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용 [1227239] · MS 2023 · 쪽지

2023-09-25 10:24:47
조회수 4,036

수능특강 문턱값 지문 이해한 사람 있냐 (도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525348

사회문화 13번 지문에 문턱값에 대해서 이해가 안가는데… ebs강의를 들어도 모르겠다…


예를들어, 내가 국밥집을 하는데, 국밥이 만원이고, 10km당 배달비가 1000원이면, 난 100km까지는 배달을 해도 이윤이 생겨서 배달해도 되는게 재화의 이동거리잖아? (공급자 기준)


근데 그럼 문턱값은 뭐임? 도대체 왜 최소거리라는게 존재하는거야? 


국밥집 바로앞에 있는 집에 배달한다고 해서 손해를 보는건 아니잖아. 왜 일정거리 이상부터 수익이 나기 시작하는건지 이해가 안감…


수용자 입장에서도, 내가 국밥을 먹어서 15000원의 효용이 있다면, 내가 50km까지는 가도 개이득이라는 뜻이 재화의 도달거리라는 거잖아. 근데 왜 일정거리 이상을 이동해야만 이득이라고 보는 문턱값 개념이 도입된거임? 


국황 or 경제 고수님들 도움좀 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제사문허수문충 · 1234250 · 23/09/25 11:27 · MS 2023

    문턱값은 그냥 ‘이 범위보단 넓은 범위의 사람들한테 재화를 팔아야 손익분기점을 넘는다’ 아닌가용 예를들어 국밥집이 중심지라고 치면 가게 유지비가 매달마다 들텐데 반경 10미터 안에 사는 사람들한테밖에 못팔면 적자니까, 적어도 반경 5km안의 사람들한테는 다 팔아야 이윤이 남는다 라는 식인거져

  • 아재용 · 1227239 · 23/09/25 11:33 · MS 2023

    음… 그러면 수요자 입장에서는요??

  • Sexmaster · 1167501 · 23/09/25 18:41 · MS 2022 (수정됨)

    최소 요구치, 문턱값은 사업을 지속하기 위한 일정 반경 내의 최소한의 수요를 반영한 값이라고 보면 됨. 예를 들어 공급자 입장에서 재화의 도달 범위가 반경 10km 인데, 공급하는 재화의 수요가 낮아 문턱값이 반경 15km인 상황에서는 이윤이 창출되지 않으므로 사업을 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임.

    국밥집에서 일정 거리를 넘어선 집에 배달해야만 이윤이 창출된다는 소리가 아니라, 일정거리 ‘까지’ 수요가 문턱값 이상은 있어야 사업을 영위할 가치가 있다는 것. 즉, 일정 범위 내에 국밥을 주문하는 집이 문턱값 범위 내에서의 수요 이상은 있어야 국밥집을 운영해서 이윤을 창출 할 수 있다는 뜻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