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91호] 오답률 높은 함축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594813
안녕하세요, PPL 영어팀입니다!
2024 9월 모의평가까지 보고 수능만을 남기고 있는 지금, 한 문제를 더 맞히는 것이 소중한 지금,오답률을 보니 함축 문제가 모두 top 10에 들어가 있습니다. 종종 3점, 즉 고난이도 유형으로 나오나, 풀이 방법만 안다면 쉽게 풀 수도 있는 문제이기에 관련해서 칼럼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을 위한 초간단 요약!>
1. 해당 밑줄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체 지문이 전하는 메시지에 집중하자!
2.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 첫 줄, 마지막 줄, 연결사 뒤, 쓰이는 단어의 긍정/부정, 반복적인 어구 및 내용 등에 집중하자.
3. 선지의 경우 어려울 경우 소거법을 사용하자.
함축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사고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학생들이 주로 밑줄 친 부분에 집중하고 해당 부분의 의미를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밑줄 부분만을 읽고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평가원이 함축 문제를 출제할 때 밑줄을 친 부분이 전체 메시지를 잘 대표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밑줄 뿐만 아니라 전체 지문을 자세히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문장에서 주장을 파악하는 데에도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평가원이 발행한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방법 안내'에 따르면 한 문단에는 하나의 주장만이 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첫 문장, 마지막 문장, 연결사의 사용, 그리고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어구나 특정 개념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또한, 작가가 특정 주제나 소재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작가가 사용한 단어나 표현에 주목해야 합니다.
선지를 선택할 때는 주어진 문맥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주어진 선지 중에서 바로 답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소거법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소거법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기준으로는 주제와 반대되거나 전혀 언급되지 않는 선지, 지문 내용과 관련성이 낮거나 다른 주제로 흐르는 선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2024 9월 모의평가 21번을 예시로 설명을 이어 나가겠습니다. 우선 다시 한번 문제를 풀어보고 분석적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때, 첫 문장, 마지막 문장, 연결사, 반복적인 어구와 특정 개념에 주목하고 전 지문의 맥락을 고려하며 읽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21. 밑줄 친 “The best is the enemy of the good.”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Gold plating in the project means needlessly enhancing the expected results, namely, adding characteristics that are costly, not required, and that have low added value with respect to the targets ― in other words, giving more with no real justification other than to demonstrate one’s own talent. Gold plating is especially interesting for project team members, as it is typical of projects with a marked professional component ― in other words, projects that involve specialists with proven experience and extensive professional autonomy. In these environments specialists often see the project as an opportunity to test and enrich their skill sets. There is therefore a strong temptation, in all good faith, to engage in gold plating, namely, to achieve more or higher-quality work that gratifies the professional but does not add value to the client’s requests,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valuable resources from the project. As the saying goes, “The best is the enemy of the good.”
* autonomy: 자율성 ** gratify: 만족시키다.
① Pursuing perfection at work causes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② Raising work quality only to prove oneself is not desirable.
③ Inviting overqualified specialists to a project leads to bad ends.
④ Responding to the changing needs of clients is unnecessary.
⑤ Acquiring a range of skills for a project does not ensure success.
분석적으로 보자면,
Gold plating in the project means needlessly enhancing the expected results, namely, adding characteristics that are costly, not required, and that have low added value with respect to the targets ― in other words, giving more with no real justification other than to demonstrate one’s own talent.
"Gold plating in the project"는 프로젝트 내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불필요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주로 부정적인 표현인 "Needlessly," "not required," "low added value," "no real justification other than to demonstrate one’s own talent"과 같은 언어로 설명됩니다. 따라서 "gold plating"은 자신의 능력을 뽐내기 위한 목적 이외에는 실질적인 이유 없이 추가적인 특성을 더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Gold plating is especially interesting for project team members, as it is typical of projects with a marked professional component ― in other words, projects that involve specialists with proven experience and extensive professional autonomy.
여기서는 흥미롭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전문가가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이기 때문이라고 in other words를 통해 두번이나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In these environments specialists often see the project as an opportunity to test and enrich their skill sets.
여기 다시 한번, 자신의 기술을 테스트하고 향상시키는 기회로 본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There is therefore a strong temptation, in all good faith, to engage in gold plating, namely, to achieve more or higher-quality work that gratifies the professional but does not add value to the client’s requests,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valuable resources from the project.
그 결과, "gold plating"에 빠질 유혹이 강하며, 이것은 전문가를 만족시키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고객의 요구에 가치를 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에서 귀중한 자원을 소모한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부정적으로 서술되고 있습니다.
As the saying goes, “The best is the enemy of the good.”
마지막으로 관용구가 등장하며 지문을 함축적으로 설명합니다.
정리하자면, ‘gold plating이란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기 위해서 more and more을 하고 있지만, 긍정적인 효과는 없다’라는 내용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선지를 보면,
① Pursuing perfection at work causes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일에서 완벽을 추구하면 팀원 간의 갈등이 일어난다) → 팀원 간의 갈등은 다뤄지지 않았습니다.
② Raising work quality only to prove oneself is not desirable. (오로지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성과의 질을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정답이죠.
③ Inviting overqualified specialists to a project leads to bad ends.(프로젝트에 필요 이상의 자격을 갖춘 전문가를 끌어들이는 것은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 필요 이상의 자격을 갖춘 자격자들은 해당 문제에서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④ Responding to the changing needs of clients is unnecessary.(고객의 변화하는 요구에 대응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 고객의 변화하는 요구도, 그에 대한 대응도, 불필요하다는 얘기도 다 나오지 않았습니다.
⑤ Acquiring a range of skills for a project does not ensure success.(프로젝트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한다고 해서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 다양한 기술 습득은 해당 지문에서 나온 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해서 답이 2번으로 나옵니다.
대부분의 함축 문제들은 위와 같이 흐름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중요한 점은 역접 표현입니다. 주로 밑줄이 그어진 표현은 지문의 전체적인 의미를 함축하는 경우가 많지만, 가끔 역접인 표현이 사용되어 밑줄의 내용이 지문의 내용과 반대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유의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2022 6평 21번을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21. 밑줄 친 an empty inbox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The single most important change you can make in your working habits is to switch to creative work first, reactive work second. This means blocking off a large chunk of time every day for creative work on your own priorities, with the phone and e-mail off. I used to be a frustrated writer. Making this switch turned me into a productive writer. Yet there wasn’t a single day when I sat down to write an article, blog post, or book chapter without a string of people waiting for me to get back to them. It wasn’t easy, and it still isn’t, particularly when I get phone messages beginning “I sent you an e-mail two hours ago...!” By definition, this approach goes against the grain of others’ expectations and the pressures they put on you. It takes willpower to switch off the world, even for an hour. It feels uncomfortable, and sometimes people get upset. But it’s better to disappoint a few people over small things, than to abandon your dreams for an empty inbox. Otherwise, you’re sacrificing your potential for the illusion of professionalism.
① following an innovative course of action
② attempting to satisfy other people’s demands
③ completing challenging work without mistakes
④ removing social ties to maintain a mental balance
⑤ securing enough opportunities for social networking
여기서도 첫 문장부터 주장이 드러납니다. 창작활동을 가장 우선시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반응하는 일은 나중에 하라는 내용입니다. 이것만 파악하고 문제를 푼다면 1번을 고를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밑줄이 친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밑줄을 버리는 것보다 너의 꿈을 버리는 것이 더 낫다'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밑줄이 반응적인 일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2번 선지가 올바른 선택입니다.
수능이 가까워지면서 영어 공부는 더욱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함축 문제는 상대적으로 점수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유형 중 하나이므로, 이를 잘 다루는 데에 힘을 기울이기를 권장합니다. 이 칼럼이 여러분의 공부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영어팀
제작 일자 |2023.10.01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1,000)
-
1,000
-
약간 22번 수열처럼 한문제 풀때마다 모든 조건이 다 적용됐는지 다시 확인해야 될듯..
-
ㄱㅊ을까요? 2학년 내신 이후로 겨울방학때부터 지금까지 안함 … 안 해도 잘...
-
외부인가
-
처음에 난 빡갤이 빡세게 공부하는 갤러리인줄 알았음 1
나만 그럼?
-
화학이랑 생명과학은 강의 좀 듣고 내용 복습 좀 하면 그래도 기본적인 문제들은 풀수...
-
맞팔 구 3
-
개꿀잼 떡밥 하나 터졌노
-
써먹질못하네 이론 상 완벽한데
-
근대돈이없음
-
걍 볼때마다 털리고잇네
-
다들 안녕히 주무셨나요 17
저는 시발 과외를 가고 있답니다 존나 피곤해 죽겠어요 ㅠㅠ
-
국어 영어 11
무뎌진 것 같음
-
그냥 한탄 1
대학 들어가고 2년동안 공부 안 하다가 군수중인데 알텍 2회독,국어 독서 기출 2번...
-
걍 잘못 만든거라고 거르라 했음 괜히 이해만 꼬일듯
-
평가원 #~#
-
DU DU DU DU YEAH IT GOES DU DU DU DU DU MY...
-
힘은 위로 주는데 운동방향은 오른쪽이라 이거 한일은 0으로 치는거아닌가
-
질문 있습니다 0
국어, 영어를 꾸준히 하라는 분들이 많으시던데, 월화수목금만 하고 주말은 안 해도...
-
과탐기준 생지로 탐구평백 86-87정도가 목표면 사탐하는게 더 좋을까요?...
-
바탕 2회 0
83점(1컷) 독서론+어휘 3분 3초 언어 7분 4초 매체 3분 57초 현대시 3분...
-
님들 그거 앎? 1
6평이 다다음주임
-
풀고 기출 하려고 하는데 머 사야하나요 고2입미다
-
지방대 오지마셈 11
ㅈㅂ
-
오늘도 백수다 2
과외 학생이 수업 미룸 ㅎ 결막하출혈때메 밖에 나가기 싫었는데 잘됐다
-
안녕하세요 지금 학교에서 생기부 채우는 기간이라 주제를 정해서 탐구를 해야 하는데...
-
개열받노
-
이 되지 않게 스카 출근.. 일요일도 파이팅
-
베갯속 터졌다 18
세탁하다 터져버림 오늘 뭐베고자냐 ㅋㅋㅋㅋ
-
스테이크 먹고 싶다 11
밖에서 먹는게 맛있는데 나갈까
-
대치동 학원 5
대치동 학원 다니려고 생각중인데 왕복 거의 1시간 반 정도 걸리더라구요 학교 끝나고...
-
.
-
어떰요 답은 4번이라는데
-
뭔 릴스 3개당 2개꼴로 나오냐
-
나한테 벌스 불러서 보내줌 ㅋㅋ 대호감
-
홍대 다니다가 자퇴 후 반수 기숙 학원 다니려고 하는데 메디컬을 목표로 내년까지...
-
한입만 마렵내 진차
-
뭐냐
-
ㅈㄴ 성지순례가 될거기에 곧 지움 1. 칸트의 미학 2. IMF(브레턴2) 3....
-
모의고사 1~2등급 정도이고 지금 합류해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장재원 선생님...
-
5랜만입니다 0
빵 굽습니다잉
-
요즘 정시 기균 3
정시 기균 좋나요 요즘에???? 한등급정도는 더 올려서 보내주나..?.?
-
하..
-
사설도 불독서를 낼 거고 그러면 평가원에서는 리트문학과 옛기출 문학을 했어야 됐다고...
-
외출해야겠다.
-
Everyday Grow, and Glow "매일 성장하며 빛날 당신" 안녕하세요,...
-
수십명의 군복코스프레한 여자들에게 둘러쌓이고 싶구나... 3
이걸 실제로 하는사람이 있음... 표정 좋아죽을라하네...
-
Na 6모 대비로 국어 몇개 풀려는데 일단 인강컨 위주로 풀고 hands 풀이 올릴 예정 추천 부탁
-
왤케 페이스메이커 언급은 잘 안되는거같지
-
-a-1이 t^3+3t에 접해야 하니까 a가 -1이 될때가 최대 아닌가요?ㅠㅠ 답지...
1,2가 ㄹㅇ 중요한데 막상 실전에서
문제풀면 우당탕탕 느낌이라 시간은 시간대로 뺏기고
문제는 틀리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