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s [770071] · MS 2017 · 쪽지

2023-10-14 20:29:08
조회수 1,794

근데 의대 증원 있잖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36404

의대생 커트라인 낮아지는게 의료 수준 저하로 이어지는게 왜 그런거임? 그렇게 따지면 의대 1990년대 입결보면 이미 의료수준 저하된 상태에서 의료를 받고 있었다는거 아님? 말이 안되는거 같은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1244658 · 23/10/14 20:30 · MS 2023

    솔직히 뇌빼고 다외우는 비율이 높은 2~3등급대 애들이 가는게 더 좋을수도

  • 두부의 요정 · 1010362 · 23/10/14 20:35 · MS 2020

    선생님 그 의대 공부가 암기 위주인 것은 사실이지만 암기가 전부가 아니긴 합니다. 특히 내과학 정신의학 같은 과목들은 암기보다는 다른 중요한 것들도 많아용

  • 두부의 요정 · 1010362 · 23/10/14 20:34 · MS 2020

    그런 주장 근거는 커트라인보다는 같은 과 안에서도 경쟁이 심해지니 질보다 양으로 운영을 해나가는 경향성이 나타나는게 더 큰듯 합니다.

    사실 커트라인이 큰 의미 없는게 현역에 2등급 3등급 받았는데 재수해서 의대 가는 학생들도 많잖아요? 결국 그런 측면 보다는 자유경쟁시장이 아닌 가격이 통제된 시장에 공급이 많아졌을 때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요지의 주장인것 같습니다.

  • 고3s · 770071 · 23/10/14 20:37 · MS 2017

    커트라인이 낮아져서 의료 수준 저하가 일어난다는 거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해서… 건보료를 근거로 하면 말이 될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ㅋㅋ

  • 두부의 요정 · 1010362 · 23/10/14 20:40 · MS 2020

    뭐 아무래도 생명 다루는 직업이다보니 어느정도 공부 잘하는 학생 뽑는게 좋긴 하겠지만 전국 3000등이나 4000등이나 다 우수한 학생들이니까용

    건보료 측면에서 질 저하가 더 클듯 해요

  • 넙죽이는귀여워 · 1010305 · 23/10/14 20:37 · MS 2020 (수정됨)

    현행 체제가 이어지면 의료 질은 딱히 상관없는데 이제 건보재정악화는 가속화시키는 정책이긴 해서 (의사 수 늘어나면 의료수요도 늘어남) 총액계약제 등으로 개편한다면 질이 하락될 수 있긴 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