 모든 과학이 다…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