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어휘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557465
특수 어휘는 주체 또는 객체를 높일 때 사용되는 단어인데 어간에 ‘-(으)시-’를 붙이는 일반적인 활용법과 달리 특수한 단어가 오게 된다. 그러나 ‘시'가 포함된 특수 어휘는 그 ‘시'가 선어말어미인지 아니면 어간의 일부인지 헷갈릴 수 있다. 특수 어휘인지 논의하기 위해선 기본형을 보아야 한다. 사전에 ‘시'가 포함된 형태를 검색하였을 때 한 단어로 등재됐다면 그것은 하나의 특수 어휘이고 그렇지 않다면 용언의 활용형이다. 예를 들어 ‘드시다'를 표준국어대사전에 검색하면 결과가 나오지 않으니 ‘드시다'는 ‘들었다'와 마찬가지로 용언의 활용형임을 알 수 있다. 즉 어간은 ‘들-’이고 어간 뒤에 선어말어미 ‘-시-’, 그리고 어말어미 ‘-다'가 결합한 것이다.
‘모시다', ‘계시다', ‘주무시다', 자시다', ‘잡수시다' 등은 하나의 단어로 등재되었는데 모두 ‘-시-’를 선어말어미로 처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1) ‘시'를 제외하였을 때의 형태가 현대 국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고 2) 이미 사전에 등재됐으므로 ‘시'를 굳이 어미로 볼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이유-1은 ‘잡수시다'의 경우 제외되어야겠지만 이유-2가 있으므로 ‘잡수시다'의 ‘시'를 선어말어미로 볼 필요가 없다. 이미 한 단어로 굳어졌으니 어간은 ‘잡수시-’이다. 만약 여기서 ‘-시-’를 선어말어미로 분석하게 된다면 ‘잡수시다'는 기본형이 아니라 어간 ‘잡수-’ + 선어말어미 ‘-시-’ 즉 ‘잡수다'의 활용형이 되는 것이므로 기본형을 등재한다는 사전의 기본 원리와 충돌한다. 따라서 선어말어미로 보려야 볼 수가 없다.
그러나 재밌게도 ‘모시다'를 제외하면 어원적으로는 이들 모두 선어말어미 ‘-시-’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단 ‘모시다'는 객체높임 특수어휘이니 주체높임 선어말어미인 ‘-시-’가 붙었다고 보기 어렵다. ‘모시다'의 옛말이 ‘뫼시다'와 ‘뫼ᅀᆞᆸ다'였다는 점, 그리고 ‘-ᅀᆞᆸ-’은 선어말어미란 점에서 ‘*뫼다'란 형태를 상정할 수 있어 ‘뫼시다'의 ‘시'를 선어말어미로 보는 견해가 일부 존재한다. 그렇지만 ‘시'가 선어말어미라면 모음어미가 결합한다면 ‘뫼셔'가 아니라 ‘뫼샤'가 되어야 할 것이다. ‘뫼샤'로 나타난 용례가 거의 없고 ‘뫼셔'가 거의 항상 쓰였으며 ‘뫼시ᅀᆞᆸ다'란 형태도 존재했단 것은 ‘시'가 어간의 일부라는 뜻이다. 즉 ‘뫼시다'의 ‘-시-’는 어원적으로 선어말어미라 볼 수 있다. 반면 ‘계시다'와 ‘자시다'의 옛말은 ‘겨시다'와 ‘좌시다'인데 ‘시' 뒤에 ‘-어'가 올 환경임에도 활용형이 ‘겨샤'와 ‘좌샤'란 점에서 ‘*겨다'와 ‘*좌다'를 상정할 경우 ‘시'를 선어말어미 ‘-시-’로 판단할 수 있다. ‘주무시다'는 그 용례가 근대국어부터 등장하고 형태가 ‘즘으시다(한청문감)'라 기본형을 상정한다면 ‘*즘다'가 되는데 다른 특수어휘의 어원에 빗대어 본다면 ‘으시'를 선어말어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잡수다'와 ‘잡수시다'는 함께 보자. ‘잡수다'의 옛말은 ‘잡ᄉᆞᆸ다’인데 여기서 ‘ᄉᆞᆸ’은 누가 봐도 객체높임 선어말어미이다. 그러나 ‘잡ᄉᆞᆸ다'는 17세기에 등장하였고 이때 객체높임 선어말어미는 점점 높임의 의미를 잃어가며 단순히 화자의 진술을 겸양하며 나타낼 때 쓰는 일종의 상대높임의 기능을 하였다. 그러면 우린 ‘*잡다'를 상정할 수 있는데 ‘좌시다'의 ‘좌'가 ‘자'로 단모음화한 것이 16세기란 점에서 ‘*잡다'는 ‘자ᅀᆞᆸ>자ᄋᆞᆸ>잡'의 변화를 거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실제로 17세기 중후반 문헌인 역어유해와 첩어신해에서 ‘자ᄋᆞᆸ-’과 같은 활용형이 보인다. 모음축약으로 ‘잡'이 된 것이다. 뒤에 ‘ᄉᆞᆸ’이 붙어 ‘잡ᄉᆞᆸ다'가 되고 그러나 ㅂ이 탈락하고 아래아가 ㅜ로 바뀌며 ‘잡수다'가 된다. ‘잡수시다'란 표기는 19세기에서야 등장하는데 ‘-시-’는 선어말어미 ‘-시-’가 맞는다.
그러나 선어말어미란 어간에 결합하는 필수적이지 않은 형태소이므로 선어말어미를 제외한 형태 역시 성립해야 한다. 현대 국어에 ‘모다', ‘계다', ‘주무다', ‘자다'는 존재하지 않으니 ‘-시-’를 별개의 형태소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특수어휘의 ‘시'를 공시적으로 어휘 내부에 있는 것으로 분석하기는 힘들어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 ‘-시-’가 아니라 어간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이때의 ‘시’가 어원적으로 존칭의 ‘시’와 관련이 있더라도 통시적인 관점과 공시적인 논리는 항상 일치하는 것이 아니니 학교문법에서 ‘시'를 어원적으로 접근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잡수시다'는 ‘시'를 빼도 단어가 성립한다. 그렇지만 선어말어미를 제외하면 성립한다는 조건만 보면 위험하다. 선어말어미 ‘-시-’의 결합 이후 그 단어가 굳어졌다면 선어말어미에서 유래됐더라도 공시적으로 선어말어미로 볼 이유가 없다. '잡수시다'가 '잡수다'와 별개의 단어로 인정되어 '잡수시다' 자체를 특수어휘로 보아야 하며 ‘잡수시-’가 어간이다. ‘시'는 어미가 아니다.
즉 ‘돌아가시다', ‘드시다'는 그 자체가 특수어휘가 아니라 특수어휘 ‘돌아가다', ‘들다'에 선어말어미 ‘-시-’가 붙은 형태이고, ‘잡수시다'는 그 자체가 하나의 단어이므로 ‘시'를 선어말어미로 분석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언어학적 관점에서 특수어휘의 사용은 보충법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 '잡수다/잡숫다/잡수시다'의 어원이 궁금하면 아래 링크 참고 바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래는 어짜피 연계 양 존나많아서 대비 못(안)했는데 공부해야하는게 줄어드는거면...
-
이해원모고 작년거랑 킬캠중 고민인데 실전연습하기 좋은가쇼???
-
2등급 이상 뜰까요?
-
누구게요
-
개처우울하네.. 2
산책가는겸치고 나가야하는데 마음이 무겁다
-
학교 수준 좆같아서 못다니겠다 근데 내 수준도 썩창이다…
-
시대 빌보드일부 4
ㅇㅇ
-
기본문제를 틀리면 어카냐 이새ㅡㅡ기야ㅡㅡ 당분간 집에 일찍 갈생각 접게 해줘야겠네
-
총 내신 몇정도 오름뇨? 2학년까지 3.08인디
-
홍대가야지 5
으흐흐
-
원래 아니었는데 급히 물리하는날로 바꿈
-
보고 브리핑해야 하는데
-
평가원도 몇번쨈. 올해는 다를줄 알았는데 6모 그냥 수학 영어만 볼듯. 우울하다..
-
성적 존나 불투명하다 시발
-
네에~!
-
킬캠 1회 후기 2
27틀 97 12번 살짝 새로웠음 13번 늘 보던거 14번 바로 안보여서 덧셈정리씀...
-
이제 헬스나 가볼까
-
물1 화1 하다가 사탐런하는 상경계열 지망생인데요 단순암기 잘하고 이해문제풀이도...
-
큰일났다 7
짜파게티 끓이는데 계란이 없음..
-
예상 미적 1컷 84~85?(수능표본) 전반적으로 계산량이 미쳤고(특히 29 30)...
-
싶다..
-
걍 오늘 공부 쉬엄쉬엄할까
-
ㅇㅇ
-
걍 외워야지 에휴..
-
휴가 얼마 안남아서 그런거같긴한데 아 그냥 만성피로+재수생활ㅈ같음 합쳐져서 조금만...
-
쌍둥이 동생인데 한 명은 국어 수학 100 100 받아왔고 한명은 국어 65 수학...
-
싹다 중간이라 가정하면
-
없으면 만들게
-
하루에 2개씩 풀까.......... 사탐도 해야하는데
-
사탐 가산점있는대학 16
과학유튜브보다가 가슴이 뛰어서 진짜 쌩노베인데 물리 공부해보려고하는데 특정과를...
-
인증 7
을 해볼까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
난이도 편차 뭔데요.. 가끔다가 번호에 +2 해야할것들도있네
-
10 12 21 22틀 ㅅㅂ..
-
대칭키의 보안 취약에 대해 설명한 문단 뒤에 대칭키의 보안 단점을 커버한 공개키예시...
-
불꽃확통+어싸+미적+기하수특 이새끼 뷔페가면 혼절하겠노ㅋㅋ
-
볼텍스푸는중 12
근무하면서 하루에 열개씩만 푸는중인데 퀄이런거는 모루겟고 수1은 참 깔꼬롬햇음
-
다군은 서성한까지만 있는 거로
-
더프로는 보정 3나옴
-
키얼굴대학여친다가진새끼가 가챠겜 2돌로 비틱함 그래서 뒷산에 묻어줌
-
탐구 개념 시작도 안함. 국어 5등급 수준임. 문학 아예 안읽힘
-
유심 교체는 힘들거같고 걍 통신사 이동하려는데 통신사 이동하는 것도 해결책으로 적합한가요?
-
6모전까지 자주는 안 올 듯 아마..?
-
볼텍스 풀까요 6
고민이댑니다 미적임
-
내신 ㅆㅂ 0
3학년때 떨어져서 걍 버려야하나
-
니들은 이런거 걸리지 마라
-
1단원 개념->기출 2단원 개념->기출 아니면 전체 1바퀴 돌리고 1단원 내용...
-
다른거도 어렵긴한데 수2가 ㄹㅇ 손도 못대겟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