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씀 [782649] · MS 2017 · 쪽지

2023-10-02 21:10:27
조회수 2,060

수완 지구 퀘이사 제가 이해한게 맞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02085

ㄷ. 선지가 애매함.

우리은하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과거의 모습을 담는건 맞는데,

우주의 크기 자체는 증가하기에 ‘단위 부피당 퀘이사 개수‘의 분모는 증가함.


하지만 (나) 자료는 맥락 상 해당 시점에서의 부피를 분모로 취한 단위 부피당 퀘이사 개수임..


분모의 정의가 다른걸로 보이는데, 제 견해가 맞음?


분모가 ‘현재 시점의 단위 부피당 퀘이사 개수’는 스샷 찍어둔게 있어서 올림.



적색편이 2.5일 때 단위 부피당 퀘이사 개수밀도가 최대임.

이때는 약 25억년 정도임.


ebs에서는 (나) 자료에서 앞부분만 살짝 감소한걸로 ’대체로 증가한다.‘라는 선지가 틀렸다고 해설하기에 이상해서 고민을 좀 해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담요 덮은 김동욱 · 1216491 · 23/10/02 21:11 · MS 2023

    단위부피는 일정한건디

  • 사씀 · 782649 · 23/10/02 21:15 · MS 2017

    거리가 먼 퀘이사가 과거 모습을 담는건 맞는데, 우주 부피가 다르잖음.

    (나) 자료는 우주 부피가 당시 우주 부피고,
    거리가 먼 퀘이사를 관측할 때는 우주 부피가 현재 시점의 더 팽창한 우주 부피

  • 사씀 · 782649 · 23/10/02 21:13 · MS 2017

    (나) 자료의 분모 : ‘과거 시점에서의 우주 부피’

    ㄷ선지에서의 분모 : ‘현재 시점에서의 우주 부피‘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00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03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05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Zatabuta · 727057 · 23/10/02 22:07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10 · MS 2022 (수정됨)

    우주크기 알려져있으면, 퀘이사 관측한 뒤에 적색편이로 거리 구해서 빛이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사실상 수명?탄생 후 시간?)이라고 보고, 발견된 개수 중에서 시간 t 이전까지 생성된 퀘이사 개수 / t에서의 크기 이게 (나) 자료 아닌가요?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13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15 · MS 2022

    농도(비유) 개념일듯? 이렇게된다면 나 그래프에서 접선 기울기로 단위부피당 얼마나 생성 더 됐냐 이거 따져야될듯 ㅋㅋ 맞나?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16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26 · MS 2022 (수정됨)

    이쯤되면 제 뇌피셜이니까 염두에 두셈
    (나) 자료에서 x축 : 사실상 우주 크기
    y축 : 우주 크기 늘어나면서(=시간 지나면서) 생긴 개수 / 그 시점에서의 우주 부피
    한마디로 y축은 그 시점까지의 '총' 개수/x값
    즉 개수는 y값 × x값
    이거이고,

    ㄷ 선지는 현재 시점을 묻는거
    일단 은하 자체가 드라마틱하게 이동(팽창 말고)하는건 배제하고, 그에 따라서 사실상 은하는 고정됐다고 봄(상대적 위치가)
    ㄷ 선지는 우리은하가 중심인 구에서 점점 멀어질때마다 구 껍질(d부피) 에서의 개수 묻는거. 그렇게되면 개수 / 부피 = d(xy) / dx 인데 이건 대체적으로 증가 안해서 ㄷ 틀린거 아님? 수학은 걍 설명상 쓴거고 정성적으로만 봐도 아닌거같은디
    (나) 보면 극댓값 찍고 부피 증가량 대비 개수 증가량이 너무 낮잖슴(과거 추적이니, -x 방향(왼쪽방향)으로 가는거임)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28 · MS 2022

    요약하면 개수 추세가 말그대로 극대찍고 달라지니깐 틀린게 맞는듯.. 딱히 사소한건 아닌거같음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29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31 · MS 2022

    마지막 문장 잘못씀 -x 방향으로 추적하는 전제에서,
    부피 '감소량' 대비 개수 '감소량'이 너무 커서, 즉 점점 널널해져서, ㄷ선지가 틀린듯.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32 · MS 2022

    근데 '대체로' 이 멘트 짜증나는건 천번만번도 동의함 ㄹㅇ;;

  • 11보고서울대가기 · 1191360 · 23/10/02 22:48 · MS 2022

    참고로 ㄷ 선지 계산할땐 부피 과거시점 부피말고 현시점 부피 그대로 유지한 전제에서 계산한거. 다만 상대적 위치는 안변할테니 과거시점 모습을 현재에 대입시킨??거(물론 이것도 제 추론일뿐)
    이렇게되면 본문에서 님 의문하고 똑같은
    아지는데,
    님 말이 맞는듯? ㄷ선지는 현재고 (나)는 과거.. ㅇㅇ..

  • ||..||..||..|| · 1242621 · 23/10/08 00:05 · MS 2023

    제가 이 글을 보고 수완을 처음 펴 보았습니다. ㅋㅋ
    제가 생각하기에 문제가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어 글을 작성하였으니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orbi.kr/00064658229/%EC%A7%80%EA%B5%AC%20%EC%88%98%EC%99%84%20P.106%20%E3%84%B7%EC%84%A0%EC%A7%80%EC%97%90%20%EB%8C%80%ED%95%9C%20%EB%82%B4%EC%9A%A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