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용 [1227239] · MS 2023 · 쪽지

2023-05-24 21:54:18
조회수 2,590

지구과학 기출… 납득이 안간다 ㅜ 나 이해시켜줄사람(2022 수능 18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083047


질량이 6배, 해설들을 들어보니, 질량이 크면 온도변화가 크고, 질량이 작으면 광도변화가 크다고 하고,


주계열이후 표면온도가 작아지므로, 왼쪽 위부터 시간이 흐른다고 볼 수 있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납득.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1. 빨간색이 질량이 더 크다고 했는데, 그럼 왜 A의 반지름이 B보다 작은 순간이 존재하는 것임?

주계열부터 시작이면 A의 반지름이 항상 더 커야하지 않나? (시작할때 (주계열에서 빠져나올때)의 반지름이 왜 더 작은가?)


2 질량이 큰 녀석은 SR도에서 오른쪽 move가 크고, 질량이 작은녀석은 위쪽 move가 더 크다고 하는데,

이것민으로 반지름의 변화량이 질량이 큰게 더 크다고 말 할 수 있나?


애초에 큰 주계열에서 초거성의 반지름 변화


작은 주계열에서 적색거성 반지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나? (SR도에서 등반지름 선 그어봐도 애매하지 않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닥마 · 994443 · 23/05/25 22:16 · MS 2020 (수정됨)

    1.근거가 부족합니다. A의 반지름이 B보다 작은 때가 존재한다고 하셨는데 실제 기출되었던 자료를 자를 대고 비교해보면 A의 최소 반지름이 B의 최소 반지름보다 작지 않습니다. 만약 보시는 교재에서 그렇게 보인다면 자료를 베껴 그리는 과정에서 생긴 오차일 것입니다.

    2.등반지름선은 HR도에서 로그 스케일(동일간격 동일 비율)로 표현됩니다. 이에 따라 값이 큰쪽에서는 조금만 값이 변해도 반지름의 변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며, 질량이 큰 별들은 진화할 때 HR도 상에서 보다 값이 큰 등반지름선들을 지나기 때문에 반지름의 변화율은 몰라도 반지름의 변화량만큼은 질량이 작은 별과 비교할 수 없이 큽니다.