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성적을 올릴 때 해볼만한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945427
(리트성적은 삭제하였습니다)
국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가려면 뭐가 필요하냐는 글을 보고
비록 엄청난 점수는 아닐 수 있지만
많이 올려본 편이라고 생각하여 글을 작성합니다.
국어 과목의 성적향상방법을 간략하게 적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록 저는 언어이해 공부를 했습니다만
수능 국어와 학습법에서 대단한 차이가 나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 쓰다보니 간략하지 않아 미리 3줄요약을 첨부합니다.
- 복기를 열심히 할 것
- 리듬을 찾을 것
- 쓸데없는 힘을 뺄 것
1. 복기
국어과목은 복기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문제를 풀고 난 직후엔 무슨 일이 있어도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근거로 답을 골랐는지 복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푼 직후에 복기를 하는 걸 추천하는 이유는 단 30분만 지나도 내가 어떤 생각으로 답을 골랐는지 기억이 희미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때 복기는 단순히 답의 근거로 사용한 부분의 위치를 지문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요.
"내가 어떤 생각을 거쳐서 여기까지 다다랐는지" 그 사고방식을 적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예쁘게 정리할 필요 없고... 문제 풀고 나면 지치짆아요.
ㅅㅂㅅㅂ거리면서 샤프로 갈겨써도 됩니다.
정 힘들다면 채점을 바로 하고 틀린 문제만 이렇게 해도 됩니다.
좀 쉬고 다시 자리에 앉은 뒤에는
- 그 사고방식이 어디서 틀린 건지
- 그 사고방식이 왜 도출되었는지
(ex. 비약을 한 건지? 보조사를 못 봤는지? 핵심을 못 봤는지?)
- 어떤 사고방식을 취했어야 하는지
- 올바른 사고방식을 시간 내에 취할 수 있는 방법이 뭔지
를 고민해 보고,
- 내가 부족했던 점을 알아내서 정리
- 내가 해야하는 것을 정리
해서 문제 밑에 적어두시면 좋습니다.
1-1. 복기의 목표
복기의 목표는 사고방식을 교정하는 것도 있지만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도 있습니다.
1-2. 복기의 방법
앞서 말씀드렸지만 문제풀이 직후 자리를 뜨지 말고 샤프로 갈겨서 복기해두는 것이 중요하고
다시 자리에 앉은 뒤에는 자기 자신과 씨름하고 싸워야 됩니다.
이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하는 것은 좋은데
너무 풀이를 보지 않고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국어는 수학과 달리 내가 실수로 틀린 것은 죽었다 깨어나도 잘 보이지 않음)
한 10분정도 씨름해보고 해결이 안되면 풀이를 참고하여 사고방식을 교정하면 됩니다. 이때 풀이를 최대한 납득하려고 노력은 하되 아무리 봐도 내가 맞는 것 같다면 그냥 패스하세요.
2. 리듬
국어과목은 푸는 도중 실시간으로 지쳐가기 때문에
스스로 리듬을 만들어가서 "몸이 지쳤을 때 반드시 떠올릴 수 있는 리듬" 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리듬이 무엇인지 많이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해 보세요.
1-1. 제가 찾은 리듬
저는 1세트 지문을 대할 때는
문제 훑기(40초~1분) - 지문 빠르게 독해(4분~5분) - 문제(1분~1분 30초)
정도의 리듬을 가지고 풀려고 했고
* 중간중간 시간을 확인했다는 것이 아니라
이 리듬을 몸에 익혀놨다는 뜻입니다
전체 시험지에서 지문 순서를 대할 때는
문학/예술 지문을 맨 마지막에 풀었습니다.
1-2. 리듬 찾기
사람마다 리듬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리듬이 무엇인지 찾아가셔야 하고
시험 전날까지도 리듬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많이 시도해보시고 시행착오를 겪어보세요.
어려워보이는 한 지문 포기하기라거나
푸는 순서를 바꿔본다거나
지문을 대하는 태도를 바꿔본다거나...
자신에게 맞는 리듬을 찾아야 됩니다
3. 쓸데없는 힘 빼기
국어과목이 어렵고 짜증나는 이유는
"어느 정도 선까지가" 적절한 건지
어디까지가 쓸데없는 힘을 주는 거고 어디까지가 필요한 힘인지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국어과목은
"공부하는 기분 내기" 좋은 과목이기 때문에
크게는 형광펜 칠하기나 인강 듣기, 작게는 지문 뚫어내기(?)
가 쓸데없는 힘을 주고 있는 건 아닌지 항상 의식해야 됩니다.
모처럼 국어를 잘해보려는 마음가짐을 가졌다면 제대로 힘을 쓸 수 있는 태도를 가져야 됩니다.
3-1. 힘을 빼자
국어과목의 학습은 "이해하기" 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고
한 지문을 30분 걸려서 완벽히 이해해내면 뿌듯한 기분이 들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이해하기" 에 힘을 주는 것이 생각보다 쓸데없는 힘이라고 생각되는 것이... 전혀 실전적이지 않습니다
시험장 가서도 한문장 한문장 연결하고 뚫어내며 문제를 풀 건가요?
결국 중요한 것은
시간 내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느냐이고
어떤 선까지만 생각하면 되는 건지 스스로 어느 정도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생각보다 이해하기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0 XDK (+1,600)
-
1,000
-
100
-
500
-
ㅇㅈ 0
이얼굴이 호불호를 탈수가 있을까 성별도 안타는 극호일듯
-
오류라고 하기엔 좀 그렇고 그냥 질문인데 2번 보기에 단모음 ‘ㅣ’가 반모음...
-
맞팔구 2
ㄱ
-
대학생들 와봐요 4
친구들 스토리 보니까 무슨 이름적혀져있고 목에 하나씩 걸고 활동하던데 뭐하는건가요
-
생윤동사꾼은 중간 고사 기간에 지속적인 오르비 활동을 하며 부모님의 기대를 갉아먹고...
-
시간 삭제되네 ㄹㅇ
-
어디가서 사야돼요??
-
정신나갈것같애 0
몇개째폐기노
-
바로 확통런칠거면 개추 ㅋㅋ
-
현우진이 자꾸 미적분하면서 뉴턴 찬양해서 뉴턴이 개 쩌는 사람이란 걸 좀 더 체감하게 됨
-
왜 다른 선생님은 없는거지 이러면 오늘 못키네...
-
두 가지 것이 나의 마음을 늘 새롭고 강하게 감동시킨다. 그것은 내 위에 있는 별이...
-
씨발 망했다 2
탄핵 보다가 시간 너무 써버렸다 하
-
기분 좋아서 하루종일 공부가 잘됨
-
있?
-
[뻘글 ㅈㅅ] 내가 돈을 설렁설렁 벌어도 되는 이유 3
My 여가생활 : -집에서는 혼자 틀어박혀있기 -밖에서는 혼자 정처없이 돌아다니기...
-
피자나라치킨공주 3
예전에 유튜버 뒷광고인가 뭐 논란있지 않았나요 왜이렇게 익숙하지
-
고전시가 공부하는데 잔나비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길래 함 찾아보니까 원숭이라던데 그때...
-
오늘은 불금인데 6
다들 뭐하심?
-
美대사관 “헌재 결정 존중…한미동맹 지속적 힘 재확인” 1
주한 미국 대사관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과 관련해 “미국은 한국의...
-
재매이햄 비호 여론이 장난이 이니던데
-
bxtre.kr/
-
수능수학 목표 변경 18
중간 2에서 낮은 3으로...
-
총선 졌으면 얌전히 있을것이지 ㅉㅉ
-
물론 전 사탐이긴 함
-
칸트는 자기 자신을 속이지 말 것 이란 정언명령에 어긋난다고 보겠군..
-
이것만은 안된다
-
혼술하기 좋은곳 추천좀 12
ㅈㄱㄴ
-
이거 진짜 3점급임? 11
아니라고 해줘
-
안가 배째 어쩔건데 돈안벌어
-
수능을 보신 분들이라면 수능장의 분위기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겠죠. 하지만...
-
bxtre.kr/
-
이제 안함 오늘은 못해
-
간단한 이벤트 진행하고 있으니 참여하고 무료로 생명 교재 받아가세요! 둘 중 한...
-
개념서에서 이 공식이 왜 나온거지 원리를 알아야된다고들 하시던데 지수법칙이나 각변환...
-
생각하면 개추
-
[계속되는 뻘글] 오르비의 리젠량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자. 5
1. 연간 a1 a2.....<--그래프의 뾰족점들 매년 다이나믹하긴 하다 2. 일간
-
200명 기준으로 이번 모고는 6등이라 우럿써..
-
화작 공부 2
고2 노베 정시러입니다… 독서랑 문학은 인강 들으려고 하는데 화작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
둘이 싸우면 누가이김
-
주변에 대규모 집회 예정이니까 조심하라고 학교 단위로 오네..
-
산성역에서 거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버스는 뭘타야하는지 아는분 계실까요...???
-
”가능할까요?“ 시즌3 10
4덮 전까지 2주만에 수1 엔제 두권 가능할까요?
-
bxtre.kr/
-
이제 대통령감인 사람?은 누구 있나요?
-
다행인가...휴
내일 실모보고 바로 적용해야겠당
많은 사람들이 한 지문 붙들고 머리 싸매는 공부를 지향하는데 그게 이해가 안 됐었는데 드디어 저처럼 공부하시는 분을 찾아서 반가운 기분이네요
중간중간 만화 사카데이인줄
공부하기 기분내기 좋은 과목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