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평 D-1. '하루'의 어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154838
6평이 거의 하루 남았다.
‘하루'는 15세기에 등장한 'ᄒᆞᄅᆞ'로 소급된다. 단독으로 나타날 때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ᄅᆞ'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ᇐ'로 나타나 'ᄒᆞᄅᆞ/ᄒᆞᇐ'의 이형태 교체를 보이던 놈이었다. 뒤에 오는 조사의 음운론적 자격에 따라 'ᄒᆞᄅᆞ도(ᄒᆞᄅᆞ+도)'로 쓰이기도, 'ᄒᆞᆯᄅᆞᆫ(ᄒᆞᇐ+ᄋᆞᆫ)'으로 쓰이기도 했다.
16~18세기 문헌에서는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에 따라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에 결합하는 'ᄒᆞᇐ'을 'ᄒᆞᇍ'으로 표기한 예도 나타난다. 19세기에 들어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하로의’과 같이 나타나면서 위의 이형태 교체가 사라지고 'ᄒᆞᄅᆞ'형으로 통일되었다.
16세기에 아래아의 제1차 음가 소실에 따라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가 'ㅡ'로 바뀌었지만, 간혹 'ㅗ'로 바뀌기도 하였다. 'ᄒᆞᄅᆞ'는 그 희귀한 경우여서 제2음절의 아래아가 'ㅗ'로 바뀌어 17세기부터 'ᄒᆞ로' 형태가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아래아의 제2차 음가 소실에 의해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17세기의 'ᄒᆞ로'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하로'가 등장한다. 한편 19세기에는 모음 'ㅗ'가 'ㅜ'로 바뀐 'ᄒᆞ루'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19세기 정도면 아래아는 표기에서만 보이고 음소로서의 자격은 거의 잃어버렸다 봐도 무방하므로 19세기의 'ᄒᆞ루'는 '하루'와 발음이 같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튼 아래아가 자모 체계에서 완전히 퇴출되고 이 'ᄒᆞ루'가 '하루'로 표기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그러니 표기상으로 보이는 변화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ᄒᆞᄅᆞ(15세기~19세기)>ᄒᆞ로(17세기~19세기)>하로(18세기~19세기)/ᄒᆞ루(19세기)>하루(20세기~현재)
어원을 보자면 하나를 뜻하는 'ᄒᆞᆯ'과 일을 뜻하는 'ᄋᆞᆯ'의 조합인 'ᄒᆞᄅᆞᆯ'로 추정된다. 이는 여러 방언들에서 나타나는 '하를/할ㄹ-'의 형태와 중세 한국어에서도 나타나는 'ᄒᆞᇐ'을 바탕으로 재구한 것이라고 한다. 이를 내적 재구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15세기 이전엔 ‘ᄒᆞᄅᆞᆯ’이라는 단일형을 취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틀'이나 ‘사흘', ‘열흘' 등의 옛말에서 보이는 ‘ᄋᆞᆯ’은 ‘일(日)’을 뜻하니까 딱히 오류는 없는 이론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 하나(一)를 의미하는 'ᄒᆞᆯ'이 문제다. 훈민정음 표기 이전까지 범위를 넓힌다면 얘가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알아내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냥 고대 국어 시절의 'ᄒᆞᄃᆞᆫ'으로 상정하는 것이다. 제망맹가나 계림유사에서의 음차 표기를 보면 '하나'에 대응하는 고대 국어는 'ᄒᆞᄃᆞᆫ' 정도로 재구된다. 제망맹가의 '一等隱'의 '等'은 'ᄒᆞᄃᆞᆫ'으로, 계림유사의 '一曰河屯'의 '河屯'도 대충 'ᄒᆞᄃᆞᆫ'으로 재구되는데 여기서 ㄴ은 ㄹ로 달리 재구되기도 한다.
아무튼 여기서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어근을 'ᄒᆞᆮ'으로 보게 되면, 고대에도 ‘하루'에 대응하는 어휘가 존재했다는 가정하에 'ᄒᆞᄃᆞᆯ'(ᄒᆞᆮ+ᄋᆞᆯ)이라는 형태를 상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대의 'ᄒᆞᄃᆞᆯ'이 단일형 'ᄒᆞᄅᆞᆯ'로 변한 것은 '바다'의 옛말 '바ᄃᆞᆯ'이 '바ᄅᆞᆯ'로 변한 음운 현상과 같다고 할 수 있겠다. t>l의 변화는 그렇게 희귀환 음운 현상은 아니므로 충분히 있을 법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ᄒᆞᄅᆞᆯ'의 종성 ㄹ은 모종의 이유로 탈락하여 'ᄒᆞᄅᆞ'가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니 이를 다시 한번 정리하면 고대 시절까지 범위를 넓힌 변화는 '*ᄒᆞᄃᆞᆯ>*ᄒᆞᄅᆞᆯ>ᄒᆞᄅᆞ>ᄒᆞ로>하로/ᄒᆞ루>하루'라는 단계가 나온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소득분위 4구간 2
ㅠㅠ 그래서 210
-
[고백] 커뮤에 한탄글 안쓰고 공부글만 얌전히 쓰고 싶었는데 20
군대도 곧이고 과외날 아니면 계속 집에서 혼자 지내고 이러니 우울감이 쌓여서 이게...
-
살려주시라요 0
수액 맞았는데 머리가 아프다
-
머가 더 어렵나요? 펀더멘탈하고 스텝2 들어가기 vs 스텝2하고 펀디멘탈 들어가기
-
어느 수업을 들어가던 남학생수가 2/3을 넘음
-
개백수 인생 0
독감 덕에 자고 커뮤 자고 커뮤 무한반복 중
-
C드라이브 용량부족 계속 쪼들리다가 개 쾌적해졌네 그냥
-
혹시 스블 몇강인지 알려주실 분 있나요 저것만 들어보고 싶어서..
-
무휴학반수 45학점 이수 GPA 100.0 메이저의대 합격 사실 반수의 신도 아니고...
-
신세 한탄 0
독감이 밉구나
-
공강 시간이 꽤 있어서 처음엔 할만하다고? 생각했는데 중간고사 다가오니까 ppt...
-
막지마셈 막으면 때림
-
생각해보면 이미 수능체제는 몇년간 우민모드 아니었음?
-
고향은 충북인데 서울 올라와서 재수중입니다 교육청가서 6모 접수하려고 하는데...
-
대치동 학사 3
원래 100에서 200정도로 비싼건가요??
-
ㄹㅇ뭐지
-
걍 본인이 느끼기에
-
특학시험 잘 봐서 꿀자대가서 꿀빠면 됨 단순 쌩암기긴 한데 대개 머리 좋은 애들이...
-
너무 힘들어서 나가는데 재종 독재학원 관리형 스카 중에 어디가는게 맞을꺼요?
-
아 시발 야로나보다 더 독하노
-
에어팟으로 들을 때랑은 뭔가 다름
-
학원을 안다니고 독서실 다니면서 공부중인데 학원을 안 다니고 있어도 저 리스트에...
-
진짜 금주해야지 0
뒤지게 힘들다
-
좀 누워있고싶네 1
ㄹㅇ로
-
생윤 전망 0
올해 생윤 어느정도 난이도로 나올까요? 작년마냥 표점은 안나오겠지만, 만백...
-
여기 나만 여자임..? 25
오르비하는 여고생 나밖에 못봄
-
진짜 너무 이상형이라 설레네
-
재밌노
-
손은정 듣고 기출하고 어나클도 꼭해야됨?
-
힘들어
-
모오르비언이 올린 251130 해설영상이 올라왔었구나 0
나이쓰! 학교 마치고나서 독서실 가서 봐야지
-
수학기준 계산실수 문제잘못읽는거 다포함 호머말고
-
45만 적으면 0점 처리 단원은 미적분 발상은 본고사에 유명한 그 문제가 있어서...
-
벚꽃이 만개했어요 35
우리 잠깐 쉴겸 나가서 벚꽃 구경하지 않을래요?
-
오늘의 점심 10
찹쌀누룽지죽 배탈나서 죽먹는다 하...
-
부자 ㅇㅈ 6
ㅎㅎ
-
분위기 개쩌는 개인카페 발코니에 앉아서 한 손에 라떼를 홀짝거림과 동시에 벚꽃이...
-
국어 백분위 100은 11
재능러인 듯 일단 난 못해봄
-
정확한 구분기준이뭐에요
-
윤사 배워서 제대로 배우는 수 밖에ㅜ없음 그럼 좀 재밌어짐
-
님들은 주로 뭐하시나요...? 도파민이 너무 부족해요.......
-
야수의 베스트컨디션은 공복 바키의 이 대사에 꽂혀버림
-
실모 작년 컨텐츠 푸는 중인데 8회전부 2컷에서 1문제씩 틀리네 마치 3등급이 딱이란거처럼..
-
https://orbi.kr/00072770434/%5B%EC%B9%BC%EB%9F%...
-
안돼앵애애애애애애ㅐㅇ애
-
미적2랑 기하를 말끔히 수능에서 배제시켜버렸네 미기확을 다 배워도 모자랄 판에 뭐 하자는 것인지
국문과세요..?
06인뎁쇼
국어황 ㄷㄷ
확실히 가독성 깔끔하니 좋군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