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즐리 [1084527] · MS 2021 · 쪽지

2023-06-09 21:17:19
조회수 5,444

물리 공부하다가 포기하지 않으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94084

과학탐구 과목 가운데 물리학I은 초반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습니다.

속도와 가속도는 어떻게든 넘기더라도, 뉴턴 운동 법칙에서 털리는 학생들이 많죠.


그래서, 그쪽을 공부하기에 앞서서 SI 단위에 대한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SI 기본단위, SI 유도단위를 알아두셔야 합니다.

직접 설명하기 귀찮으니 사진으로 대체합니다.

(출처: 천재교육 물리학I 교과서 부록)


그리고 단위의 차원이라는 것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는 m2가 있는데, 단위끼리 곱하면 m×m, 즉 (길이)×(길이)이기 때문에 넓이는 (길이)2의 차원을 갖습니다. 마찬가지로 부피는 (길이)3의 차원을 갖습니다.


속력은 거리/시간으로 구한다고 초등학교 때부터 배웠죠? 이때 속력은 (길이)×(시간)-1의 차원을 갖습니다. 이는 속도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원리로 가속도의 차원은 (길이)×(시간)-2입니다.

뉴턴 운동 법칙에 의하면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때 힘의 차원은 (질량)×(길이)×(시간)-2입니다.

또 일은 힘과 이동 거리를 곱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일의 차원은 (힘)×(길이)=(질량)×(길이)2×(시간)-2이 되고, 속력이 (길이)×(시간)-1이었기 때문에 일의 차원은 (질량)×(속력)2이 됩니다.


같은 방식으로 밀도의 차원은 (질량)×(부피)-1=(질량)×(길이)-3입니다.


또 접두어에 대한 걸 알아야 하는데요, 초등학교 때부터 1km=1000m라는 걸 배웁니다. k는 '킬로'라고 읽으며, 1000배를 해 줍니다. 마찬가지로 1kg=1000g입니다.

1nm라고 하면 접두어로 '나노'가 붙어서 10-9m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물리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와 물리량을 문자로 나타낼 때 쓰는 기호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물리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이탤릭체를 사용하지 않고 kg, m/s, J, mol과 같이 적어야 합니다. 반면에 물리량을 문자로 나타낼 때 쓰는 기호는 이탤릭체로(기울여서) 적습니다. 위 사진에 나타나 있는 물리 상수도 이탤릭체로 되어 있습니다.

이걸 이탤릭체로 안 적고 단순히 F=ma라고 적는다면, m을 '이건 길이 단위인 미터인가?'와 같이 혼동할 수 있고, P=F/A라고 적는다면 A를 '이거 전류의 단위 암페어 맞지?'라고 혼동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과포자가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물리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를 이렇게 적으면 안 됩니다. 이탤릭체가 아닌 30km/h, 8mol로 적어야 합니다.

그리고 물리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기호는 대문자, 소문자도 신경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30km를 30Km, 30kM, 30KM으로 적으면 틀린 표기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