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의 구조독해 [1134769]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07-05 19:54:36
조회수 1,348

수특 148페이지채권지문 내용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48525

이 문단에서 금리와 채권가격은 역의 관계를 지난다의 의미가 이해가 안가네요. 여기서 금리는 채권표면에 금리를 이야기하고있는것 같은데 갑자기 저 문장이 왜나오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시장 이자율과 채권가격이 반비례하는 것은 아는데 여기서 이문장은 그 뜻이 아니지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푸른 하늘과 이상 · 1187425 · 23/07/05 19:59 · MS 2022 (수정됨)

    이건 물가의 개념과 연동되어 있습니다 즉, 물가가 오르면(채권가격상승)시중금리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물가가 낮아지면(채권가격하락) 시중금리는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둘관계는 반비례관계라는 것입니다

  • 사월이지나면 · 1102851 · 23/07/05 20:00 · MS 2021

    (입찰)금리가 내리면 (채무자가 지급해야 할)가격이 내려간다는 소리로 알아먹고 대충 넘어갔어요 저는
    수특 독서 내용 이상한 게 많아서 그냥 개념정도만 익히시는 게 편함...

  • 세미수 · 996497 · 23/07/14 15:27 · MS 2020

    수요공급 때문에 그래요 화폐의 시간가치 구할때 기대 수익률은 현재가치에서
    (1+이자율)곱해서 나오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미래가치가 올라가겠죠? 따라서 금리가 높으면 굳이 채권에 투자를 안하고 은행에 맞기는게 안전하게 수익을 얻을수 있어서 고정금리인 채권이 매리트가 없는겨죠

  • 함수로그 · 1230136 · 23/08/19 19:31 · MS 2023

    그냥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하려는사람들이 많아지고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많으면 수요가 많아지니 채권가격이 상승한다는거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