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번이 왜 논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40601
신사고 수학2 141p
일단 교과서 피셜이니까 오류라는 주장은 의미 없는거 같고
변화량이라는 워딩이 뭔가 느낌상 양수만 되는거 같아서 헷갈려요
가 핵심인거 같은데
적어도 수2 교과서 내에서 쓰인 변화량이라는 워딩은
속도 가속도 말고도 전부 음수 양수 다 포괄하는 워딩으로 쓰였습니다
평균변화율 정의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우실 듯
같은 미분 적분 개념인데 속도 가속도라고 다르면 그게 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뒷북 ㅈ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먹을때보단 낫지만 36미리 먹고 있는데도 집중이 안됨
-
미적할까요 확통할까요..진도는 올해12월까지 수1 수2 뉴런+수분감+시냅스...
-
알려주면 천사
-
바람막이 필요할까요
-
어지러버.. 핑핑 돈다
-
전국 댄스 팜페스타 왔는데 진짜 폼 미침…
-
아수라 0
교재 진짜 개이쁘네ㅜ 저 선원들 등에 TORY 써준 거 너무 귀엽고 사랑스럽고.....
-
연대 논술 0
응 추천으로 가면 그만이야~
-
초자연 현상으로 고대유물을 발견함 ㄷㄷ
-
이해원 N제 1
이해원 N제 시즌1 사려고 하는데 검색해보니 2022년 2월 출판이라고 되어있는데...
-
친구가 계속 열폭해서 끊어진 친구 그룹이 있음 저는 현생에서 정말 학력 같은걸로...
-
서울대 면접대비 교재 중에 과학 교재는 없나요...??? 1
검색해 보니까 수리면접 대비도 나오고 인문사회 계열 면접 대비 교재도 나오는데...
-
문제랑은 관련없지만 ㅁ에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는게 외국 사절 협박죄 기소를...
-
학원 선생님이 미적 기출 쎈 풀라고 하셔서 벅벅 풀고있는데 기출이 2022년도...
-
기하 호머식 92 그냥하면 88 ( 마지막에 부호 잘못써서 틀림 ㅡㅡ)인데 수능때 1 ㅆㄱㄴ?
-
사문러 분들 2
이거 통계중에 그냥 뭐 다이아몬드 계층 이 문제 6,9평에는 세대 내 세대 간 상층...
-
국어 > [리트 전개년 기출 언어이해] 2016 17~19 > [리트 전개년 기출...
-
KIA 탈선할 때마다 잡아주는..ㅠㅠ
-
내년꺼 메가패스는 언제나오나요?
-
문학 꿀팁 드림 7
수특 수완 현대소설 전문 읽으세요 구글에 현대소설 전문 검색하면 거의 나옴 인스타...
-
2024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모집 논술시험 문제 자연계열 (수학) 복기 4
두 번째 파일이 오타 수정 버전입니다.
-
개꿀~
-
현우진 센세 킬캠하고 저거 풀어볼 생각인데 ㄱㅊ???
-
카페에서 공부 하다가 보면 열심히 사는 사람 참 많다 생각듬 난 저렇게 왜 못 사는거지..
-
1-1 20C2*2H18=190*19=3610 1-2 (41,41)이라 생각해...
-
어떤가요? 막 소중히 여기거나 몇 년 쓰겠다 그런 거 아닌데 쓸만한가요 초침 소리나...
-
왜 광도가 작아지나요?
-
ㅈㄱㄴ 맞으려하는데 살찔까봐 ㅜ
-
ㄷㄷ
-
맞짱뜰 3끼 0
있냐?
-
작년에 수시로 설의간 형이 입시 조언해주러 왔었는데 ㄹㅇ 간지엿음 2
언미생지 100 100 1 100 100 성적표 보여주고 수시 생기부 조언해주는게...
-
역대 대통령중 가장 부패했을듯.. 이제 얘가 대통령될 일은 0%에 수렴
-
독재 관둘까 7
한달에 67내는데 관리 별로고 시설 별로고… 집 독재하면 망하려나… 인강 커리큘럼...
-
ㅈㄱㄴ
-
몸도 영혼도 내려놓사오니 자유를 돌려주오 (perditum Corpus,...
-
사촌형 집에서 자다가 8시 전 도착 유난히 정신이 맑았고 하늘이 맑았음. 똥도...
-
2-1 정적분 써야됨? 그냥 풀리길래 그냥 했는데 ㅅㅂ 3번은 또 왜 (20,1)...
-
예전에 썼던 거 다시 보시나요?
-
시간이슈로 한개씩 못푸는데 다들 몇분 남나요?
-
1. 한 지문 기준 1분 30초 잡고 일단 풀기 2. 후 한글 해석 쭉 기 3....
-
다 그런 건 아닌데 몇몇 문제는 걸리는 게 있는듯 22학년도 강K 선별이라는데
-
연대 수리 논술 2
생명공학과 수리 논술 다 풀고 과탐 1문제 생명과학 못풀었는데 가능성 있을까요?
-
확실히 킬러는 가벼워지고, 중간중간에 너 이 개념 안까먹었지? 하는 문제도...
-
하아
-
학원말고도 독서실 스카에도 널렸음 아침 오후 단과 둘다 현장실모보는데 2연속으로...
-
과학사 ㄱ.ㅐ추입니다
-
작년 재작년보다는 훨씬 어려웠는데.. 제시문 읽고 첫번째 질문 읽고 나서 벙찌다가...
-
어디 댓글 보니까 발산이다 0이다 뭐라고들 해서 직접 계산기로... (약간 늦은 감은 있지만)
-
비오는 날 진흙탕에서 각개전투.... 25kg 20km 완전군장 행군.... 힘든 시간이었다
올해 모의고사 출판하시나용
넵넵
변화량이라는게 느낌상 양수만 되는 것 같아서 헷갈린다는게 아니라
변화량은 엄밀히는 벡터니깐, 속도를 적분해서 위치 변화량을 구했는데
1) 이 위치 변화량 벡터의 + 방향을 임의로 속도의 + 방향으로 잡고(이건 당연하지만 다음이 문제)
2) 이것을 스칼라로 그대로 돌리는 행위가 정당한거냐 이 얘기
개인적으로는 문제는 없다고 보지만 표현이 정갈하지 않은건 팩트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1)은 당연한 이야기로 보여서 크게 언급은 안해도 될 것 같고
2)는 수직선 상의 점을 전제했으니 1차원이라 문제 없다는 의견입니다.
쓰신 앞선 글을 방금 읽고 왔는데 잘 낸 발문이 아니라는 의견 빼고 학문적 이야기는 다 저도 동의하고 있습니다.
다만 표현이 정갈하지 못하다는 의견의 근거가 다수의 학생들이 ”변별과 무관한, 발문에서의 모호함”을 느껴서라면 동의가 힘들 것 같습니다.
수2 교육과정 내에서 처음부터 위치의 변화량을 속도 함수를 부정적분한 함수의 함숫값의 차로 정의했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한 문항에서 위치의 변화량이라는 표현이 모호하다는 의견은 제 입장에서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앞선 글에서 공식 암기에 대한 말씀도 제가 읽어보았는데, 교과서를 읽어보라는 논리가 단순히 공식이 저렇게 적혀있기 때문은 더더욱 아닙니다. 속도/가속도는 단원명부터 도함수/정적분의 '활용' 단원입니다. 앞에서 정의한 미분/적분을 어떤 전제 상황에서 활용하는지 그 맥락을 이해하려면 위치의 변화량과 이동한 거리의 정의는 선행개념인 미분/적분과 충돌하지 않는 방향으로 교과가 설계되어야 하고, 그게 1차원에서의 점만 물어보는 이유라 생각합니다. 2차원 벡터 케이스가 어떤지가 이 문항과 관련이 없는 이유기도 합니다.
1) ”모호함“에 대해 : 이 문항에서 모호함을 느끼는 학생은 개념이 명백하지 않은 허수 학생들을 제외한다면,
1. 물리학2또는 그 이상을 깊게 배운 학생이나
2. 좌표평면에서의 운동을 서술하는법을 배운 학생들의 경우
3, 또는 ”벡터“개념이 잘 잡힌 학생들의 경우
이런 상황이 아니라면 그냥 별 생각없이 풀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건 동의하실 것 같은데
즉 무언가를 ”더 알아서“ 헷갈리는 상황이기에 ”표현의 아쉬움으로 인한 변별에 무관한 모호함“이라 생각했습니다. 문제를 낼 때 헷갈리는 사람이 없도록 여러번 검토해야 하는데, 누군가 ”이거 좀 헷갈리지 않냐“하면 표현을 살짝 다듬을만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요. 저야 수학 출제는 안해봤고 과탐 출제를 했을때 문항 핵심과 무관한 오독여지/모호한 표현은 최대한 덜어내려고 노력하는 경향을 봤거든요.
아무튼 수2의 위치의 변화량이 아니라, “위치의 변화량(변위)”가 뭔지 더 깊게 알고 있는 학생들이 괜히 더 헷갈릴 여지가 있는 순간 아쉽다는 논지입니다. 제 생각엔 속도 가속도와 같은 너무 쉬운 내용은, 대학 과정이나 물리학 등에서 좀 더 깊게 공부하고 오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는 기존 수2와 충돌되지 않으니 “속도와 가속도” 개념이 수2식의 허접스러운 무언가에서 좀 더 업그레이드 되어 머리속에 학습되는건 당연하다고 보거든요. 그런데 이 학생들이 공부를 덜 했다고 할 수는 없으니...
2) 교과서 공식 암기 이야기의 경우, “문항이 약간 오묘하다”라는 학생들에게.. 교과서나 읽고 오라면서, 논지를 흐리며, 학생의 수학실력등을 비방하는 공격이 많이 있길래 제가 강조 혹 저격으로 언급한거라.. ”언제부터 너네들이(공격하는 학생들) 수학 교과서를 따박따박 다 봤냐“는 논지였습니다. 무시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위치의 변화량과 이동거리에 대한 교과서 첫 도입부이고, 솔직히 전 좀 더 나아가서 논란이 되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교과서가 아닌 다른 수험서만으로 공부한 학생들에게 너무 가혹한 관점이라는 생각도 동시에 들어서 글 내에서 크게 워딩을 강하게 가져가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