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극한의 성장 방법 - 독서 (2) 글이 쓰이는 원리 6th 대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42287
메타인지 국어 글이 쓰이는 원리 6th 대응.pdf
메타인지 시리즈
1) https://orbi.kr/00063754341 극한의 성장방법 Zero
2) https://orbi.kr/00063761593 극한의 성장 방법 - 독서 (1) I. 글이 쓰이는 원리
질문 주신 분들 아직 답을 못 드렸습니다. 특히 글까지 써주신 ㅂㅈㅇ님 죄송합니다.
모레까지 개인적으로 너무 바빠 다른 활동이 불가해 마무리 짓고 이후에 꼭 해드리곘습니다,,,
죄송한 마음에 미리 작성해둔 글 하나부터 우선 올립니다.
문항을 원본으로 보는 것이 좋아 파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본문에 옮겼으나 가독성이 떨어져 수정에는 파일만 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200)
-
100
-
50
-
50
-
뭐가더낳냐
-
조까튼 월요일 5
축구도 비겨서 짜증나
-
좀 니글거리네 2
빵이 남았어... 야식의 부작용인가
-
히 이이 히 이이 이이 히 이이
-
그건 있다 학문적 적성을 판별하는데는 꽤 유용함 개념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적응이 잘...
-
쇼타 투척 0
음 역시 귀엽군요
-
어차피 내일 학교 안가는데
-
뭔잠이여 ㅋㅋ 10
내가 와따 잠 안옴 낼그냥 커피마시고 저녁까지 버틴다
-
어지러워요
-
담에봐 내일올려나 오겠지 내일봐
-
맛있게 와구와구 먹는중
-
경기력 병신어휴 0
이딴경기력으로 무슨 챔스를 나가겠다고 이 시발아
-
이기지 않은것. 그런거에요
-
이거 진짜라는 거임
-
방구석 여포임 단점은 현실노잼이라는거임...
-
지가 처 돌아가놓고 나보고 반말하면서 화내는 택시 등장
-
혼자 가야지!!
-
성격이 문제야 4
성격이 문제라고 생각함 에효효
-
내일 아침에 먹는다
-
1월달에 친구랑 술먹다가 들었던 건데 고2때 인스타 스토리로 증명사진찍은 걸 올렸던...
-
어느정도 공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찾아서 오는 커뮤니 어느정도 실력이 있다는...
-
안그럼 요즘 잠이 안오더라고
-
인서울 높공 전자공학을 꿈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제가 공부할 때 처음에는 좀...
-
크아악
-
요즘 느끼는거 5
귀차니즘이 많이 심해짐 근데 도파민을 찾아다님 근데 도파민 내용에 나는 없어야함 인생ㄹㅈㄷ
-
뭐 잔다고? 19
나 ㅇㅈ할건데 댓글 시발럼들아
-
안녕히 주무세요 6
잠 잘자고 여러분 같이 의대 갑시다
-
친구관계는 1도 인생에 필요하지 않음 아무리 친해도 심각하게 싸우면 다시 싸우기...
-
그럼.. 공부도 gpt없이하고 과제도gpt없이했다고요? 어떻게요? 꺄아악
-
새벽마다 나 6
띠발..
-
vs 먹산 중에 뭐 사야 됨
-
니 남친 지나간다 2번(버스, 학교 복도) 그냥 웃겨서 웃고 있었는데 야야 쟤...
-
범위가 있는 증/감 문제에서 도함수를 구할때 미지수를 일일이 구하고 인수분해하는...
-
니 성격을 봐라!!!!!!!!!!!! 거울도 보도록!!
-
TOP.3 2
1.동아리 2.이층침대 3.이웃사촌
-
ㄹㅇ 맛있네요 그보다 너구리 소스 반보다 더 넣어도 될듯
-
속옷 훔치는 사람의 속옷을 훔쳐오는거임 ㅋㅋㅋㅋ 가격은 법적 분쟁의 위험이 있기에...
-
편하게 다 맞으면 뭐 풀어야 하나요 고1인데 고쟁이 올고 절대등급 메가N제...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헉 독존님 만 덕코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ㅠㅎㅎㅎ 이 글도 정주행하면서 언젠간 읽게 되겠네여 ㅎㅎㅎ
좋은 칼럼 항상 감사합니다!
우왕 선댓후독
칼럼이다!
실전에서 독해를 할때는 이러한 원리를 의식은 하면서 동시에 자연스럽게 되는 정도까지 연습하면 체화가 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번 칼럼도 잘 읽었는데
혹시 독서 지문에서 소재별 편차가 나는 경우에는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까요...?
제가 지금 인문 예술 대부분(윤리, 논리학에서 특히)/사회 문화 중 경제 지문/과학 기술 중(상대적으로) 정보 기술 지문인데 이렇게 한 파트가 다 되는 게 아니라 일부 배경 지식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될 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독존님, 요 며칠내에 지금까지 쓰신 칼럼들 거의 다 읽어 봤습니다. 우연히 보게되었지만 정말 매 순간 감탄하였고, 진짜 제 길잡이라고 해도 무방할정도로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국어 칼럼 덕분에 혼자서 아무리 끙끙대도 넘을 수 없던 벽을 넘게 되었고,
수학 칼럼 덕분에 어려운 문제들의 접근법을 정형화해서 더욱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풀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 쓰시고 계신 메타인지 칼럼들도 하나하나 다 보고있으며, 아직 초반이지만,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이전 칼럼들의 집대성본이라고 생각하고 너무 좋아하며 읽고 있습니다.
메타인지 칼럼에 대해 반응이 적은것에 대해 고민하시는 것으로 보이는 게시글이 올라왔던거로 기억하는데,
저는 왜 이런칼럼이 주목을 못받는건지 아쉬운 한편으로, 나는 이런 칼럼을 볼 수 있어서 정말 감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명확한 목적없이 그저 주저리 주저리 쓴 댓글이지만
독존님께 제 마음이 잘 전달되었으면 좋겠고,
다시한번 정말 감사합니다.
국어는 학습의 한계가 명확한 과목이라고 느꼈는데 독존님 칼럼 읽으면서 제가 얼마나 글을 피상적으로 한 문장씩 읽는지 알게 됐습니다.. {글이 쓰이는 원리}에서 설명해주신 내용이 완전 낯선 내용은 아니었으나 글에서 어떤 포인트에 주목하며 읽어야하는지 독존님처럼 정리해주신 분은 잘 없는 것 같아서 독존님 칼럼이 너무 귀하게 느껴집니다..! 모두가 볼 수 있는 공간에 이렇게 칼럼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칼럼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미루다 미루다 이제야 칼럼 읽었는데 심오하면서도 심플해서 신기하네요.
simple is best가 떠오르는 칼럼
종이책으로 발간하셔도 정말 좋을듯한 내용들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