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고수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8749
그냥 지구과학 풀다가 의문이 드는게 있어서 그러는데
적조는 영양염류가 많으면 발생하잖아요 그리고 여름철에 발달하고
그런데 해류파트에서 한류가 난류보다 영양염류가 많은데 그럼 겨울철에 발달해야하는거 아닌가요?
그거랑은 다른개념인가.. 한류난류는 계절구분이 없으니.. 정확하게아시는분 도움좀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월 30일에 현주간지가 일 판매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4월 마지막주에 주간 판매...
-
이미 수능 omr 카드를 걷은 순간 우리의 성적은 정해짐
-
자습실 팩트.check 12
Ebs연계교재에서 서울여대 홍보모델 페이지 뜯어내고 자습실 책상이나 벽에 붙여있는...
-
현재 가족이 멜번에 거주하는 친누나입니다.(교민)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마시고...
-
수능끝나면 안보임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짐 수험생인데 많은 오르비언들에게...
-
인증 7
오늘 저녁 인증
한류가 겨울철에만흐르는게아니잖아요 한류난류랑 그건별개
그른가요 저는 한류가 같은위도에서 아무래도 온도가 더낮고 영양염류 용존산소량이 더 많으니까 온도가 낮을때 적조가 잘일어난다 라고 해석했는데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네요
영양염류->적조가 아니라
영양염류를 섭취하는 플랑크톤->적조 이죠
플랑크톤이 증식하기 좋은환경이 고온의 물이기 때문에 그런것 같네요
그게 스케일의 문제에요 스케일이 다른 문제인거죠 여름철에 남동풍이 우세하다고 해서 우리나라에 남동풍만 부는것이 아니듯;; 전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아닐 수도 ... ㅎ
조류가 활발하게 번식하려면 영양염류 이외에도 온도라는 변수가 크게 작용합니다!추가적으로 생1단원에서 조류의 연개체수 변화 그래프를 참고해서 보시면 될거같구요
그래서 적조나 녹조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다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요인에 의해서 인산염등의 무기염류의 양이 많아질때 발생하게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