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기출에 적용해보는 순서 풀이 전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992834
7월 모의고사 문제로 순서풀이 기법을 적용하는 칼럼을 준비해보았습니다.
<먼저 문제를 스스로 풀어봅니다!>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2. 7) 오답률 51.9%
It raises much less reactance to tell people what to do than to tell them what not to do. Therefore, advocating action should lead to higher compliance than prohibiting action.
(A) This is a presc/2ion that is rife with danger, failing to provide an implementation rule and raising reactance. Much better is to say, “To help make sure that other people provide answers as useful as yours have been, when people ask you about this study, please tell them that you and another person answered some questions about each other.”
(B) For example, researchers have a choice of how to debrief research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 involving some deception or omission of information. Often researchers attempt to commit the participant to silence, saying “Please don’t tell other potential participants that feedback from the other person was false.”
(C) Similarly, I once saw a delightful and unusual example of this principle at work in an art gallery. A fragile acrylic sculpture had a sign at the base saying, “Please touch with your eyes.” The command was clear, yet created much less reactance in me than “Don’t touch!” would have.
* reactance: 저항 ** rife: 가득한 *** debrief: 비밀[기밀] 준수 의무를 지우다[부여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
.
.
.
.
.
.
.
.
풀어보았나요? 함께 풀이해봅시다!
1) 주어진 문장에서 핵심표현 찾기 : 명사, 동사 혹은 문장 내용을 이미지로 요약해서 머릿속에 정리하며 읽기
It raises much less reactance to tell people what to do than to tell them what not to do. Therefore, advocating action should lead to higher compliance than prohibiting action.
위처럼 핵심표현을 체크한 다음에는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문장 내용을 머릿속에 정리>합니다.
1) what to do(A) what not to do(B) => 두 개념을 나눠서 설명하겠네(문맥 추측)
2) advocating action(A) prohibiting action.(B) => Therefore로 앞 맥락이 이어지고 앞에 구분한 두 개념과 연결짓기
2) 각 단락의 첫 문장을 읽으며 주어진 문장과의 연결성 찾기
(A) This is a presc/2ion that is rife with danger, failing to provide an implementation rule and raising reactance.
=> This가 있으니 직전에 언급된 내용이 나올텐데 쭉 읽어보니 <반항을 불러일으키는 것>과 관련한 내용인데
주어진 문장과 뭐 관련있는게 있나요? 띠용? 싶으면 넘어갑니다.
Much better is to say, “To help make sure that other people provide answers as useful as yours have been, when people ask you about this study, please tell them that you and another person answered some questions about each other.”
(B) For example, researchers have a choice of how to debrief research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 involving some deception or omission of information.
Often researchers attempt to commit the participant to silence, saying “Please don’t tell other potential participants that feedback from the other person was false.”
=> “Please don’t tell other potential participants(다른 참가들에게 말하지마세요._부정) 주어진 문장의 what not to do의 맥락과 연결됩니다. B인거 같은데 그래도 C까지 읽어야합니다.
(C) Similarly, I once saw a delightful and unusual example of this principle at work in an art gallery. A fragile acrylic sculpture had a sign at the base saying, “Please touch with your eyes.” The command was clear, yet created much less reactance in me than “Don’t touch!” would have.
=>Similarly, 이후로 “Please touch with your eyes.(눈으로만 만지세요_긍정) 이런 내용이 전개되는 것으로 보아 직전 단락에서도
긍정적인 내용이 나와야겠죠? 그래서 (B)가 맨 앞인겁니다.
B,C 모두 주어진 문장과 관련한 내용이 나오긴 했지만 (C)는 Similarly,가 있기 때문에 직전 단락에 긍정적인 내용이 있어야 논리적 이치에 맞습니다. 하지만 주어진 문장에는 없으니 (B)가 첫 단락이죠!
3) 단락의 뒷 부분을 꼼꼼하게 분석하기
(A) This is a presc/2ion that is rife with danger, failing to provide an implementation rule and raising reactance. Much better is to say, “To help make sure that other people provide answers as useful as yours have been, when people ask you about this study, please tell them that you and another person answered some questions about each other.”
=> (A)의 뒷부분 내용에 긍정적인 내용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아까 (C) 앞에 긍정적인 내용이 나와야한다고 했으니 (A)-(C)인걸 알 수 있네요. (C)까지 자세히 안읽어도 B-A-C 정답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확실하게 B-A인지 보기위해 B를 다시 보겠습니다.
(B) For example, researchers have a choice of how to debrief research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 involving some deception or omission of information.
Often researchers attempt to commit the participant to silence, saying “Please don’t tell other potential participants that feedback from the other person was false.”
=> “Please don’t tell other potential participants(다른 참가들에게 말하지마세요._부정) 내용은 A의 This~raising reactance(반항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연결됩니다.
<문장 순서 풀이 핵심 3줄 요약>
1) 주어진 문장에서 핵심표현 찾기 : 명사, 동사 혹은 문장 내용을 이미지로 요약해서 머릿속에 정리하며 읽기
2) 각 단락의 첫 문장을 읽으며 주어진 문장과의 연결성 찾기
3) 단락의 뒷 부분을 꼼꼼하게 분석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Gb6j0fPrVmo
영상 버전도 있으니 글 읽기 귀찮으면 영상 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자는 22살 남자는 27살 이 외모 전성기라고 생각 반박 시 차은우
-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정보가 없거나 인터넷에 오개념이 널려있는경우엔 지피티도...
-
수1 - 시발점듣고 21까지 뚫음 수2 - 14도헥헥 가끔 12에서 뇌절침
-
이런사람있음?
-
국어백분위 95 수학 백분위97 영어3 물리 2등급 화학 2등급 이거 가능이냐.....
-
진짜 취하네
-
그 논술시험 보는애들 엄청 많았고 난 답안지 쓰고나서 아 이거 걍 불합격이네...
-
망했다 2
하.... 제발 이러지마
-
스파크? 다른건 싸긴 싼데 좀 시원찮아보임
-
특상 전문 연구원도 뽑았다함 근데 연구원들이 너무 급발진해서 본인도말리기힘들다함
-
흠냐뇨이 우웅 이런거 쓰고 있을 생각하면 되게 웃김 ㅋㅋㅋㅋ 아 거울 보고 안웃겨짐 ㅅㅂ
-
시대기출 미쳤네 15
이걸로 과외수업 분량 다나옴
-
언매 기준 1컷 91~92면 물까진 아니고 적당한 정도 아닌가...
-
조금만 뭐 잘못되면 와장창 깨져서 하루종일 길면 한달동안 생각하면서 생각하게됨
-
어려운 책도 읽기 쉬워져서 너무 좋아
-
느금마 보이 느금마 보이
-
아 ㅋㅋ
-
진짜 여기 실전개념 기출로도 ㅈㄴ 충분하고 벅찰듯 끄억끄억 이거 하나로 2등급가자!!
-
한약수가 목표인데요. 확통/사탐런해도 되나요? 사탐런 글은 많은데, 확통런은 별로...
-
잠시 또 복귀 5
사유 음 어 아 그러니까요 오르비 과외시장 하려고요 특정하지 말아주세요..^^
-
배터리 5% 남아서… 이따 10시쯤 집 가서 나머지 달아드릴게요~ ㅈㅅㅎㄴㄷ ㅈㅅㅎㄴㄷ
-
메가패스 보유중 국어 이원준 커리(현역 당시 이원준 커리로 문학 빼고 다...
-
가산 많이 붙어서 빡센가
-
그때는 3할 자작 7할 기출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ㅈㄴ 기대됨 ㄹㅇㄹㅇ
-
굴절보다 잘했음 시발나뭐지
-
ㅈㄱㄴ
-
예쁘죠?? 20
-
이화여대 새내기를 위한 새학기 수강신청 A to Z [심화편]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이화여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이화여대학생,...
-
내가 한 학기에 300넘게 내고 다니는데 왜 애걸복걸해서 시간표를 짜야하는데 이...
-
꽤 긴 작업이 되겠군요.
-
정시 3떨하고 복학신청을 해놨는데 등록금을 다음주 화요일까지 내야됩니다. 등록금...
-
찐막으로 수능 응시 예정이고 사탐런 해서 생1 지1 -> 생윤 사문 예정입니다....
-
재수하면서 현역 고2 고1이랑 똑같은 볼륨 ㅈㄴ 큰 시발점 같은 강좌보다는 차라리...
-
이해원은 ㅈㄴ 싫어하시더라 한완수랑 해모 ㅈㄴ 까셨는데 기억에남네요
-
직선의 방정식이랑 원방만 잘하면 되지 않나요?? 미적분 선택입니나.
-
ㄷㄷㄷ 조만간 올려보겠습니다..
-
연고대 안정으로 나오다가 경희 겨우간 친구도 있고 나만해도 평백 수능날 25...
-
고3때까지 공부 거의안하고 수능봤는데 역시 망해서 바로 재수를했는데 솔직히 처음...
-
사실 이거 쓰고는 임금님귀는 당나귀귀 할려고 온 거긴 한데
-
인중이요
-
아이고
-
문제 풀기 너무 짜증나는데 차라리 도형의 방정식을 더하는게 낫지 앦을까요??
-
아 병신인가 4
5개년 프린트를 왜 했지 걍 한완수 실전개념 안에있는 최신 기출 다 풀몬 되잖아 시바ㄹ
-
수학공부는 5
개념25 문풀75가 맞는듯요…진작에 이렇게할걸 개념 95 문풀 5로했던 과거의 나를...
-
이걸 못잡으면 난 죽는거야
-
그냥 살다보면 알게됨
-
정말 잘 가르치신다고 생각하는데... 대성수학이 워낙 빵빵하기는하지만요 뭐일까요???
-
할만함? 정부가 의사 죽이기 정책한다는데 피나는 노력 끝에 입학하고도 그에맞는...
-
지구과학방위 1
내신때 지구과학 안했는데 진짜 이쪽 분야에 담 놓고 쌓고 살아서 방위가 너무헷갈려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