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만 바라보자 [1180588] · MS 2022 · 쪽지

2023-09-27 10:21:53
조회수 2,097

국어 경제개념 이렇게 알고있어도 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543863

소득증가->화폐수요 증가->이자 상승->채권가격 하락

소득증가->화폐수요 증가->환율 감소 ->경상수지 적자

소득감소->화폐수요 감소->이자 하락->채권가격 상승

소득감소->화폐수요 감소->환율 상승 ->경상수지 흑자


국채매각->화폐공급(유동량) 감소->화폐수요 증가 ->위와 동일                              

국채매입->화폐공급 상승-> 화폐수요 감소-> 위와 동일


물론, 인플레이션일때, 수요/공급 상관없이 금리가 높은경우

(돈의 가치가 낮아지는 중이라 은행에 돈을 빌려줬을때, 미래손해를 안보려할것이기에

높은 금리를 줌)                             

와 같이 예외 상황들이 존재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수특 독서 끝내고 정리한 내용인데,  이렇게 알고있으면 큰일날수있다 거나

잘못알고있는 부분있는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exmaster · 1167501 · 23/09/27 21:49 · MS 2022 (수정됨)

    수요 공급 상관없이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나요? 인플레이션이든 디플레이션이든 스테그플레이션이든 수요 공급의 변화 때문에 일어나는 것일텐데..

  • Sexmaster · 1167501 · 23/09/27 21:54 · MS 2022 (수정됨)

    그냥 통화량과 금리, 채권과 금리의 상관관계, 경제 기본 용어들만 숙지하고 계시면 비문학 푸는데는 차고 넘칩니다. 지문에서 외우신 것과 반대되는 과거의 경제 이론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고, 경제가 무조건 A 다음 B가 아닌 경우가 더러 있어서요.

  • 오늘만 바라보자 · 1180588 · 23/09/28 07:05 · MS 2022

    아하! 너무 엮어서 생각하면 당황할 경우도 나올수있겠네요.
    성의있는 답 감사해요!
    좋은 하루 되세요.

  • 배고파유우 · 1250169 · 23/09/29 15:43 · MS 2023

    예를 들어 세금이 오르는데,
    이거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있어서
    어떤 지문에선 세금이 오르면, A도 증가해요~
    다른 지문에선 세금이 오르면 A는 감소해요~
    이렇게 나오기도 하죠?
    아주 가끔 배경지식이랑 약간 반대되눈 인과관계가 나오기도 하는거 같아서요 ㅠ

  • Sexmaster · 1167501 · 23/09/29 16:03 · MS 2022

    네 맞습니다. 저도 경제 선택했고 bis, 오버슈팅, 브레턴우즈, cds 등등 배경지식을 섞어서 수월하게 푼 지문들도 많았지만 반대로 제가 아는 내용과 달라서 당황했던 적도 있습니다. update가 안된 과거의 이론들을 가져오는 경우에는 인과 관계부터 워딩까지 우리가 아는 것과 많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 배고파유우 · 1250169 · 23/09/30 11:56 · MS 2023

    올해 수틋 경제지문에서
    국제수지랑 대공황 지문이 빡세던데,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ㅠ

  • Sexmaster · 1167501 · 23/09/30 13:18 · MS 2022

    많이 빡세시면 적어도 수특 지문의 흐름 내지 중요한 정보 정도는 숙지해서 가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