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에뜻없음 [1260234] · MS 2023 · 쪽지

2023-10-12 11:25:50
조회수 4,835

지1) 수소 껍질 연소가 일어나는 곳이랑 헬륨 껍질 연소가 일어나는 층 사이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06528


헬륨만 단독으로 존재할 수가 있나요????

이런 구조는 어떤 문제집에서도 못 봐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니팜미쳤다 · 1033888 · 23/10/12 11:31 · MS 2021

    ㄴ은 이미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나서 헬륨이 된 구간 아닌가요?

  • 공부에뜻없음 · 1260234 · 23/10/12 11:32 · MS 2023

    그쵸 여기는 이미 수소핵 융합 반응이 끝났다 이건 이해가 가요 그럼 헬륨이 됐을거 아니에요? 그럼 헬륨이 된 그 상태로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헬륨핵 융합 반응이 일어나서 탄소로 점차 변화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냥 헬륨 상태로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 하니팜미쳤다 · 1033888 · 23/10/12 11:34 · MS 2021

    온도가 낮아서 그런거 아닐까요? ㄴ안에 헬륨껍질연소 구간부터 온도가 헬륨핵융합이 일어나기 위한 온도에 도달한거구요.

  • 깨워줘 · 1071435 · 23/10/12 11:49 · MS 2021

    그게 일어나는 구간이 헬륨 껍질 연소인거죠

  • dlsodlsod · 1148709 · 23/10/12 11:55 · MS 2022

    위에 분들이 너무 똑똑해서 설명을 못하시는거같은데 4에서 1까지 올린 나님이 설명을 좀 해드리자면

    기본적으로 개념배울때 수소껍질연소구간 다음에 헬륨껍질연소구간이 맞는데
    자료에서 저렇게 수껍연과 헬껍연 사이에 어떤 구간이 있다고 주어지면

    별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온도가 높아지고
    수소핵융합반응과 헬륨핵융합반응 시작온도 차이가 있으니까
    "아직 헬륨핵융합반응 시작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헬륨들이 아닐까" 라고 판단하는게 맞을거같습니다

  • dlsodlsod · 1148709 · 23/10/12 11:56 · MS 2022

    저걸 외우고있어야하는진 모르겠는데
    자료에서 주어진걸로 논리적으로 충분히 판단할 수 있을거같음

  • 공부에뜻없음 · 1260234 · 23/10/12 11:57 · MS 2023

    저는 머리가 개나쁩니다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