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과 위악 [728914]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3-09-26 08:01:53
조회수 1,684

진천 선수촌처럼, ‘과학 엘리트 선수촌’을 갈망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533887

19세기까지 성리학 중심으로 움직였던 조선을 혐오합니다. 조선이 무기력하게 강점당한 것은 ‘공부하는 사람’이 없어서가 아니라, ‘공부하는 방향이 잘못돼서’라고 봅니다. 


‘서구의 과학기술사상을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의 교육제도가 달라져야 한다’고 절박하게 외친 조선인의 저술은 제가 알기로는 유길준의 ‘서유견문’(1889년 탈고 배포. 1895년 정식 출간) 이전에는 없었습니다. 있다면, 저에게 보여주시면 됩니다. 


하고한 날 공자 왈 맹자 왈 되뇌던 나라가 힘으로 모든 게 결정되던 제국주의 시대에 강점을 안 당하면 그게 이상한 것이지요. ’제국주의를 옹호하냐‘는 비판을 받을까 봐 사족을 달아야 하는 게 너무도 아쉽지만, ’도덕론‘은 도덕을 모든 이가 받아들일 때 힘을 얻는 법이라고 봅니다. 한데, 고래로 인간의 본성에는 도덕만큼 ’힘 숭배‘도 자리하는 법이니까요. 


현 정부 탄생에 한 표를 보낸 사람입니다. 다만, 한 가지 염려되는 게 있었습니다. ’과거제의 정통 후예인 사시파 서울법대가 최초로 정권을 장악했을 때‘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과연 ’시대에 걸맞게 이뤄질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제 경험칙으로 볼 때, 대부분 사람은 10대 후반~ 20대 때 배운 것으로 먹고 살더군요. 20대 때 헤겔 철학을 배운 사람은 평생 헤겔 헤겔 하면서 살고, 사회주의에 경도됐던 사람은 사회주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보였습니다. 저 역시 별 다를 건 없겠지요. 


머리가 가장 잘 돌아가던 20대를 ’법전‘과 함께 보낸 뒤 삶의 대부분을 법의 해석과 적용에 몰두했던 사람들이 과연 과학기술에 대해 얼마만큼 절박함을 가지고 있을지가 의문이었습니다. 물론 전자공학을 전공한 ’최초의 이과 출신 대통령‘이 과학기술에 대한 별다른 정책을 펴지 못한 채 무기력하게 탄핵되는 것을 보면서 ’이과 출신도 별 것 없구나‘ 생각하기도 했지만요.


저는 이 정권이 향후 우리 역사 발전에 끼칠 최대 잘못은 ’과학기술연구비 삭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주변을 돌아보십시오. 핸드폰 없이 못 사시지요? 이것, 물리학과 그것에서 파생된 공학 발전의 결과물입니다. 그 뼈대는 수학이었고요. 인터넷 발전 역시 그렇고요. 나이를 먹을수록, 이 세계는 물리학 그리고 그 뼈대를 이루는 수학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서울대 인문대 커트라인이, 아니 문과 커트라인이 예전과 비교할 때 바닥을 치게 된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물리학과 수학은 그러나 민간기업이 발전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윤을 ’바로‘ 창출하기가 힘들뿐더러, 돈도 많이 들어갑니다. 한 나라의 교통 근간을 이루는 철도나 고속도로를 국가가 설치하고 운영할 수밖에 없는 이유일 겁니다.


그럼에도 과학기술 연구비를 줄인다고요? 한숨만 납니다.


체육 분야로 눈을 돌려보지요. 1980년대 중후반, 카투사로 양키들과 함께 근무하면서 흑인들의 육체적 능력에 감탄하곤 했습니다. 고무공 같은 탄성, 차원이 다른 근육량... 모든 운동의 기본이랄 수 있는 육상 달리기 분야에서 100m나 마라톤 세계 최고 기록을 어느 인종이 갖고 있는지 살펴 보십시오. 죄다 흑인입니다. 복싱이나 격투기 세계 헤비급 챔피언은 대부분 흑인이 차지했습니다. ’몸‘이 다른 겁니다, 황인과는...


그럼에도 대한민국이 올림픽 등에서 메달을 ’상대적으로‘ 많이 따는 것은 ’체육 엘리트 지원을 위한 선수촌‘(진천선수촌. 예전에는 태릉선수촌)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공산주의 국가 빼고 여전히 ’전 종목 체육 엘리트들‘을 한곳에 모아 올림픽 등에 대비한 강도 높은 훈련을 시키는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을 겁니다. 이런 지원이 없다면,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의 메달 획득 개수는 확 떨어질 겁니다. 결국 돈의 문제이지요. 


국가 발전 역시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저는 ’서울대 출신은 지적 엘리트‘라는 말을 부정합니다. 제가 서울대에 입학하던 1984년, 서울대는 6000명을 뽑았습니다. 요즘은 3000명 정도 뽑고요. 한 나라에 ’역사적 이노베이션‘을 이룰 수 있는 엘리트가 한 해마다 3000명씩 나오는 경우는 없다고 봅니다. 서울대를 나왔어도 대부분 그냥 직업인으로 살아갑니다. 


그러나 전국에서 ’두 자리 이내 성적‘ 혹은 ’최초반대 세자리 수 성적‘을 이룬 이들은 다르다고 저는 봅니다. 마치, 100m 달리기를 10초대로 뛸 수 있는 사람이나, 마라톤에서 2시간 20분대 안으로 뛰는 것이 타고 나야 하는 것처럼요.(이것 부정하신다면, 오늘부터 죽어라고 달려보십시오. 귀하가 타고난 육체적 능력을 갖추지 않은 한, 100m 11초대나, 마라톤 2시간 40분 이내 주파는 불가능합니다. ’순수 아시아인‘ 중 100m 9초대를 이룬 사람은 지금까지 단 3명이 나왔습니다. 흑인은 100명 가까이 나왔고요. 마라톤 세계 기록은 요즘 이디오피아나 케냐 출신으로 이뤄집니다. 타고나지 않으면, 체육이든 학문이든 ’초엘리트‘에 이르기는 지극히 힘들다고 봅니다. 사족 하나만 더 붙이면, 100m 달리기 11초 F나 마라톤 2시간 40분으로는 우리나라 전국체전에 나가도 메달을 못 땁니다.)


상상하곤 합니다. 진천 선수촌처럼 ’기초과학 전문가촌‘을요. 전국 수능에서 100등대 이내 학생에게 “전문가촌에서 공부를 마친 뒤 일한다면 당신들에게 평균 연봉 3억 원을 퇴직 때까지 보장하겠다. 대신 기초과학자로 여기서 평생 일하라”고 이야기하는 겁니다. 여기를 기초 과학의 메카로 삼자는 겁니다.


매해 이런 이들을 100명 뽑은 뒤 평균 연봉 3억 원, 40년 근무라고 치면 40년 뒤부터 매해 1조 2000억 원의 예산이 해마다 들어갈 겁니다. 2024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총지출은 659조 9000억 원입니다. 전체 예산 지출의 0.1827%입니다.(물론 기관 운영비 등이 들어가면 이보다는 많아지겠지요.)


물론 숱한 비판이 따를 겁니다. 


성적지상주의를 강화시킬 것이다. 

왜 사람을 성적으로만 평가하냐.

근무자들이 나태하게 되는 것(공무원화)을 어찌 막을 것인가.


갑오경장으로 신분제가 폐지되기 이전까지 실질적으로 ’노예로 운영되는 국가‘였던 탓인지(권리는 없이 의무만 지던 조선 후기 양인들이 과연 자유인이었을까요?), 우리나라는 평등주의가 강합니다. 평등주의에 위배되면 몰매 맞기 십상입니다. 그 비판이 가장 강할 겁니다. 그래서 이런 정책은 국민의 절대적 지지가 필요할 것이고요. 


그래도 꿈꿔보렵니다. 내 나라의 미래를 지금보다는 더 낙관적으로 그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세대 수학과 논술납치 이창무 · 1134092 · 23/09/26 08:31 · MS 2022

    우리나라 최고 재능들 모아두고 돈 때려부으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긴 하네요

  • 쥴라탄탄 · 1058856 · 23/09/26 17:03 · MS 2021

    세계 최고재능 모아서 돈때려붓는게 사우디 2030프로젝트임 ㅋㅋㅋ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09/26 19:48 · MS 2017 (수정됨)

    일종의 '고등과학원'을 국내 최고 인재 중심으로 세워서 운영하자는 것인데 이를 사우디 2030 프로젝트와 비교할 수 있을까요?

  • 쥴라탄탄 · 1058856 · 23/09/26 20:01 · MS 2021 (수정됨)

    네. 그래서 더 걱정되는 겁니다. 타국의 과학적 인재들을 압도적 경제력으로 빼낼 계획을 세우고 있으니까요. 신도시 옥사곤까지 지어가면서, 어찌보면 지금까지의 중국 등이랑은 비교도 안 가게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거죠. 이번에 호날두나 유명한 축구선수들 심지어 유망주들까지 비교가 안되는 높은 급여와 복지만을 보고, 낭만과 커리어를 포기하면서까지 사우디 리그에 입성하는 세태를 보고 더 경각심을 가져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가 그걸 보고 과학계에서도 똑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거죠.. 돈을 퍼다주는데 한국에 있을 이유가 없으니까요. 저도 정말 과학의 메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추진해도 이미 늦었지만.. 그래도 있어야 인재를 지킬 희망이 있다고 봐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09/27 06:46 · MS 2017

    아. 제가 귀하의 글 맥락을 오해했습니다. 죄송. 이제는 구시대의 표상이 된 국민교육헌장에조차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라고 했는데 어느덧 과학과 기술은 뒷전인 듯합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는, 군인이 정치하던 시절보다도 '국가 발전 전략 수립'은 못하는 것 같은. 그게 가장 답답합니다.

  • 유튜튜 · 1209628 · 23/09/26 18:26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