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 HELP 해주시면 복받음! (2/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90119
별의 평균 밀도가 클수록 수소 흡수선의 선폭이 넓게 나타난다
별의 밀도가 클수록 수소 흡수선의 선폭이 넓게 나타나는 원리가 뭔가요..?
문제 자체는 그냥 생각 없이 자료 보고 충분히 체크 할 수 있는 선지였긴 한데
외워야 하는 내용인지, 그냥 자료 보고 풀면 되는 건지, 이해를 해야 하는 내용인지 구분이 어렵네여
그리고 이거 EBS 교재나 뭐 인강 개념 교재에 나오는 내용인가요..?
저는 관련 있는 내용이 안 떠올라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가 매력적인?? 외국어 뭐가 있을까요 프랑스어?? 독일어?? 생각을 말씀해주세요^~^
밀도 클수록 넓게 나타나는 거 아님요?
아 헐 잘못 썼다 수정할게여
그거 원리는 완전 교과외라서 외우시면 될걸요
그래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외우셔야할거에요
감사합니당
이유가 다양한데 교과 과정 외라서 그냥 외우시는게 맘편합니다
감사합니다!!
그거 중력가속도랑 관련있다고 시녁이가 했었던 것 같은데
학부수준에서도 설명 불가능한 심화내용이라 알 필요 없다했음요
아 혹시 세이퍼트 은하 방출선 폭 넓은 이유가 그거 아닌가요..? 걔랑 얘랑 같은 이유인가요? 얘는 검색하니까 슈타르크 효과 어쩌고 저쩌고 나오는데..
세이퍼트 은하 방출선 넓은거는 회전에 의한 도플러효과 때문일걸요
저도 잘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당 좋은 꿈 꾸세여!
제가 알기론..
원자가 전자기파를 흡수해서 낮은 준위에서 높은 준위로 들뜨는데 전자의 위치랑 운동량은 정확하게 측정이 불가능해서 모두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지게 됩니다.
근데 흡수선은 하나의 원자에서 만들어지는 게 아니고 커다란 기체 덩어리에 의해 나타난 거라
위에서 말한 불확정성들 때문에 하나의 선이 아니라 조금 낮고 높은 선폭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밀도가 높으면 원자끼리 상호작용이 많기 때문에 더 편차가 커지는 것이죠!
아 화학 선택인데도 어지럽네요..ㅠㅠ 감사합니다 복 받으세여!
ebs 에도 있는데 그냥 외우삼 ebs에서도 설명 안함
광도계급에서 배우는 내용입니다. 같은 분광형끼리 비교시 반지름이 클수록 흡수선 선폭이 넓게 나타난다는것 배우셨을텐데요. 이는 HR도에서 반지름이 큰 방향은 평균 밀도가 작은 방향이므로 같은 분광형에서 평균 밀도가 작을수록 흡수선 선폭이 넓게 나타납니다. 물론 그 원리는 다룬분들 말씀처럼 교과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