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전개 외전 1] 문학 시간 단축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100625
생각의 전개 교재를 출판하고 나면, 매년 아쉬움이 남기 마련입니다.
조금 더 명확하게, 조금 더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서술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못했다는 아쉬움이요.
그런 내용들을 일반적으로는 강의에서 열심히 알려 주기는 하는데,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제 게시글로도 남겨볼까 합니다.
이렇게 자잘한 +@의 내용들을 [생각의 전개 외전] 시리즈로 가끔씩 찾아 뵐 테니, 많이들 기대해 주세요 ㅎ
오늘의 주제는 '문학 시간 단축 꿀팁'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주제인데요. 6평 전까지 기출을 통해 조금만 연습하셔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운문문학의 '주제'를 강조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수능 국어라는 시험은 결국 '독해력'을 묻는 시험이고, 이는 문학에서도 마찬가지라는 것, (물론 문학은 +@가 있긴 합니다.) 그리고 '독해력'을 묻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물음은 '주제를 찾았니? 그러니까 이 글이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알겠니?'이고, 나아가 '시'에도 주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했는지가 핵심이 된다는 내용입니다.
사실 교재에서도 '주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이를 바탕으로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는 내용을 많이 언급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오늘은 그 이야기를 조금 더 강조해 볼까 합니다.
극단적으로, 운문문학 문제를 풀 때 지문을 보지 않고 오직 '주제와의 연관성'만 생각하는 것으로도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2022학년도 수능 현대시+수필 세트입니다.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19번
현대시의 주제를 가장 잘 알려 주는 것은 <보기>입니다. <보기>가 있으면 그로부터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가'라는 작품의 주제는 '오래전 떠나온 고향 떠올리기', '악화되어 가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 묘사'네요. 지문을 보지 않고, 이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해 보겠습니다.
[A]. [B]가 어딘지 몰라도, '고향 회상'이라는 주제와 관련되어 있는 선지들입니다. 맞다고 칩시다.
화자의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 이 작품의 주제는 '악화되어 가는' 현실 묘사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소망'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주제와 반대됩니다. 소망이 이루어졌다면 악화되어 가는 현실이라고 할 수 없을 테니까요.
'풍족한 결실을 거두지 못한 상황', 그 속에서 무언가를 지향하는 모습. 희망적인 메시지 때문에 조금 애매하기는 하지만, 어쨌든 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선지입니다.
'가혹한 현실 상황'. 주제 그 자체입니다.
실제 이 문제의 정답은 3번이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가 정답으로 제시된 것이죠. 애초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면서 읽을 수 있는지를 묻는 시험이 수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풀이가 가능한 것입니다.
다음은 (나)의 주제를 체크하고, 관련된 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 (나)에는 <보기>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지문을 읽으며 주제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피램 교재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시의 주제는 '화자의 상황과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반응'(=심리, 태도)을 보이고 있는지를 생각하며 가볍게 읽어 주시면 됩니다.
김관식, '거산호 2' (2022학년도 수능)
앞쪽만 대충 읽어도, 산을 바라 보는 '상황'에서 맨날 변하는 인간과는 달리 늘 푸르른 산이 너무 좋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나)의 주제는 '인간과 대비되는 산에 대한 사랑'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관련된 문제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0번
'주제'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산'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감상하라는 발문도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아무튼, 정답 선지인 2번 선지는 지문에서 인간과 대비된다고 했던 산을 인간의 덕성을 표면화하는 데 집중하는 잡스러운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이기 때문에, 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정답도 2번이었구요.
나머지 선지들을 보시면, 산의 '불변성'을 강조한다거나 죽어서도 함께 하고, 그리워하고, 지속적으로 지향한다는 '주제' 그 자체인 말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지문을 볼 것도 없이 허용되는 선지들이 되어 버리는 것이죠.
그렇다면 (가)와 (나)를 함께 물어 보는 문제도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2번
여기서 초록색 형광펜은 '주제'와 직결되는 부분, 노란색 형광펜은 '주제'와 반대되는 부분입니다. 답이 1번이라는 건 너무나 쉽게 알 수 있겠죠?
물론, 3번 선지처럼 애매한 선지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는 '주제' 중심으로 답을 고르면 답이 2~3개인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것은 절대로 '주무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시를 독해하고, '근거'를 찾아 허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선지 판단의 대원칙이 '주무기'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일종의 '선지 스크리닝'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운문문학(+수필) 문제를 풀 때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스크리닝한 뒤, 이를 통해 답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선지들만 먼저 판단합니다. 이렇게 확실한 정답을 찾은 뒤에 나머지 선지를 처리하면 훨씬 빠르고 정확한 선지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이 세트는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의 위력이 엄청난 세트였습니다. 나머지 세 문제도 모두 '주제' 중심으로 답을 쉽게 고를 수 있게끔 출제되었습니다. 무려 '수능'에서 말이죠! 나머지 세 문도 스스로 찾아서 이와 같은 내용을 적용해 보면 좋겠죠?
이 글만 읽고 '오~' 하고 넘어가신다면, 무슨 야매 스킬을 배운 것 같은 느낌이 드실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여기서의 '오~'를 스스로 기출에 적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오!'로 바꾸셔야 한다는 겁니다.
만약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당장 기출문제집 운문문학 파트를 펼쳐서 정말 많은 문제들이 이렇게 해결되는지 확인해 볼 겁니다. 몇 시간을 써서라도 말이죠.
이러한 과정을 거쳐 평가원이 정말로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출제한다는 것에 확신을 가지게 되면, 당장 올해 6평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실 겁니다. 이는 단순한 야매가 아니라, '수능 국어'라는 시험의 존재 목적과 직결되는 본질적인 내용이니까요.
그리고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이 가능한 사례들을 찾아서 이 게시글의 댓글로 달아 볼 것 같습니다. 남들에게 도움이 되게끔 말이죠. 남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정리하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이 가장 큰 도움을 받을 겁니다. 여러분도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선지 스크리닝'을 통한 문학 시간 단축, EBS 외우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본질적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다음 [생각의 전개 외전]도 기대되신다면, 좋아요 댓글 많이 남겨 주세요 ㅎㅎ
이 외에 더 많은 내용으로, 제대로 국어를 공부하고 싶다면?
P.I.R.A.M 국어 생각의 전개 : PIRAM+%EC%88%98%EB%8A%A5+%EA%B5%AD%EC%96%B4+%EC%83%9D%EA%B0%81%EC%9D%98+%EC%A0%84%EA%B0%9C+2024/">https://atom.ac/books/10621
P.I.R.A.M 국어 7개년 기출문제집 : PIRAM+%EC%88%98%EB%8A%A5+%EA%B5%AD%EC%96%B4+7%EA%B0%9C%EB%85%84+%EA%B8%B0%EC%B6%9C%EB%AC%B8%EC%A0%9C%EC%A7%91+2024/">https://atom.ac/books/11077
0 XDK (+10)
-
10
-
헤헤
-
외대 0
외대영어대학 전화추합으로 몇번까지 합격 했나요..? 아니 진짜 2023학년도...
-
외대 경영 0
지금 몇 점까지 붙었나요? 최종컷 몇에서 끝날지 ㅠㅠ
-
동해바다로~ (아 어떻게) 삼등삼등 완행열차 (뭐타고) 기차를 타고~ 아카라카...
-
투표해주세요 마음은 결정했는데 다른사람들은 어떤지 궁금해서요
-
정치글 그만 올라오면 좋겠음
-
그때에 비하면 저능한 진학사라도 있는게 다행 아닐까요
-
으악우너누구냐? 5
진짜누구냐고
-
초딩고학년 사진 보여줫더니 진짜 전혀 얼굴이 하나도없다던데 성형시술안하고 교정만함
-
빨리듣고싶은데 ㅡㅡ
-
잡담) 문과 올5등급이 3천시간 박으면 몇등급까지 가능할것같음? 3
당연히 케바케겠지만 지능 iq100이라는 가정하에 어느 라인까지 가능할것같음?
-
오 해봐야지
-
담배 피고싶다 12
딱 한번만 피면 기분 나아질거 같은데
-
저게 3칸인가?
-
진학사 최종컷 무슨 근거인진 모르겠는데 상당한 날짜에 전북의<전북치였어서(어떤 날은...
-
이거뭐냐씨발 나도 읽을래
-
국민들이 칼자루를 쥐어줬더니 국민들한테 칼부림을 하고 있다 2
양쪽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이다
-
관측하기전엔 어쩌구임
-
개뿌듯행
-
외모컴플렉스 7
성형(쌍수)도 했고 외모칭찬 종종 듣는데도 외모컴플렉스가 좀 있는건 내가 자존감이...
-
나처럼 도태된 형질은 그냥 내 선에서 끊어지는 게 정배인가 좋은 유전자는 내 형한테 다 간 것 같다
-
하.. 4
-
연고 중에 연대 포지션인거죠?
-
우리나라에서 삼권분립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흠...... 어느쪽이든...
-
어렸을 때 같이 어울려다니던 애들이 뒤에서 나 왕따시킨다는 걸 알고난 이후부터...
-
민주당 = 간첩 빨갱이 국민의 힘 = 친일파 막 이런 식으로 특정 당이 잘못되었다...
-
슬슬 수강신청을 4
해야함
-
3칸합 ㅁㅌㅊ? 2
진학사 3칸합 함(잔화추합)
-
가슴이 웅장해진다
-
안녕하세요 집안 사정으로 간호학과를 갈 거 같습니다 제가 알바랑 병행해야해서 최대한...
-
갑자기 떨어진거면 소뇌가 손상된거임? 원래 뭐 조립하고 이런거 손재주 좋았는데...
-
둘 중 한 곳을 좀 흔하지 않은 학과로 지원해서 그런가 어째 커뮤에 질문하면...
-
저정도로 열불내면서 지랄하는거보면... ㅇㅇ 논리도없고...
-
3차충원 0
오늘 3차충원날인데 갑자기 개인정보 수정하라고 전화오는거면 추가합격 가능성...
-
작수 언미물생 3331 맞았고 생명은 3개 찍고 46점 맞았는데 1. 사문생명 2....
-
ㅅㅂ
-
그냥 아무한테나 기대서 울수 있는 사람 딱 한명만 있었으면 좋겠음
-
나는 올해도 학고반수해서 학비군 받을거고 내년부터 또 4년 동안 학비군 받을건데ㅋㅋ...
-
호두어때 4
-
이거 맞냐 낙지야? 시발 두개는 아직 전화 기다린다 개같은거
-
7학점이면 보통 1
일주일에 몇 번 정도 학교 나가야함??
-
몇개년정도 보는게 좋다 생각하시나요
-
축하해주곤 싶은데 마음 한켠에서 좆같다는 생각이 몰려오네 저 성적으로 저 대학 가면...
-
바로 노무현은 살아있다는거임
-
수술해서 움직이지도 못하는 상태이고 그래서 그냥 표본 대충보고 막 씀 그래서 아쉽더라
-
adhd인가 8
망상 많이 하고 덤벙거리고 미세 수의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소뇌가 덜...
-
30년내로 여기 있는 대학 제외 없어진다 or 안없어진다
-
혹시 고려대 공대 새터 신청 가능한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8
새터 가고싶어요
-
낙지 머리박아 1
올해 뭐 친한친구아들이 입시치뤘나
와우 좋은 팁 감사합니당
지문을 읽기 전 보기를 먼저 보는 건 알고 있는데 선지까지 함께 훑어보고 지문에 들어가도 되나요?
네 그렇게 해 보자는 것이 이 글의 취지입니다!
몇개 해봤는데 진짜 몇몇문제 바로 적용되네요! 감사합니다 역시피램...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바로 적용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