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자아 정체성 형성과정을 중시하는건 낙인 차교론 둘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224966
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이파이 3초에 한번씩 끊기네 원래 안이랬는데 인강을 못보겠네
-
어제밤까지만해도 잘됫엇는데 집와서 쓰려하니 저렇게되고 안되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224966
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와이파이 3초에 한번씩 끊기네 원래 안이랬는데 인강을 못보겠네
어제밤까지만해도 잘됫엇는데 집와서 쓰려하니 저렇게되고 안되네요..
낙인만 해당합니다
차교론에서는 부정적자아라는 개념이 아예 안쓰입니다 차교론에 따르면 일탈자와 어울리는 사람들은 애초에 일탈을 부정적으로 여기는 생각자체를 안하기에 일탈에 대한 부정적 자아가 아닌 오히려 긍정적 자아가 있을 따름입니다
낙인이론에서 말하는 부정적 자아에는 일탈이 나쁘다는 생각이 이미 전제 되어있습니다 (기출문제에는 나오지 않지만 개념상 그렇다는 얘기입니다)
그럼 왜 부정적 자아냐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무래도 낙인을 찍히면 ('문제아' 소리를 들으면) 사람이 일탈이 나쁘다고 인식해도 일탈을 저지르고 싶어지게 되죠 그에 따라 생성된 자아가 부정적 자아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부정적 자아는 일탈이 나쁨을 인식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일탈을 저지르려고 합니다 낙인을 사람들이 가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