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특 148페이지채권지문 내용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48525
이 문단에서 금리와 채권가격은 역의 관계를 지난다의 의미가 이해가 안가네요. 여기서 금리는 채권표면에 금리를 이야기하고있는것 같은데 갑자기 저 문장이 왜나오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시장 이자율과 채권가격이 반비례하는 것은 아는데 여기서 이문장은 그 뜻이 아니지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엔 정말 따뜻하신 분들이 많군요... 감사합니다 35
정말로 많은 격려 감사합니다. 발써 두 분이나 오르비에서 구했네요... 친구 한...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반수성공사례입니다. 반년만에 오르비에 들어오네요.....
이건 물가의 개념과 연동되어 있습니다 즉, 물가가 오르면(채권가격상승)시중금리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물가가 낮아지면(채권가격하락) 시중금리는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둘관계는 반비례관계라는 것입니다
(입찰)금리가 내리면 (채무자가 지급해야 할)가격이 내려간다는 소리로 알아먹고 대충 넘어갔어요 저는
수특 독서 내용 이상한 게 많아서 그냥 개념정도만 익히시는 게 편함...
수요공급 때문에 그래요 화폐의 시간가치 구할때 기대 수익률은 현재가치에서
(1+이자율)곱해서 나오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미래가치가 올라가겠죠? 따라서 금리가 높으면 굳이 채권에 투자를 안하고 은행에 맞기는게 안전하게 수익을 얻을수 있어서 고정금리인 채권이 매리트가 없는겨죠
그냥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하려는사람들이 많아지고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많으면 수요가 많아지니 채권가격이 상승한다는거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