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성적 올리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38565
커뮤니티 사이트+유튜브할 시간에
좋은생각이나 월간조선 시사인같은 잡지 읽기
각종 신문 읽기
손에 잡히는대로 독서하기...
이게 돌아가는 길 같으면서도
가장 빠른 길이라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푸르름이 사는곳땜에 인기 많을거라 생각했는데 절반이상이 빈자리네 역시 내한가수는...
-
반도리! 걸즈반도빠띠!!
-
영어초보 공부법 0
영어 완전초보인데요, 인강강사중에 신택스 구문독해 같은거 아무거나 빨리듣고서...
-
찐따테스트 결과 4
찐따래 빡종해서 캡쳐는 없음
-
자취하시는 분들 5
다들 요리 자주해먹음?
-
재수vs반수 1
정시 원서를 성신 상명 가천 이렇게 썼는데 3떨 방지용으로 쓴 가천(자연대)만...
-
엉덩이를 와랄라 5
ㅎ..
-
목포대 약대는 재밌는게 확통x 기하(ㅇ) 미적(ㅇ) 투과목도 아닌 과탐2개 필수인데...
-
딴짓안하고 독학재수다니는것처럼 관리할수있는 방법 오디 있을까요?...
-
흙빙 원본좀 2
ㅈㅂ
-
기분 좋아
-
ㅂㅅ대결 합시다 12
트름했는데 뒤에 사람있었던적 존재함
-
그냥 돈도 없고 뭐.. 우울한데 할 일은 많고 친구한테 어제 돈빌리곤 자괴감이 너무...
-
글이 메인 먹어도 1000은 안나오던데 ㄷㄷ
-
ㅇㅇ
-
우울 어쩌고 가정형편이 어쩌고 부모 어쩌고 극단적인 선택 어쩌고 네
-
라고 글쓰는 것도 화나보이겠죠?
-
예비 소집 이거 1
안 가도 되겟지, 공지도 없는데 친구 통해서 알앗음
-
내신공부 고민 0
내신대비로 수학은 학원을 다니고있고 화학은 인강으로 공부하고있어요 학원을 병행하면서...
-
다른 사람이 내 프로필을 방문한 횟수?
-
키스 할사람 1
션티
-
총내신뿐만 아니라 내신 추이도 보나요? 3.1이라 무조건 bb일 줄 알았는데 결과...
-
여캐일러 투척 9
-
흑수저 빙고 5
건강검진은 몰루?
-
ㅋㅋㅋㅋ
-
근데이건…어케대답함. 한적이없는데....
-
아 그럼 안되는데 ㅠㅠ
-
자꾸 플레이어 무한로딩걸리는데 복영이 오늘까지라서 고객센터 연락해봤는데 운영시간이...
-
공부할 게 너무 많은데
-
안녕하세요 7
집가는길
-
나랑 안맞는듯 ㅈ노잼이네
-
흠 반반이군
-
금수저들 부럽다 9
그냥 동작구부터 과천 서초 강남 분당 이런데 아파트에 살면 전세가 됐든 자가이든지...
-
https://m.site.naver.com/1Abu2
-
그쪽..당 4
진짜.. 관심 가져야해
-
정신건강 빙고 0
4빙고!
-
..
-
설마 이게 진짜 내 얼굴인가....?나름 잘생겼다고도 들었는데
-
그냥 적당히 튀지않게 주기적으로 클리너 글삭기능 잘 이용하시고 너무 과도하게 팔로워...
-
이불 안에 파란담요를 넣고 안고 잠 애착이 생긴건지 안고 있으면 마음이 안정됨
-
직장인 메디컬 수시 교과 궁금한 점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2
안녕하세요. 직장 다니는 친구가 메디컬 진학을 고민중이길래 한번 여쭙고자 글...
-
정신건강빙고 3
.
-
질문 받습니다 4
ㅇㅇ
-
오르비에서 보면 경한 목표가 되게 많던데 왜그런걸까요 10
미적사탐 현실적 목표라 그런건가
-
오르비 도시전설인줄 알았더니 에휴다노
-
메가 현우진샘 들을까하는데요 현우진샘 단점이있을가요? 예전 구 신승범샘이 뭐랄까...
지금은 그냥 국어지문 벅벅 푸는게 맞습니다..
물론 지문 푸는건 당연히 전제되어야겠지만
어느정도만 매일매일 꾸준히 풀면
그 이상은 의미없다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문제를 풀면서 받아들이는 정보량은 생각보다 많지 않거든요.
정보량..이라는게 배경지식 말씀하시는 건가요?
저는 일정한 풀이패턴으로 다양한 난도의 지문을 풀면서 자신만의 대응방식을 정립하고 거기서 시간을 줄여나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의도한 '정보량'이란 말은 시간당 처리되는 정보량을 뜻한 것이었습니다. 신문이라던지 잡지에서 제공되는 지문의 양(정보량)은, 모의고사 등에서 제공되는 그것보다 훨씬 많습니다. 거기에 어떤 글감이 나올지 예측하기가 힘들죠. 그것들을 계속 처리해볼수록 독자의 문해력은 훨씬 좋아집니다. 기초 체력이 튼튼해집니다.
반면 모의고사나 문제집에서 제공되는 지문의 정보량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글의 주제도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구요. 지문의 길이가 일정하고, 그 범주 안에서만 고민하게 만들죠.
그 차이는 수능에서 나타납니다. 전혀 생소한 지문이 던져졌을 때, 두 학생 중 누가 더 잘 견딜 수 있을까요?
물론 공부 시간을 과도하게 뺏겨가면서 책이나 잡지 신문 등을 읽으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다만 유튜브 할 시간에 짬짬히 읽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