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화학 [746146] · MS 2017 · 쪽지

2023-06-04 20:22:48
조회수 3,810

논란의 14번 잘 낸건 아닌듯 + 표현에 대해 납득하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30487

답은 하나로 정해지고 사실 문제도 크게 없는데 잘낸건 아니라고 봄.

기본적으로 문제를 읽고 다수의 학생들이 ”변별과 무관한, 발문에서의 모호함”을 느끼면 안되는건데 모호함을 느낀 학생들이 많은 순간 잘 낸건 아닌거임. 저번 수능 12번이랑 비슷한 맥락


애초에 1차원이라서 “위치의 변화량의 최댓값”이라는 표현이 가능한거

교과서 읽고 오라는 드립치는데 잘 모르겠음.. 위치의 변화량의 최댓값은 아래 논리로 물어보는게 가능한거임

(위치의 변화량은 차원이 1인 실수벡터 -> 하지만 관례적으로 차원 1 실수벡터는 스칼라로도 취급 가능 -> 부호를 포함한 최댓값을 물어볼 수 있음)


그리고 언제부터 위치의 변화량은 무조건 부호 포함 정적분이다 이런걸 달달달 암기(이해없이) 하고 살았길래... 교과서 보라는건진 모르겠고


2차원으로만 가도 위 표현은 절댓값을 붙이지 않으면 성립을 안함


다만 이 문항의 “위치의 변화량의 최댓값“이라는 표현을 물리 하는 학생들한테 납득시키는 방법은 있음



공을 포물선으로 던졌을 때 ”던진 직후 기준 y축방향 변위의 최댓값“이라고 문제에서 물어봤다 가정하면 물리했으면 다들 최고점을 떠올릴거니깐 이렇게 말하면 납득될거라고 봄


rare-다꼬리드디어세계지배 rare-Python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